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Km 2025-07-23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767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고경명(1533~1592)과 고경명의 아들인 고종후, 고인후 및 금산전투에서 같이 순절한 유팽로, 안영을 배향하고 있는 사당이다. 광주와 전남 지역 서원과 사우 중에서 장성 필암서원과 함께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1868년, 고종 5) 때 훼철되지 않은 곳이다. 호남 지역 유학자들이 고경명 등을 기리기 위하여 지금 자리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1603년(선조 34) 박지효 등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와 고경명의 후손들이 사액을 청하여 조정에서 포충(褒忠)이란 이름을 받았다. 이후 수차례 중수가 되었다. 포충사는 신사우 구역과 구사우 구역로 나누어진다. 신사우 구역에는 사당인 포충사와 내삼문인 성인문이 있으며, 내삼문 앞에는 유물전시관인 정기관과 외삼문인 충효문이 있다. 구사우 구역은 신사우 구역의 서쪽에 있으며, 사당과 동재, 서재 및 내삼문, 외삼문이 있고, 입구에는 홍살문이 있다.
10.7Km 2024-01-23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로 95
여수회수산은 대부분의 테이블이 각각의 룸에 마련되어 있어, 조용한 식사를 원하는 손님들이 즐겨 찾는 식당이다. 상견례, 기념일 등에 즐기기 적합하다. 각종 수산물이 깔끔하게 차려져 나오는 한상은 고풍스러운 인테리어와 어우러져 음식의 품격을 더한다. 참돔, 감성돔, 대방어, 광어 등의 활어회를 맛볼 수 있으며 굴비정식, 갈치조림 등의 점심특선 메뉴도 맛볼 수 있다. 경암근린공원, 하남근린공원, 유애서원 등이 근처에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기기에 수월하다.
10.7Km 2024-08-20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00
월곡시장은 광산구 월곡동에 있는 전통시장으로 채 50여 점포도 되지 않는 작은 시장이지만 끊임없이 손님이 오가는 재미있는 시장이다. 무려 8개의 입구가 있어, 시장 이곳저곳을 미로처럼 찾아다니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데 규모가 작은 시장이어서 길 찾기에 어려움은 없다. 시장 내부는 바닥공사와 쿨러 사업 등을 통해 깔끔하게 잘 정돈되어 있다. 예전엔 주로 수산물이나 참기름 등을 취급했지만, 지금은 채소, 과일, 떡, 공산품 등 없는 게 없어 가볍게 장보기 좋은 시장이다. 이곳에선 흥정도 가능하고 덤도 푸짐하게 주는 곳이 많아 젊은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특히 시장 입구 쪽에 다양한 음식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어 시장 내 식당에서 맛있는 음식도 먹고 재미있는 사진도 남길 수 있다.
10.7Km 2025-03-31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위기와 고유가로 대표되는 자원위기에 동시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는 연이은 기상재해를 유발하여 생태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자원고갈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과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우리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 세계 7위(IEA, 2018 기준)이며, 세계 9위의 에너지 소비 수입국으로 우리나라 공급에너지의 94%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은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이다. 이에 발맞춰 녹색에너지체험관은 에너지절약이 왜 필요한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은 무엇인지를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체험관이며, 화석에너지, 환경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에너지를 소개한다. 녹색에너지체험관은 에너지 접속존, 화석에너지와 기후변화, 에너지를 지켜라 존, 희망의 에너지 아크존, 유쾌한 녹색도시 존, LED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10.8Km 2025-07-04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과기로 109
광주과학기술원 옆 꽃담은 주차장이 넓어서 가족 단위로 방문하기 편하고, 매장이 크고 넓어서 모임이나 단체로 식사하기에 좋다. 대표메뉴는 떡갈비 정식이며 숯불갈비 정식도 유명하다. 떡갈비, 숯불갈비와 함께 찌개, 떡국, 나물, 고등어구이, 비빔냉면, 잡채, 묵사발, 껍데기 볶음 등이 한 상 푸짐하게 나와 보기에도 즐겁고, 맛을 보면 포만감과 함께 만족감도 느낄 수 있다.
10.8Km 2025-01-07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큰재전원길 25
카페 리고(Lee;Ko)는 전라북도 화순군 화순읍에 위치해 있는 카페로 편백나무에 둘러싸인 숲속 카페로 유명하다. 블랙 간판이 있는 화이트 톤의 건물로 들어서면 초록숲이 보이는 넓은 유리창이 시원스럽게 느껴진다. 수제청과 디저트를 직접 만드는 디저트 맛집으로 마카롱, 케이크, 스콘 등 디저트류가 진열되어 있다. 카페 곳곳에는 감각적인 소품들과 포토존들이 있으며, 야외에는 편백숲이 있어 산책하기에도 좋다. 카페 옆에 수만리 빵집을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주차장이 넓어 주차 걱정이 없다.
10.8Km 2025-08-04
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진각로 276-33
만연산 중턱의 동서를 이어 조성된 오감연결길 일대는 자연체험과 치유공간을 갖춘 산림 문화단지이다.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다섯 가지 감각을 깨운다고 해서 오감연결길이다. 이 길은 소나무, 참나무, 수국 등이 어우러져 자연의 소리와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숲길은 일상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공간이기도 하다. 동구리 호수공원에서부터 만연산 오감길, 수만리 큰재까지 이어지는 산림자원은 울창한 숲에서 발산되는 피톤치드와 음이온으로 심신을 순환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는 힐링의 명소이다. 오감연결실 출발점에 만연산 치유센터가 있어 명상과 요가, 족욕 등 다양한 숲 치유 프로그램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치유의 숲 센터에서 유천리 만연폭포 인근 안양산로인 기존도로까지 오감연결길은 약 1시간 정도 소요되는 거리이다. 다양한 코스가 있어 전문 등산객과 초보자에게 맞춤 코스를 제공하며 계단이 없는 무장애 길이여서 남녀노소 누구나 편하게 산행을 즐길 수 있다.
10.9Km 2025-04-09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공원로50번길 29
월곡 고려인 문화관 ‘결’은 총 2층으로 이루어져 1층은 역사, 문화관 ‘숨결’과 주민소통방 ‘금결’이 위치한다. 역사문화문화관에는 스탈린의 한인강제이주정책의 피해자인 고려인들의 이주 역사와 일제강점기 항일 무장운동, 문화운동의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2층은 기획전시실로 광주 한글학교 개교 30주년 기획전과 고려인 음악가 한야꼬브 작곡가 특별전이 전시 중이다. 기획전시실의 경우, 그때그때 다른 테마를 가지고 꾸며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