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Km 2025-06-04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053-763-1908
대구데이페스티벌은 대구의 다양한 문화를 7가지 주제(볼거리, 먹거리, 놀거리, 팔거리, 잠잘거리, 탈거리, 느낄거리)로 나누고 주제별로 공연, 전시, 체험, 판매 등 다양한 세대들이 공감하는 차별화된 콘텐츠로 구성하여 대구의 정체성을 알리고 지역의 관광산업 활성화 및 문화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기획된 축제이다.
12.7Km 2025-08-08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216-111
예부터 영남 지방의 명산이라 불리는 팔공산에 위치한 천성암은 통일 신라 시대 의상대사(625~702)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창건 시기에 대한 문헌이나 유물은 유존하지 않는다. 천성암에는 사리굴 전설이 전해지는데, 창건 당시 천성암에는 하루에 한 사람만 먹을 수 있는 양의 쌀이 나오는 바위 굴이 있었다고 한다. 주지는 매일 같이 나오는 쌀로 부처님께 공양을 올렸고 이로써 큰 불편함 없이 지냈다고 한다. 이후 주지가 바뀌었는데 새로 온 주지는 매일 한 끼 정도의 쌀만 나오는 데 대하여 욕심을 품고 하루는 큰 막대기로 바위 구멍을 팠다. 그러자 구멍 속에서 쌀 대신 구정물이 나왔다고 한다. 현재 그 자리에는 용왕당이 있다. 천성암에 대한 기록은 6·25전쟁 직후 처음 확인되었으며, 주불전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산령각, 자광전, 요사 등의 전각과 선묘정이라고 칭해지는 우물, 의상대사가 심었다고 전하는 천도복숭아나무, 참선바위에 있는 작은 규모의 칠층탑이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 기와지붕 구조로 아미타불상을 주존불로 지장보살상과 관음보살상을 협시로 봉안하고 있다. 극락전에는 닫집이 따로 없고 후불탱화 3점이 봉안되어 있다. 산령각은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인 맞배 기와지붕 구조로, 산신이 호랑이를 타고 있는 신중탱화 등 2점의 탱화가 조성되어 있다. 이 외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요사와 패널로 건축한 요사 2동이 있다. 의상대사가 식수로 쓰던 선묘정은 겨울에도 도롱뇽이 서식한다고 한다.
12.7Km 2025-09-09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641길 7 (매호동)
서민수산회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매호동에 있다. 신선한 대방어회와 해산물로 인기 있는 횟집이다. 대방어는 김, 백김치, 무순과 함께 먹으면 고소한 맛이 더욱 살아나며, 멍게는 비리지 않고 달짝한 맛이 특징이며, 새우오징어튀김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어 선택의 폭이 넓다. 대구 지하철 2호선 신매역과 수성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아이니테마파크,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가 있어 연계 관광에 나서기 좋다.
12.7Km 2025-03-31
대구광역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13
고려 중기에 한 부호가 문중의 원찰로 금봉산(두류산)에 절을 짓고, 금봉사(金鳳寺)라 했다고 한다. 1926년(병인년)에 김송동 보살님이 지금의 두류실내수영장 별관자리에 대웅전과 요사 2동을 창건하였다. 1986년 대구에서 개최한 전국체전 때 금용사의 부지가 실내수영장으로 편입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여 중창하였다. 절 이름을 금용사라 한 것은 옛날 천재지변으로 금봉산 봉황이 용으로 화했다는 풍수 설화를 감안하여 금(金) 자는 옛 금봉사에서 따오고, 용(龍) 자는 천재지변의 풍수설화에서 딴 것이다. 지금의 금용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로 대구시 달서구 성당동 두류공원 안에 있는 사찰이다. 두류수영장 바로 뒤편 산자락의 이 절은 비구니 사찰로 대략 100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두류공원의 여러 시설과 더불어 사찰을 이용하는 것 역시 이 사찰의 장점이라 하겠다.
12.7Km 2025-08-04
대구광역시 달서구 공원순환로 237
두류수영장은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 내 5만 6,523㎡ 규모 부지에 조성된 종합 수영 시설이다. 실내에는 다이빙풀, 경영풀, 경영연습풀이 있으며, 워터파크는 야외에서 운영되어 여름철 물놀이 장소로 인기가 많다. 다이빙풀은 깊이 5m, 경영풀은 50m 길이의 8레인으로 최대 1,500명까지 수용 가능하다. 워터파크에는 파도풀, 바디슬라이드, 유수풀, 유아풀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수심과 길이에 따라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할 수 있다. 탈의실, 샤워실, 의무실, 수유실 등 편의시설도 갖춰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적합한 여름철 인기 명소다.
12.7Km 2025-05-12
대구광역시 남구 고산4길 71 (봉덕동)
053-664-3262
한국관광 100선에 선정된 도심 속 힐링 공간인 ‘앞산’에서 펼쳐지는 대구 남구 대표축제이다. 더욱 화려해진 무대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앞산의 진정한 매력을 알린다.
12.7Km 2024-12-04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심천로 5-7
입석은 다른 말로 선돌이라고 부르는데, 고인돌과 함께 청동기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일반적으로 땅 위에 한 개 또는 몇 개의 큰 돌기둥을 세운 형태를 하고 있는데, 당시 부족 간의 경계표시 또는 신앙의 대상이 되는 기념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경상북도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산 103번지에 있는 이 선돌은 높이 4.5m, 밑둘레 2m로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것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돌에는 ‘나무아미타불’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은 불교가 들어온 이후에 새긴 것으로 보이며 선돌 자체는 훨씬 이전의 것으로 보인다. 선돌의 동쪽 주위를 개간할 때 민무늬토기, 돌그릇 등이 발견된 바 있어 청동기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 : 국가유산청)
12.8Km 2025-09-10
대구광역시 수성구 월드컵로5길 17 (대흥동)
까꾸리웰빙손칼국수는 대구스타디움 인근에 위치한 칼국수 전문점이다. 삼삼한 맛의 손칼국수와 고소한 촌두부, 바삭한 파전이 인기이다. 촌두부와 도토리묵은 야채무침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입맛을 돋우며, 손칼국수는 깔끔한 국물이 일품이다. 수육과 만두도 인기 메뉴로, 국내산 삼겹살을 사용해 부드럽고 풍미가 좋다.
12.8Km 2025-09-09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못6길 9 (두산동)
온기정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다. 이국적인 멋이 풍기는 외관과 세련된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신선한 재료로 만든 바삭한 튀김과 시원한 붓카케 냉우동이 특히 인기가 있으며, 전용 주차장과 깔끔한 내부 시설로 편안한 식사를 할 수 있다. 합리적인 가격대와 정갈한 분위기로 일상적인 방문부터 특별한 날까지 모두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한다.
12.8Km 2025-09-09
대구광역시 수성구 수성못6길 20 (두산동)
앙뜨레누보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구운 로메인 샐러드와 등심 스테이크가 맛있으며, 정갈한 플레이팅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로 데이트나 기념일에 적합하다. 대구 지하철 3호선 수성못역과 파동 IC에서 가깝다. 인근에 아르떼 수성랜드, 수성유원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