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문예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강화문예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강화문예회관

강화문예회관

4.3Km    2025-08-11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19번길 12

1991년 12월에 건립된 강화문예회관은 강화읍의 공설운동장 내에 있으며 연면적 4,056㎡에 지층, 지상 1층, 지상 3층으로 건립되었다.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각종 공식 행사는 물론 문화공연과 체육행사 등 꾸준히 개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문화의 집을 개관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새로운 종합 문화공간으로서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해 대표적인 문화시설로 자리매김 중인 문예회관의 주요 시설을 살펴보면 지층에는 식당과 기계실이 있고 1층에는 수용인원 1,300명의 대공연장이 있으며 대규모 문화행사는 대공연장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강화 석수문

강화 석수문

4.3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강화읍의 중심부를 흐르는 동락천 위에 설치하였던 수문이다. 조선 숙종 37년(1711)에 강화산성의 내성을 쌓을 때 연결하여 처음 설치하였으나, 광무 4년(1900)에 갑곶 나루터의 통로로 삼기 위하여 개천 어구에 옮겼다. 그 뒤 1977년에 다시 지금의 위치로 옮겨 복원하였다. 길이는 18.2m이고 높이는 2.7m, 너비는 4.7m이다. 무지개 모양의 수문이 3개이며, 화강암을 다듬어 쌓았다. (출처 : 국가유산청)

강화명과 금방

강화명과 금방

4.4Km    2025-01-15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고비고개로 8

우리밀로 반죽하고 강화도 제철 특산물인 강화도 새우, 고려인삼, 사자발약쑥 그리고 국내산 땅콩 및 비정제원당과 유지방 100% 뉴질랜드산 버터로 빚어낸 수제 전병을 판매한다.
강화명과 금방의 전병은 합성첨가물 NO, 트랜스지방 NO, NON GMO의 착한 과자이며 강화에서 좋은 제철 재료들을 엄선해 이를 가치 있게 소비할 수 있도록 보석 같은 먹거리를 만들고 있다. 일회용 포장재, 플라스틱 줄이기를 시작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친환경 기업이며 지역 사람들과 함께 성장해나가는 로컬기업이다.

오읍약수터

오읍약수터

4.5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북문길 110 오읍약수터

강화 산성 북문을 지나 숲 속 오솔길을 따라가면 오읍(五泣) 약수터가 있다. 고려 고종 때 북문 건축 시 기우제를 올려 하늘에서 내려주었다는 약수이다. 오읍약수터의 약수는 그 효능이 알려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물을 마시며 건강을 챙기고 있다. 약수터 주변은 푸르른 숲과 맑은 공기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 이상적인 곳이다. 또한, 오읍약수터는 넓은 휴식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도 인기가 많다. 이곳은 단순히 약수를 마시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산책로를 따라 걸으며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장소로도 사랑받고 있다. 오읍약수터는 강화도의 역사와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중요한 명소로, 힐링과 건강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곳이다.

오두돈대숯불장어

오두돈대숯불장어

4.5Km    2024-12-23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해안동로 714
032-937-8592

오두돈대숯불장어는 강화군 불은면 해안동로에 자리한 장어구이 전문점이다. 주차장이 넓어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고 음식점의 외관은 고즈넉한 한옥채이다. 모두 통창으로 되어있어 음식점 내부의 전좌석에서 바다경치를 즐길 수 있다. 대표 메뉴인 장어구이는 민물장어 갯벌장어로 구분되어 있고 직접 재배한 야채를 사용한다.

강화산성

강화산성

4.6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 산3번지

강화읍을 에워싸고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몽골의 침입으로 백성과 국토가 수난을 당하자, 당시 실권자인 최우는 1232년 강화도로 수도를 옮겼다. 왕궁과 성·관아 시설은 1234년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이때 개경의 궁궐과 비슷하게 지어 산의 이름도 송악이라 지었다. 성은 흙으로 쌓았고, 내성·중성·외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성은 주위 약 1,200m로 지금의 강화성이다. 중성은 내성을 지키기 위해 쌓았으며, 외성은 1233년 강화 동쪽해안을 따라 쌓았다. 이 외성은 몽골군이 바다를 건너 공격하지 못하게 한 가장 중요한 방어시설이자, 정부가 39년간 육지로부터 물자를 지원받았던 곳이기도 하다. 고려 원종 11년(1270) 개경으로 수도를 다시 옮기면서 몽골과 강화조약의 조건으로 성을 모두 헐게 되었다. 조선 전기에 내성이었던 강화성을 축소하여 다시 지었다. 1637년 병자호란 때 청군에 의해 다시 파괴당하였고, 숙종 3년(1677)에 성을 보수하면서 모두 돌로 쌓고 넓혀 지었다. 남문인 안파루·북문인 진송루·서문인 첨화루와 동문인 망한루가 있으며, 비밀통로인 암문 4개 그리고 수문이 2개 남아있다. 높은 곳에서 망을 보기 위한 장대와 성위에서 몸을 감추기 위한 여장 등의 방어시설도 갖추고 있었으나 여장은 모두 무너졌다. 현재 성의 동쪽 부분은 없어졌으나, 남북 쪽 산자락은 복원 정비되어 있다. 조선 후기 병인양요·신미양요와 일본 침략에 의한 강화조약을 체결한 수많은 외세침략의 역사적인 현장이다. (출처 : 국가유산청)

강화향교

강화향교

4.7Km    2025-08-28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향교길 58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인 강화향교는 지방의 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한 교육기관이다. 고려 1127년 현재 내가면 고천리에 창건되었다. 1232년 강화읍 갑곶리로 옮겼다가 이후 서도면 볼음도로 옮겼다. 1624년 당시 강화유수였던 심열이 송악산 기슭으로 또다시 향교를 옮겼다. 1629년 명륜당을 세워 학교로 승격시켜 학궁이라 칭했다. 1673년 유수 민시중이 남산 근처로 옮겼다가 1731년 유수 유척기가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강화향교의 건축물은 대성전, 동무와 서무, 내삼문, 명륜당, 동재와 서재, 외삼문 등으로 구성돼 있다. 명륜당은 향교 학생들이 모여 공부하던 강당이다. 국가로부터 토지·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였으나 현재는 교육 기능은 사라지고 배향 기능만 남아있다.

국화지낚시터

국화지낚시터

4.9Km    2025-03-14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길 51
010-3448-6783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국화리에 위치한 낚시터로 상수원 보호 지역으로 낚시가 금지되었다가 99년 봄부터 관리형으로 변경되었다. 수질이 매우 양호하며, 연안 좌대를 설치해 낚시를 즐기기에 편하다. 강화읍에서 가까이 위치해 있어 많은 낚시 관광객들이 찾는 곳이다. 주변에 매점, 식당 및 숙박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고 아늑한 분위기 속에 가족 나들이 장소로 손색이 없다. 인근 관광지로 석수문, 강화향교, 소창체험관 등이 있다.

김포캠핑파크

김포캠핑파크

4.9Km    2025-03-27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용강로 325

김포캠핑파크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용강로 325에 위치하고 있다. 낚시체험장, 집라인 체험장, 놀이방 체험장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부대시설로는 수영장, 스포츠게임장, 매점, 카페, 운동장, 탁구장, 배드민턴장이 마련되어 있다. 주변 둘러볼 만한 관광지로는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태산패밀리파크,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강화 고인돌 유적 등이 있다.

카페 두운리

카페 두운리

5.0Km    2025-03-13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불은북로 36-8

카페 두운리는 인천 강화도 두운리에 위치한 약 580평 규모의 대형 카페이다. 두운리는 ‘구름이 머무르는 자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카페는 모던하고 현대적인 느낌의 본관과 싱그러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온실로 나뉘어 있어 취향에 맞게 좌석을 선택하여 앉을 수 있다. 주변 경관이 계절마다 변하는 다양한 모습을 느낄 수 있어 아이와 함께 찾기 더욱 좋은 곳이며, 매일 갓 구운 맛있는 빵, 그리고 유니크한 디저트와 음료가 인기가 많다. 바쁜 일상 속 가족과 친구, 연인과 함께 잠시나마 편안한 휴식을 취하기 완벽한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