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Km 2025-05-30
경기도 시흥시 동서로857번길 28-18 (물왕동)
플라워팟베이커리카페는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매일 현장에서 맛있는 빵을 만들어 제공한다. 다양한 빵 이외에도 케이크, 타르트를 판매하고 있다. 또한, 함께 마실 수 있는 커피, 라테, 차, 스무디 등을 판매한다. 총 3층 건물로, 2층에는 음료 및 베이커리를 판매하는 공간과 좌석이 있다. 3층에도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좌석이 있다. 매장 내부는 넓고 쾌적하다.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14.9Km 2025-04-07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971년 활주로가 있던 자리에 여의도 광장으로 문을 연 여의도공원은 다양한 국가 행사와 휴식의 여가를 담당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1999년 1월 검은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녹색 쉼터로 새롭게 태어난 여의도공원은 자연생태의 숲, 문화의 마당, 잔디마당, 한국 전통의 숲 등 4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문화의 마당은 각종 행사와 공연 등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문화행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한 광장 안에는 태극기 게양대와 공군기념조형물인 비행기가 설치되어 있어 의미 있는 장소로도 이용한다. 이 비행기는 C-47 수송기로, 1945년 8월 18일 한국광복군 정진대를 태우고 미국 OSS부대와 함께 여의도에 착륙했다. 광복 이후 3일 만에 한국광복군이 서울에 도착한 것이다. C-47 비행기 전시관이 있는 위치가 C-47이 착륙했던 위치다.
14.9Km 2025-06-09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로23길 20 망원빌
망원동에 위치한 화실 드로잉스페이스 간격은 일상 속에서 예술을 쉽고, 자유롭게 접하게 하기 위한 화실이다. 원데이클래스 수업과 한 달간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정규반을 운영 중에 있다. 원데이클래스 수업은 1일 3시간으로 운영 중이며, 정규반 클래스는 4주 결제 후 매주 1회 티칭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 중에 있다. 또한, 티칭 외 오픈 시 자유롭게 방문하여 미술창작 활동을 할 수 있다. 2019년에 시작하여 현재까지 많은 회원들과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미술 수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월 1회 야외 스케치, 인체, 인물 드로잉 활동 진행하고, 토요일 저녁 격주로 크로키 모임으로 진행한다.
14.9Km 2025-07-30
인천광역시 중구 연안부두로 70
인천항연안여객터미널은 인천 중구 항동에 위치한 인천항과 서해 도서지역을 연결시켜 주는 여객터미널이다. 연면적 6,482.88㎡의 연안여객터미널은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표소와 음식점, 편의점, 카페 등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비상 상황 발생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할 수 있는 해상안전 체험관이 마련되어 있다.
14.9Km 2024-01-30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은행로 3 익스콘벤처타워
노조미일식은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3번 출구 부근에 있다. 매장 안은 나무 무늬 원목과 정통 일본식 인테리어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객실은 단체석과 개별 룸을 완비하고 있어 각종 단체 행사나 가족 모임, 비즈니스 자리까지 적합하다. 대표 메뉴로는 모둠초밥과 정식메뉴가 있다. 그 외에 사시미 특선과 세트메뉴, 단품메뉴도 맛볼 수 있다.
14.9Km 2021-03-10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로11길 3
02-322-3230
데이트 장소로도 손색이 없는 망원동 수창골에서 곱창전골의 맛을 느껴보기 바란다.
14.9Km 2025-01-21
인천광역시 연수구 신송로 122 송도프라자
봄이보리밥은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한 한식 전문점이다. 다양한 구성의 보리밥 반상 메뉴가 있는데, 대표 메뉴는 오색나물과 청국장, 보리밥으로 구성된 봄이 보리밥이다. 이 외에 갈치 보리밥 반상, 간장게장 보리밥 반상, 제육 보리밥 반상, 오징어볶음 보리밥 반상 등의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돼지갈비찜, 벌교 꼬막무침, 미나리전 등과 같은 단품 메뉴도 주문이 가능하다.
14.9Km 2025-06-26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323 (상암동)
제일라아트홀은 상암동에 위치한 250석 규모의 대관 가능한 지하 공연장이다. 스탠딩 공연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의 공연과 행사가 가능한 다목적 홀이다. 스탠딩 기준 1,000명, 좌석기준 35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다. 무대에서 1층 맨 뒤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고 무대를 스탠딩과 좌석 모두에 적합한 높이로 맞춰 객석 어디에서나 같은 환경으로 관람할 수 있게 만들었다. 2층 관람석은 갤러리처럼 만들 카페처럼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했다. 무대는 이동식으로 제작되어 새로운 연출 및 각종 전시가 가능하다. 음향시설과 장비가 붙박이로 설치되어 있어 최적의 라이브 환경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