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Km 2025-05-19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일로94번길 37 (상동)
골든 플레이버는 부천시 원미구 상동, 로데오 거리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3층에 매장이 있어 찾기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카페의 출입구가 앞뒤로 있어 편리하다. 다양한 종류의 수제 디저트가 있으며, 콤포트 치즈케이크는 산딸기와 블루베리 중 선택이 가능하다.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과 좌석이 있어 선택하여 앉을 수 있고. 카페 곳곳에 배치된 조명과 인테리어 소품은 포토존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스페셜티 생두와 최고 등급의 생두로 로스팅 하여 커피 추출을 하고 있어 드립커피가 인기다. 커피 외에도 다양한 음료가 준비돼 있고 카페 내부 벽에는 스페셜티 관련 수료증과 액자가 걸려있다. GF 커피 아카데미와 함께 운영되고 있으며, SCA 자격증과 창업 상담도 가능하다. 송내역 2번 출구에서 가깝다.
9.6Km 2024-01-03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3가 한강대로15길 (27)
소고기, 닭, 버섯을 따로 육수 내어 최적으로 블렌딩한 맑은 육수에 경기도 '이천쌀'로 뽑은 쌀면을 사용한 한국적인 쌀국수를 요리하고 있다. 베트남 향신료인 고수를 넣지 않고, 우리나라의 허브라 불리는 '방아잎'을 넣는다.
9.6Km 2025-01-14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4길 7
카페미우는 서울 효창공원역을 지나 경의선 공원 인근에 위치한 핸드드립전문 카페이다. 카페의 이름은 사장님의 반려견 미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핸드드립 커피 외에도 다양한 음료와 수제간식을 판매한다.
9.6Km 2025-05-16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77번길 19-24 (상동)
제니스 관광호텔은 7호선 상동역 근처에 있는 관광호텔이다. 넓고 깔끔한 1층 로비에서 체크인하거나 지하 주차장 무인 시스템을 통해 편하게 체크인 할 수 있다. 이 호텔은 2층에 비즈니스룸이며 3층부터 8층까지 일반 객실로 되어 있다. 이곳은 무임정산기 설치 업소로 체크아웃을 편하게 할 수 있다. 근처 상동호수공원과 부천 영상문화단지 등의 볼거리가 있다.
9.6Km 2021-03-1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8길 2
02-364-3948
40년 넘게 운영되는 이화여대 근처 분식집이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치즈떡볶이다.
9.6Km 2022-05-2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2가길 24
02-6406-2172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카페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카페다. 대표메뉴는 팬케이크다.
9.6Km 2024-07-26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의골로 155
에제르파크는 ‘구원자의 뜻’으로 일상에 지친 많은 사람들에게 쉼을 통한 힐링의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푸른 소래산 자락이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탁 트인 전망과 맑은 공기를 함께 느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곳은 당일 4시간 바비큐와 취사가 가능한 피크닉존, 여유롭게 커피와 휴식을 즐기는 레스트존,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키즈존 등 다양한 문화를 즐길 수 있는 패밀리 문화복합공간으로 꾸며져 있다.
9.6Km 2025-05-16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일로199번길 56 (상동)
대치순대국은 경기도 부천시 둘리의 거리에 위치한 순대국 전문점이다. 깔끔하고 잡내가 없는 순대국이 대표메뉴이다. 진한 육수를 우려내어 순대와 고기가 푸짐하게 들어갔다. 테이블마다 작은 항아리 용기가 있는데, 안에는 굵은소금과 들깨가루가 들어있어 취향에 따라 순대국에 넣어 먹는다. 육수와 반찬이 부족하면 추가로 먹을 수 있다.
9.6Km 2025-07-30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대현동)
02-3277-3152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35년 4월 6일 처음으로 개관되었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에 유엔군과 외교사절단에게 한국 문화를 알리고 문화재의 해외유출도 막고자 부산임시교사인 필승각에 박물관을 재개관하여 일반인들에게도 관람할 수 있게 하였다. 1950년대에는 김활란 박사의 개인 소장품 수백 점을 기증받았고, 1960년대에는 박물관 단독 건물을 신축하여 상설 개관하고 체계적인 유물 정리를 시작하였다. 1963년 최초의 여성발굴단을 구성하여 안동 조탑동 고분을 시작으로 남한 최초의 신라 벽화고분인 순흥어숙묘, 광주 조선백자 관요지 발굴 등을 시행하여 학술적인 성과를 이루었다. 1972년부터 해마다 소장품 특별전과 전시도록을 발간하여 본격적인 박물관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1990년에는 소장품의 관리와 박물관 전시, 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본교 창립 100주년 기념 박물관으로 신축되어 현대적인 공간이 마련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고대와 현대를 접목하는 특별전이 기획되었고 박물관의 체계적인 유물 정리와 홍보를 위한 유물 전산화 작업과 홈페이지가 운영되었다. 2005년에는 박물관이 증축되어 확대되었으며, 이후 현대미술전시관이 신설되어 더욱 다양한 전시의 기획이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