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국수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1국수집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1국수집

제1국수집

11.8 Km    1     2024-02-13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로 242

제1국수집은 대구광역시 북구 침산동에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에 소개된 바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잔치국수며, 일일 한정 판매하는 고기국수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 면은 무료로 추가해 먹을 수 있다. 이 밖에 불고기 한 접시도 인기가 많다.

연암서당골

11.9 Km    0     2024-05-30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180

연암서당골은 대두광역시 북구에 위치하고 있다. 제비바위와 연관된 연암산과 구암서원, 체화당, 산격제일교회 등 많은 문화유산을 품고 있으며 골목길과 비탈길, 골목시장 등 정감 있는 마을로 많은 관광객과 체험객이 방문하는 새로운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들에게 기념이 되고 새로운 희망을 전할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연암공원

연암공원

11.9 Km    1     2023-02-10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20길 2

대구시 북구 산격동에는 숨은 볼거리가 많다. 이 가운데 하나가 연암공원이다. 연암공원이 자리 잡은 곳은 해발 130m가량의 연암산이다. 연암산은 이 일대에 제비들이 많았다고 해서 제비의 한자어인 제비 '연' 자를 따와서 지었다. 연암공원의 면적은 약 341,000㎡다. 널찍한 부지 위에 구암서원을 비롯해 유아숲 체험원, 다목적 운동장, 배드민턴장, 물놀이장, 맨발 산책로 등이 있다. 특히 여름철 개장하는 수영장은 한여름 무더위를 날리기에 그만이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평광동 사과마을

평광동 사과마을

12.0 Km    1     2023-12-07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116길 37

평광동에 처음 터를 잡은 사람은 우익신이라는 단양 사람이다. 그는 임진왜란을 피해 남쪽으로 내려왔는데, 평광동의 아름다운 경치와 기름진 땅에 감탄하여 터를 일구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평광동 사과 마을 대다수 사람이 단양우씨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평광동사과마을은 115년 전통의 대구 사과 재배지이며, 마을에 사는 192가구 중 140여 가구가 사과 재배를 한다. 1960~70년대 대구는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사과 산지로, 전국 수확량의 80%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점차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재배 농가가 줄기 시작했고, 기후의 변화로 인해 사과 재배지가 중부지방으로 북상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광동사과마을은 지금까지 대구 사과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사과는 평광꿀사과로 불린다. 마을에는 국내 최고 수령인 홍옥 사과나무도 있고, 효자 강순항나무로 불리는 왕버들나무(수령 약 200년)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평광동사과마을은 강순항 정려각을 비롯해 첨백당과 광복소나무, 모영재 등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봄이면 사과꽃 향기로 아득하고 가을이면 사과 따기 체험행사도 열려 주말 산책과 가족 나들이 장소로 추천되고 있다.

문창공영당

12.0 Km    16626     2023-12-07

대구광역시 동구 도평로38길 51

동구 향산 인근의 문창공영당은 통일신라시대 문장가이자 경주최씨 시조인 고운 최치원[857-?]의 영정이 봉안된 곳이다. 최치원은 신라말의 학자이자 문장가로 12세의 나이로 중국 당나라로 유학을 떠나 18세의 나이로 빈공과에 합격하였다. 29세에 신라로 돌아와 10여 년 동안 중앙관직과 지방관직을 거쳐 6두품의 신분으로서는 최고 관직인 아찬에까지 올랐다. 40여 세 때 관직을 버리고 은거 생활을 하다, 가야산 해인사에 들어가 머물렀는데, 언제 세상을 떠났는지는 알 수 없다. 문창공영당은 1755년(영조 31) 지금 자리가 아닌 인근 대구 동구 해안동에 처음 창건한 계림사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1864년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12년 지금의 자리에 문창공영당을 중수했다. 매년 음력 3월 3일 향사를 지낸다. 영당 내부에 도교의 신선풍으로 묘사된 문창공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 문창공영당은 영정각으로는 그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솟을지붕과 기둥머리 장식 또한 특색이 있어 조선 후기 목조건물의 전형과 아름다움을 잘 간직하고 있다.

구암서원

12.1 Km    16357     2024-05-28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공원로17길 20

구암서원은 서침, 서거정, 서해, 서성 등 달성 서씨의 선조를 모시는 곳이다. 1665년 창건한 건물로 처음에는 연구산에 있었다. 1675년(숙종 1) 귀계 서 침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해마다 제사를 지내다가 1718년(숙종 44) 동산동으로 이전하면서 사가 서 거정 선생을 합향하고 그 후 약봉 서 성 선생과 함께 서해 선생을 합향하고 그 후 약봉 서 성 선생과 함제 서해 선생을 추향하였다. 경내에는 강당, 숭현사, 비각, 제수청 등이 있고 강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고 숭현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주심 포집의 맞배지붕이다. 세월이 흐르고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동산동 일대의 주변 환경이 서원 입지로 부적합하여 산격동 연암공원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단장하였다.

산격종합시장

산격종합시장

12.1 Km    1     2023-04-26

대구광역시 북구 동북로 164

산격종합시장은 상가주택건물형 시장이다. 이곳에서는 떡, 반찬 등 각종 먹거리와 생채소류, 생선류, 육류, 의류, 생활용품 등을 파는 상점이 있다. 최근에는 산격종합시장 내 빈 점포를 활용한 대구 제1호 청년몰이 입점해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주변 볼거리로는 대구교육박물관이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리틀맨리

리틀맨리

12.1 Km    1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창평길 25-3

리틀맨리는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에 있다. 여러 가지 도넛과 각종 음료를 파는 카페다. 대표 메뉴는 버터넛이며, 레드벨벳, 크림 브릘레, 누텔라, 에스프레소, 아인슈페너, 레몬에이드 등도 맛볼 수 있다. 내부에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에 좋다. 동군위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군위오펠GC가 있다.

창평지친환경생태공원(창평지)

창평지친환경생태공원(창평지)

12.1 Km    0     2023-11-01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계면 창평리 1547

창평지 친환경 생태공원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 창평리에 있는 친환경 생태 공원이다. 농업용수 공급을 위한 인공 저수지인 창평지 주변을 생태 탐방로로 조성 1.8km를 연결해 놓았다. 생태탐방로는 자연 친화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나무 데크를 사용했으며 저수지 수목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설치하였다. 저수지를 가로지르는 산책로는 주변 경관이 아름다워 많은 이들이 찾는다. 특히 반딧불을 연상시키는 레이저 야간 조명은 창평지의 자연경관을 한층 더 돋보이게 해 준다. 저녁 데이트 코스로도 좋다.

군산집

군산집

12.1 Km    1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창평길 19

군산집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에 있다. 간자미 요리를 잘하기로 유명해 많은 사람이 방문한다. 대표 메뉴는 간재미 무침이며, 간재미 비빔밥, 간재미 비빔국수, 돼지찌개, 황태된장찌개 등도 판다. 간재미 무침은 포장이 가능하다. 동군위IC와 가깝고, 인근에 군위오펠GC과 팔공산도립공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