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Km 2025-07-11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여량면 구절리
오장폭포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여량면 구절리 있는 인공폭포이다. 강원도 정선군 높이 1,332m의 노추산 남서쪽 줄기인 오장산에서 발원한 물로 조성되었다. 규모는 경사길은 209m이고 수직 높이는 127m로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이다. 오장폭포의 계곡물은 노추산의 수려한 계곡을 가르고 송천으로 떨어져 내린다. 길고 장엄한 폭포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폭포 주위로 봄에 철쭉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루며, 여름에는 양쪽 봉우리의 푸르른 나무들이 더욱 멋진 풍경을 연출한다. 인근에 레일바이크, 아우라지, 노추산 이성대, 자개골 등 많은 명소가 있어 여행하기 좋다.
16.8Km 2025-03-17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579번길 24
강릉시 가톨릭관동대학교 캠퍼스 내에 위치한 하키센터이다. 강릉하키센터와 함께 2018 평창동계올림픽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리는 곳이다. 지상 4층, 지하 1층의 규모로 6,000석의 관중석이 마련되어 있다. 경기장은 국제 규격에 맞춘 길이 60m, 너비 30m 규모의 아이스 링크가 주 경기장과 보조 경기장에 각각 1면씩 설치되어 있다. 동계 올림픽에 앞서 시범 대회로 2017년 U-18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와 2017 IIHF 아이스하키 여자 세계선수권대회 디비전 Ⅱ 그룹 A 경기를 강릉하키센터와 동시에 개최하였다.
16.9Km 2025-01-13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 364
삼교리 동치미막국수(본점)는 40여년 전 주인장이 강원도 주문진 삼교리에서 동네 주민들에게 막국수를 대접하면서 시작된 식당이다. 1년 이상 숙성한 동치미 국물로 육수를 만들고 국수는 매장에서 주문 즉시 뽑아 만들어 낸다. 특별히 저온 숙성을 통해 만든 시원한 육수 맛에 손님이 끊이지 않는다. 강원도 맛을 느낄 수 있는 막국수 곁들임 메뉴로 수육, 메밀만두, 메밀전을 같이 판매하고 있다. 주차는 매장 앞에 널찍한 전용 주차장이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16.9Km 2023-07-02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579번길 59
010-9057-9252
다양한 중식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해물짬뽕이다.
17.0Km 2025-07-28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의 말사로 월정사 인근에 위치한 천년 고찰이다. 오대산 상원사는 월정사와 함께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로는 이곳에서 수행한 성덕왕이 705년에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진여원이라 하였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문수보살상을 모시고 있는 사찰로, 세조가 피부병의 치료 목적으로 이곳에 방문했다가 문수보살을 만나 병을 나았다는 일화가 널리 알려져 있다. 지금의 사찰은 1946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새로 지은 것이라고 하며, 영산전을 제외하고는 오래된 사찰건물이 없다. 사찰에 있는 문화재로는 신라 성덕왕 24년에 만든 높이 1.67m, 지름 91㎝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국보 동종이 있으며, 세조가 직접 보았다고 하는 문수동자의 모습을 조각한 문수동자상과 문수보살상, 상원사를 중창하기 위해 세조가 쓴 친필어첩인 국보 중창권선문이 있다. 월정사에서 상원사까지는 9㎞ 숲길 구간의 선재길이 있어 월정사를 방문한 후에 선재길을 따라 상원사까지 방문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원사 주변에는 월정사와 함께 아름드리 전나무 숲을 볼 수 있으며 오대산 정상부근에 있는 적멸보궁까지 쉽게 갈 수 있다.
17.0Km 2025-07-30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범일로 476 (내곡동)
강릉의 지역경제를 살리고 마술을 대중화하고자 하는 취지로 설립된 곳이다. 강릉 수상한 마법학교는 체험, 전시,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해 준다는 특징이 있어 강릉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끄는 이색 관광지이다. 최석훈 마술사가 세운 수상한 마법학교는 최우현 마술사가 시즌 2를 이어서 체험과 공연 그리고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한국 호그와트의 상설 마법학교이다.
17.0Km 2025-03-27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14
오대산 명상의 숲길은 월정사 입구 일주문에서 시작하여 전나무 숲길과 월정사를 지나 상원사까지 이어지는 숲길이다. 이 길은 60년대 말 도로가 나기 전 상원사까지 다니던 불교신도들의 순례길이었다. 숲길은 반야교를 지나 회사 거리에서 시작된다. 섶다리와 징검다리를 건너 숲길과 계곡 가를 따라 걷는 길이 계속 이어지고 파란 하늘 아래 오대산 계곡과 울창한 숲이 한 폭의 풍경화를 보는 듯하다. 숲과 역사, 계곡 등이 어우러져 자녀와 함께하는 체험학습지로도 좋은 환상의 길이다.
17.0Km 2025-03-19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14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청주 운천동 출토 동종(보물)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167㎝, 입지름 91㎝이다. 이 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의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 몸체의 아래와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연곽(蓮廓)은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긴 다음 드문드문 1∼4구의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두었다. 네 곳의 연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연뢰(蓮蕾)를 9개씩 두었다. 그 밑으로 마주 보는 2곳에 구름 위에서 무릎 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비천상(奏樂飛天像)을 새겼다. 비천상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를 구슬과 연꽃무늬로 장식하였다. 이 종은 조각 수법이 뛰어나며 종 몸체의 아래와 위의 끝부분이 안으로 좁혀지는 항아리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한국 종의 고유한 특색을 갖춘 모본이 되는 종이다.
17.0Km 2025-01-08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사임당로 113-3
형제막국수는 강릉시 사임당로에 있는 막국수 전문점이다. 도심에 있는 곳인데 강릉에 사는 현지인들이 즐겨 찾는 막국수 집이다. 막국수를 물이나 비빔으로 먹을 수도 있고, 냉면을 물이나 비빔으로 먹을 수도 있다. 곁들임 음식으로 수육을 함께 시켜 먹는 손님들이 많다. 어린이들과 함께 가면 비빔이라도 양념을 빼고 준다. 어린이 것을 덜어낸 후 따로 담긴 비빔양념을 넣어 즐기면 된다. 만두국과 찜만두는 계절 메뉴라 겨울에만 먹을 수 있다. 반찬은 무절임이 전부인데 주메뉴에 충실해서 먹다 보면 부족함이 없다. 주차장은 매장 앞에 전용 주차장이 있어 이용이 편리하다.
17.1Km 2025-07-11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구정면 금평로 117
해파랑길 37코스(바우길 7구간)는 안인해변에서 출발해 오독떼기전수관까지 이어지는 약 18km의 도보 코스로, 강릉 내륙의 전통과 자연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길이다. 바다를 뒤로하고 걷기 시작해 들판과 마을, 고즈넉한 숲길을 지나며 강릉의 일상과 역사를 담은 풍경 속을 거닌다. 이 구간에서는 해수욕과 담수욕을 모두 즐길 수 있는 독특한 입지의 안인해변, 한국 최대 규모의 화강암 당간지주인 신라시대 굴산사지 당간지주, 그리고 전통문화 계승의 공간인 오독떼기전수관 등 다양한 역사·문화 명소를 만나볼 수 있다. 조용하고 깊이 있는 강릉의 내면을 느낄 수 있는 여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