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Km 2025-07-18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3길 29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에 들어와 처음으로 활동했던 종로구 연지동에 세워진 한국교회 100주년 기념관이다. 미국 장로교회 선교부에서 1900년경 이곳 대지(종로구 연지동 135번지)를 매입 후 기증으로 예장 통합 총회에서 1984년 8월에 한국교회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 개관하였다. 대강당, 기도실(양실, 한실), 세미나실/회의실(소형 강당으로 예배와 교육, 소형 행사 공간), 그레이스홀, 글로리아홀(약 1000석 규모) 대강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2019년 9월 총회 창립 100주년 기념관을 건립하여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가 건물 내에 있으며, 100주년 기념관 내 채플웨딩홀 네오트로는 기독교인들의 결혼식 장소로도 유명하다.
8.3Km 2021-03-13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5길 40
02-764-5814
새조개를 샤브샤브 방식으로 맛 볼수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샤브샤브이다.
8.3Km 2024-05-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19
원서공원은 현대건설이 현대그룹 사옥을 건립할 때 기업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한다는 의미로 시민들의 휴식을 위해 도심에 녹지 공간을 조성한 것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운동시설과 게이트볼을 즐길 수 있는 운동장이 있고, 벤치와 그늘이 조화롭게 잘 배치되어 있다. 현대그룹 직원들을 비롯해 인근 직장인들이 점심때 휴식과 산책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약 400m 거리에 있으며 도로변에 있어 약속시간 만남의 장소로도 활용된다.
8.3Km 2024-08-14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27
02-588-2489
우리는 환경보호와 동반성장, 공정무역을 지지하며, 크고 화려한 브랜드쇼보다는 작고 소박한, 그러면서 실속과 내실을 겸비한 오픈마켓을 지향한다. 활발한 커뮤니티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모델 제시함과 동시에, 지식기반의 정보교류와 가치확산을 위하여 전시와 경연, 세미나가 균형을 이루는 소통과 나눔의 장이 되고자 한다. 올해에는 특히 B2B, B2C [커피&디저트쇼(제1전시장)], [티&리빙페어], 상호보완과 시너지효과를 바탕으로 명실상부한 "카페전문종합전"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COFA는 무엇보다 원부재료, 기계기구 등 기초산업에 주목한다. 마이크로로스터와 스몰로스터, 예비창업자와 마니아 등 카페의 문화적 확산을 그리워하는 수많은 ‘개미’들에게 초점을 맞춘다. 카페문화의 실질적인 주역들과 함께 유쾌, 상쾌, 통쾌한 한판 "페문화축제"를 펼친다.
8.3Km 2024-07-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2길 40
북촌 한옥마을의 이색카페, 옛 위인이 살던 집터에 위치한 카페 미러룸이다. 입구에 우뚝 선 직사각형의 거울 대문을 지나면 야외 공간이 나온다. 한옥의 마루로 이뤄진 자리와 현대적인 테이블이 공존하고 있다. 야외를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유서 깊은 한옥을 ‘거울의 방’으로 꾸몄다.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모티브로 한 덕분에 영롱하고 신비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건강에 좋은 한국 전통차와 각종 디저트, 샌드위치를 맛볼 수 있다.
8.3Km 2024-07-01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6 (성수동1가, 트리마제)
대흥정육식당은 질 좋은 소고기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통창으로 깔끔한 외관이 눈길을 끌고, 식당 내부도 화이트 톤에 우드 스타일을 섞어 편안한 느낌이다. 표 메뉴이자 단일 메뉴는 소고기 모듬이다. 육즙이 많고 부드러워 누구나 즐겨 먹을 수 있고, 마지막 볶음밥도 빼놓지 말아야 할 별미이다.
8.3Km 2025-07-22
경기도 과천시 경마공원대로 107
동남쪽의 청계산, 북쪽의 관악산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의 북쪽에 접한 국제규모의 경기장이기도 하다. 한국마사회가 1984년 5월에 착공하여 1988년 7월에 완공하였다. 1986년 제 10회 아시아경기대회와 1988년 제 24회 서울올림픽대회를 치르고 1989년 9월 개장하였다. 주요시설로는 지하 1층~6층 건물인 관람대와 모래마장인 주경기장이 있고 그 사이에 마체(馬體)검사장이 있다. 관람대는 지하 1층·지상 6층의 규모로 길이 210m, 폭 50m에 달한다. 각층마다 마권판매소와 식당,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있다.
8.3Km 2025-01-09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 청와대
1522-7760
북악산 등반의 새로운 시작점으로 떠오른 백악정은 청와대 관저 뒤편 쉼터로 춘추관 옆 담장을 따라 20분 정도 오르면 만날 수 있다. 이는 역대 대통령들이 가장 즐겨 찾던 산책 코스이기도 하다. 백악정 쉼터 오른편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휘호 여사가 함께 심은 느티나무가, 왼편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권양숙 여사가 식수한 서어나무가 자리하고 있다.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 마치 사이좋은 형제가 서로의 손을 잡아 이끄는 형상처럼 보인다. 두 나무에서 100m쯤 떨어진 곳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심은 은행나무도 있다. 2022년 청와대 개방 소식은 수많은 국민 중에서도 유독 등산객들에게 큰 환대를 받은 바 있다. 2020년에 북악산 북쪽에 해당하는 청운대, 평창동 구간을 개방한 것을 시작으로 2022년 4월에는 숙정문, 청운대, 삼청동 구간을 추가로 개방했으며, 2022년 5월 청와대 전면 개방과 더불어 북악산의 남측인 청와대, 백악정, 칠궁 구간을 개방하면서 온전한 북악산 등반의 호사를 누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8.3Km 2025-06-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50 (소격동)
1988년 아시아의 경제 중심지 서울에서 문을 연 학고재(學古齋)는 급속한 성장을 거듭해온 한국의 미술시장의 중심에 서서 한국 미술이 동시대 세계 문화 속에서 어떻게 어우러지고 성장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해오는 곳이다. 학고재라는 이름은 논어(論語)의 ‘옛것을 배워 새것을 창조한다(學古創新)’는 이념에서 따왔다. 옛것을 배운다는 것은 단순히 과거에 대한 지식을 쌓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근대화에 뒤져 식민지 경험을 하고 남북분단의 비극을 겪은 한국에서 옛것을 배운다는 것은 무엇보다 처절한 자기반성을 동반하는 것이다. 역사에 대한 바른 인식과 반성 위에서 당당하게 자신을 열어 세계의 문화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이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이며, 그 이념과 지향이 오늘날 학고재를 전통과 현대 지역과 세계를 잇는 갤러리로 성장하게 했다. 1995년에 리모델링한 삼청동 학고재의 본관 건물은 옛것을 상징하는 전통 한옥으로 2008년에 개관 20주년을 맞아 신축한 신관은 21세기의 건축 양식으로 그 개성을 자랑한다. 앞에는 어제의 교훈을 되새기는 건물, 뒤에는 오늘의 모색이 숨 쉬는 건물이 마주하고 있어 우리가 창조해야 할 내일의 모습을 가늠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