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Km 2025-08-18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14 (화수동)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에 위치하고 있는 화도진 전시관은 외세의 개항 압력을 둘러싼 근대사의 전개 과정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해 화도진 동헌의 일부였던 행랑채를 전시관으로 개조하여 역사적 사건인 한미수호 통상조약과 관련된 인물과 당시 집기류와 무기류, 군사장비를 전시하고 있다. 진은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 관제의 하나로, 화도진의 설치는 인천을 개항 후보지로 요구할 것에 대비하여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축조토록 명하여 1879년 완공되었다. 이곳은 수도 서울로 통하는 수로 관문이었다. 화도진전시관은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복원한 각 동의 모습이 작은 민속촌이라 할 수 있고, 공원으로 조성된 주변환경과 더불어 역사교육의 학습적 기능과 문화관광의 기능을 더 높여 준다. 실제로, 각종 기념 촬영의 공간이 되기도 하고, 인공폭포가 있는 광장에는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바로 옆에는 화도진도서관이 있다.
7.7Km 2024-06-24
인천광역시 중구 홍예문로 13 최고집,놀이터노래타운
인천에서 맛있는 고기로 소문난 20년 전통의 맛집이다. 소고기, 갈매기살 전문점으로 질 좋은 고기를 선별작업하여 제공하고 있다. 빨간 간판이 멀리서도 눈에 띈다. 1999년에 오픈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다는 이곳은 노포감성이 느껴지는 맛집이다. 2층에는 단체를 위한 연회석도 완비되어 있다.
7.7Km 2025-07-21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29-1
032-772-1504
대성불고기는 인천 중구에 위치해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한우이지만 삼겹살과 식사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고기는 숯불에 구워 먹는 형태이며 음식 주문 시 김치, 오이소박이, 나물무침 등이 다양하게 준비된다. 고기는 전체적으로 질이 좋으며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다. 한우 불고기는 끓어져서 나오며 달달한 간장양념에 호불호 없이 음식을 즐길 수 있다.
7.7Km 2024-02-27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로 63
wknd Lounge는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로에 있다. 이곳은 2층으로 된 디저트 카페다. 건물의 외관은 화이트톤으로 지어져서 화사하다. 카페 내부 유리는 통유리로 되어 있어 밖의 전경을 볼 수 있다. 내부는 6인석 테이블, 4인석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의 커피 메뉴는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아인슈페너, 아몬드크림라떼 등이고, 쿠키, 머핀, 생딸기마카롱, 당근케이크, 뉴욕치즈케이크, 레드벨벳케이크 등 다양한 디저트 메뉴가 있다. 카페 인근에는 자유공원, 인천개항박물관, 인천광역시역사자료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7.7Km 2024-12-26
경기도 시흥시 비둘기공원로 25 (대야동)
경기도 시흥시의 공공도서관으로, 비둘기공원로 25(대야동 562-4)에 소재한다. 시흥시 중·북부 지역 공공도서관과 공립작은도서관을 총괄하고 있다.
7.7Km 2025-03-17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14
진은 진영(鎭營)을 줄여 부르는 말로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관제의 하나이다. 화도진은 조선 후기 자주 나타나는 서구의 함선을 감시하기 위해 군대가 주둔하던 곳으로 장도포대와 논현포대를 관장하였다. 화도진의 설치는 인천 항구의 개방을 요구하는 일본에 대비하여, 조정에서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에게 만들도록 하여, 1879년 완성되었다. 그러나 갑오개혁에 따른 군대 관리제도 개혁으로, 진이 철폐되고 건물도 철거되었다. 한편, 화도진은 1982년 화도진을 그린 ‘화도진도’를 보고 옛 건물을 복원하였다. (출처 : 국가유산청)
7.7Km 2025-03-17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14
화도진은 구한말 인천 앞바다의 해안경계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신미양요와 운양호 사건 등 미국, 프랑스, 일본의 잇따른 내습에 자극받아 수도 서울의 유일한 수로관문이었던 현 화수동 138번지 일대에 위치하여 있다. 한미수교 1백 주년이 되는 지난 1982년 인천시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기념 표지석을 세웠다. 이후 1988년 12월에 동헌, 안채, 사랑채, 전시관 등 옛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화도진병영을 완전 복원하고 각종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을 갖춰 도심의 아늑한 휴식공간을 조성,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거듭 태어났다. 동헌은 관리들이 집무를 행하던 장소로 당시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모습이 밀랍인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내사는 안주인의 거처로 안채라고도 부르며 안방에는 보료, 반짇고리, 버선장, 3 층장, 반닫이 등 각종 유물들이 진열되어 있고 대청마루에는 찬장과 쌀뒤주, 장탁자들이 당시의 생활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학덕이 높고 사회적 지위나 가세가 넉넉할수록 그 규모가 크고 당대 사회문화의 척도로서 주인의 정신적 성향, 경제적 능력을 말해주는가 하면 수군기지였던 화도진에서의 사랑채는 병사들이 기거하던 병영건물의 하나로 사용했다.
7.7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신포로27번길 36 (관동2가)
누들플랫폼은 인천 중구의 누들로드 중심에서 누들을 테마로 인천 누들의 역사와 이야기를 바탕으로 전시·교육·체험이 함께 이뤄지는 복합문화공간이다. 총 3개 층으로 구성된 누들플랫폼은 짜장면, 쫄면 등 대중이 즐기는 ‘누들’의 발상지인 인천을 중심으로 발전한 다양한 누들을 소개하는 전시공간이 있으며, 어린이들이 직접 체험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누들체험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어린이부터 청소년, 예비 외식 창업자, 일반인 등의 교육공간으로 직접 요리할 수 있는 공유주방(키즈쿠킹교실, 희망조리실, 오픈요리실)도 마련되어 있으며, 누들을 주제로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7.7Km 2025-05-12
경기도 시흥시 서해안로 지하1670 (대야동)
‘늠내’는 고구려시대의 ‘뻗어 나가는 땅’이라는 의미이다. 경기유일의 내만갯골을 지닌 시흥은 걷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아름다운 풍경과 걷기 좋은 길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늠내길은 인공적인 요소를 최대한 줄이고 자연을 그대로 느낄 수 있게 찾아낸 길이다. 늠내길은 총 6코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3코스인 옛길은 시흥대야역 3번 출구에서 시작하여 상대야동~여우고개~하우고개~소내골~계란마을약수터~소산서원~청룡약수터~소래산마애상에서 다시 상대야동을 지나 시흥대야역으로 돌아오는 코스이다. 길이는 총 13㎞로, 소요시간은 4시간이다. 조상의 발자취가 묻어있는 옛길은 심하게 가파르지도 그렇다고 평탄하지도 않은 길들이 이어진다. 옛사람들이 넘나들던 고개가 마을과 마을을 잇는다. 옛길에 들어서면 울고 웃으며 살아가던 옛사람들의 흔적을 만나볼 수 있다.
7.7Km 2025-08-29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22 화도진도서관
화도진도서관은 1988년 개관한 시민문화 생활의 공간이며 유서 깊은 화도진공원 및 인천항과 근접한 도서관이다. 인천개항과 관련된 많은 자료가 비치된 인천지역 유일의 향토 개항문화자료관이 있다. 지식정보사회의 정보제공을 위하여 일반도서, 참고도서, 큰글씨도서, 청소년도서를 소장하고 있는 일반자료실, 아동도서, 교과연계도서, 다문화도서, 영어도서를 소장하고 있는 어린이자료실, 국내외 잡지와 신문, 정부간행물 등 각종 간행물을 소장하고 있는 연속간행물실, 멀티미디어 자료와 온라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자료실이 있다.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시각장애인실도 운영하고 있다. 화도진도서관에서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평생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주민들이 자기계발에 힘쓰도록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