모노홈 스튜디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노홈 스튜디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모노홈 스튜디오

8.7Km    2024-07-3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6길 17-6 (동교동)
010-5008-3569

서울 마포구 신촌에 위치한 모노홈스튜디오는 빈티지한 매력이 넘치는 숙소다. 독특하게 조작된 빈티지 원목천장부터 복고풍 에어킨 유닛까지 레트로한 인테리어를 통해 한국의 80년대를 마음껏 즐길 수 있다. 객실은 침실 3개, 넓은 주방, 거실, 욕실, 야외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세탁기와 건조기가 있어 세탁도 가능하다. 도보 거리에 홍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편의점, 맛집 등이 있어 이동이 편리하게 여행을 즐기기에 좋다.

제이한옥(JAY Hanok)

8.7Km    2024-11-27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4길 9

서울 북촌에 위치한 현대식 한옥 숙소이다. 아늑하고 포근한 낮과 프라빗하고 시크한 밤의 반전 매력이 있는 즐겁고(禔) 편안한(利) 현대식 한옥이다.

청량리수산시장

청량리수산시장

8.7Km    2025-08-2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고산자로34길 52-11

청량리수산시장은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수산물 전문시장으로, 도매를 중심으로 하면서 소매도 가능한 형태이다. 신선한 수산물을 대량으로 구입하려는 사람들로 항상 붐빈다. 서울을 동서남북 4대 권역으로 나누었을 때, 강북권에서는 청량리 일대 시장 중 규모와 판매 품목의 다양성 면에서 가장 크다. 인근에는 서울약령시, 청과시장, 경동시장, 광성상가 등이 밀집해 있어 연중 내내 유동 인구가 많다. 시장은 청량리역 6번 출구에서 신설동 방향으로 약 200m 거리에 위치해 있다.

오래된 시장의 북적임과 들꽃이 가득한 홍릉수목원에서 하루를 보내다

8.7Km    2023-08-09

서울 약령시의 역사는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한국전쟁 이후 전국 농산물과 약재가 모여든 것이 시초다. 서울에서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는 재래시장과 들꽃 가득한 홍릉수목원은 정반대의 느낌이면서 자연스러움이 어딘가 비슷한 구석이 있다. 서울의 오래된 장소들을 찾아보고 어린 시절 즐겨먹던 신당동 떡볶이 골목에서의 점심은 즐거운 하루를 선사할 것이다.

서촌돌솥

서촌돌솥

8.7Km    2025-01-07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3-1
02-737-7080

서울 서촌, 세종마을에 위치한 한옥으로 인테리어한 돌솥비빔밥 전문점이다. 테이블식과 좌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는 한옥으로 깔끔하게 되어있다. 또한 비빔밥에 들어가는 야채들은 모두 국내산이며 화학조미료가 아닌 천연조미료로 만들어 건강식이다. 현재 비빔밥은 당분간 쉬고 있으며 대표 메뉴는 족발과 보쌈으로 운영하고 있다.

장칼집

장칼집

8.8Km    2025-09-16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6길 3 (석촌동)

장칼집은 9호선 석촌고분역 3번 출구 해누리중학교 인근에 있다. 가게 외관은 크지 않지만, 빨간 간판이 눈에 잘 들어온다. 진한 육수의 장칼국수와 감자가 들어간 고소한 들깨칼국수가 인기 메뉴다. 장칼국수는 매운 단계를 선택해 주문할 수 있는데 3단계가 덜 매운 맛 1단계가 아주 매운 맛이다. 고추장 베이스에 칼국수, 계란, 감자가 들어가고, 김 가루가 고명으로 올라간다. 물만두는 속이 꽉 차 있어 반찬과 잘 어울리며, 명태회무침은 달콤새콤한 맛으로 주먹밥이나 칼국수와 함께 먹기 좋다. 가게 인근에 서울석촌동고분군, 송파책박물관, 탄천 유수지가 있어 식사 후 가볍게 산책할 수 있다.

서울 석촌동 고분군

8.8Km    2025-09-03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7길 21 (석촌동)

석촌동 고분군은 백제 한성기에 조성된 왕과 귀족의 무덤군이다.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 석촌동과 가락동 일대에 약 300여 기의 고분이 분포했던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현재는 서쪽 일부 구역만 남아 있다. 1970년대 이후 발굴 조사 결과 대형 돌무지무덤 7기와 널무덤, 독무덤 등 30여 기 이상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가장 큰 석촌동 3호분은 너비 50.8m, 높이 4.5m의 3단 기단식 돌무지무덤으로 백제 근초고왕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5년 이후 한성백제박물관의 조사에서는 사각형 기단을 중심으로 여러 무덤을 연접해 축조한 구조와 함께 백제 토기, 금제 장신구, 화장된 인골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축조 양식은 고구려 유적과 유사한 형태로 백제와 고구려 간의 문화적 연관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이다.

언플러그드

8.8Km    2025-08-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33길 26 (서교동)

‘언플러그드’ 이름 그대로 아날로그적 매력이 물씬 풍기는 카페다. 오래된 나무 바닥과 가구, 피아노와 기타, 턴테이블은 낡아서 더 멋스럽다. LP와 CD로 가득한 공간에서는 2017년도에 발매된 가수 아이유의 <잠 못 드는 밤에 비는 내리고> 뮤직비디오에서 느꼈던 포근함과 따스함이 감돈다. 낮 시간에는 인디음악에 커피와 디저트를 곁들이며 시간을 보내거나 매장 내에 상주하고 있는 강아지들을 만나며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저녁시간에는 지하 스튜디오에서 진행되는 인디뮤지션들의 공연을 실시간 라이브로 즐길 수 있으며 공연 소식은 인스타그램 또는 네이버 플레이스 공지를 참고하면 된다.

서울 약령시장

서울 약령시장

8.8Km    2025-08-2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10
02-969-4793~4

약령시(藥令市)는 원래 조선 효종 때 귀한 한약재의 수집을 위해 주요 약재 생산지에 관찰사를 상주시키고 왕명으로 만든 약재상 집결지이다. 그 당시에는 약재의 채취, 수확 시기에 맞추어 춘령시와 추령시로 1년에 두 번 열리는 계절장이었다. 현재는 서울약령시 이외에도 대구, 제천 등 전국에 여러 약령시가 있지만 서울약령시가 규모나 역사로 볼 때 가장 큰 시장이다. 현대적인 서울약령시의 역사는 196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 동부 도심권의 교통 요충지인 청량리역과 마장동 시외버스터미널을 중심으로 한약 상인들이 하나둘 모여들면서 구성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경기도와 강원도 일대의 농민들이 생산하거나 채취해 온 농산물과 채소 및 임산물들이 옛 성동역(城東驛, 현 한솔동의보감)과 청량리역을 통해 몰려들어 그 반입과 판매를 위해 인근 논을 매립한 공터에서 장사를 벌이기 시작하면서부터 자연히 시장이 형성된 것이 서울약령시의 시초이다. 1960년 6월 공설시장 개설 허가를 받은 후, 서울 시내에서 모든 농산물을 골고루 갖춘 가장 싸게 파는 시장으로 자리를 잡았으며, 특히 한약재의 주산지인 강원도 등과 철도 및 도로로 편리하게 연결되면서 급속히 발전하여 1960년대 후반에는 한약재 등의 특종 물품을 취급하는 전문시장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규모와 상품 구색을 갖추게 된 것은 1970년대이다. 종로 4가와 종로 5가에 모여 있던 전통적인 토박이 약재상들이 이곳으로 이사 오면서 서울약령시가 약재 집산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1970년대부터는 전국적으로 명성이 알려지면서 시장은 급격히 확대되었고, 1980년 8월에는 시장 근대화 사업을 촉진시켜 근대 시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83년부터는 인삼과 꿀까지 취급하면서 서울에서 소비되는 인삼과 꿀의 약 4분의 3, 전국 한약재의 약 3분의 2가 서울약령시를 통해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변천 과정을 거쳐 서울약령시는 전국에서 가장 큰 한약재 시장으로 자리를 잡았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약재시장으로 커나가고 있다. 그래서 중국과 대만, 홍콩, 일본, 뉴질랜드 같은 나라들과 활발한 수출입 활동을 벌이고 있다. 서울약령시장이 ‘서울약령시’라는 정식 명칭을 부여받은 것은 1995년 6월이었다. ‘서울약령시(전통한약시장지역)’로 지정된 이후 한약과 관련된 다양하고 새로운 시설과 제도들을 마련하고 운영하고 있다.

북촌한옥역사관

북촌한옥역사관

8.8Km    2025-04-04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4길 3

북촌한옥역사관은 종로구 계동 4길 3에 있으며, 한옥을 개조한 공간에서 북촌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다. 1920~1930년대 '조선집'이라 불린 소형 한옥과 이를 공급하면서 당시 '건축왕'이라 불렸던 기농 정세권 선생을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