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Km 2024-07-25
대구광역시 남구 현충로15길 13-1
대구 남구 대명동 앞산 근처에 위치한 조조칼국수는 단 세 가지의 메뉴에 집중해 지역 주민의 입맛을 사로잡은 곳이다. 바로 물총칼국수, 물총조개탕, 낙지해물파전이다. 먼저 물총칼국수는 물총조개라고 불리는 동죽이 들어가 시원한 국물에 푸짐한 면이 함께 나온다. 싱싱한 동죽과 야채를 사용하며, 풍미를 위해 6종류의 조개를 12시간 끓여 육수를 만든다. 조개의 비린 맛이 없고 야들야들하며, 면 또한 깔끔하게 넘어간다. 물총조개탕은 물총칼국수에서 면이 없는 버전이다. 낙지해물파전은 새우와 낙지가 토핑으로 아낌없이 들어가 쫄깃한 식감을 더한다. 이곳은 스마트 스토어에서 밀키트로도 칼국수를 판매하고 있으니 참고하면 좋다. 대구 지하철 1호선 현충로역과 안지랑역이 가깝고 인근에 앞산이 있어 등산 후에 식사하러 오는 경우도 많다.
2.1Km 2024-02-21
대구광역시 중구 서성로 102-6
053-426-6969
호텔여기어때 대구역점은 대구역 인근 가장 트렌디하고 다양한 컨셉의 디자인을 확보하고 있다. 가장 편안한 숙소에서 가장 합리적인 가격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숙박을 선사한다.
2.1Km 2025-01-13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36길 9-4
053-427-1430
동원찜갈비는 대구 동인동 찜갈비 골목에 위치한 찜갈비 전문 음식점이다. 갈비찜을 주메뉴로 하며, 소고기 찌개와 공깃밥을 함께 맛볼 수 있다. 갈비는 국내산과 호주산을 선택하여 맛볼 수 있으며, 동원찜갈비는 ONCE FOOD 캠페인 참여 음식점으로 남은 음식 재사용 안 하기 운동을 실천하고 있다.
2.2Km 2024-09-30
대구광역시 중구 동덕로36길 9-9
053-422-2523
찜갈비는 대구 10味 중 하나로, 중구에는 동인동 찜갈비골목이 형성되어 있다. 부드러운 육질과 톡톡 쏘는 양념 맛은 여러 방송 매체에 소개될 만큼 맛있기로 소문난 산호찜갈비는 목우촌에서 공급받는 국내산 육우를 매콤한 양념에 버무려 양은 냄비에 담아낸 대구식 찜갈비를 선보이고 있다. 찜갈비 조리 시 당귀, 작약, 월계수 잎 등의 약초를 사용하여 일품요리의 맛을 내며 타 업체와 차별화를 둔 것이 특징이다.
2.2Km 2025-07-24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
대구광역시의 랜드마크인 83 타워 2층에 위치한 이 실내 아이스링크장은 사계절 내내 날씨에 상관없이 스케이팅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두류공원과 이월드 인근에 자리해 접근성이 뛰어나며, 대구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인기 있는 스포츠 시설이다. 실내 시설로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고,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도 적합하다. 83 타워 내에는 전망대, 식당, 카페 등이 함께 있어 다양한 즐길 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타워 전망대에서는 대구 시내 전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2.2Km 2024-12-04
대구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439-1
053-257-1796
녹양 향촌점은 대구를 대표하는 생고기 전문점으로, 1973년도에 대구역 앞에서 개업한 이래로 1981년에 현재의 장소로 이전하여 지금까지 50여 년째 영업 중이다. 이곳의 대표 메뉴인 생고기는 대구의 별미로 유명하며 생고기를 뭉텅뭉텅 썰어냈다 하여 뭉티기라고도 불린다. 이외에 육회, 대창구이, 곱창전골 등 다양한 메뉴를 취급한다. 이곳은 제공하는 한우 생고기 품질을 엄격히 관리하여 믿고 방문할 수 있다.
2.2Km 2025-07-30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
이월드는 1987년 10월, 타워 건립과 종합 테마파크 조성 공사의 재착공을 시작으로, 1993년 종합 테마파크 마스터플랜을 확정한 후 1995년 3월 개장한 테마파크이다. 폭포, 분수, 조명, 꽃으로 꾸며진 유럽식 도시공원 형식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 전시 및 예술 공간, 깔끔한 식당가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월드는 각 테마에 따라 다양한 광장을 조성하여 방문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입구에 위치한 진입광장, 랜드 중심부에 자리한 중앙광장,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광장, 젊은이들을 위한 영타운광장 등이 대표적인 공간이다.
2.2Km 2024-09-03
대구광역시 달서구 두류공원로 200
대구 달서구 이월드(구 우방랜드) 내에 위치한 눈썰매장이다. 이 곳은 우방랜드 시절부터 매년 여름에는 잔디썰매와 겨울에는 눈썰매로 사계절 즐기는 썰매장이다. 이월드 중앙광장을 등지고 서면 바로 썰매장 입구다. 최근 눈썰매장에 에어건을 배치하여 썰매의 물기를 제거하여 승차 시 불편함을 없앴으며 여름 썰매 운영 방식도 물을 뿌려 내려가는 방식이 아니고 레일을 설치하여 물에 젖는 불편함을 제거 했다. 썰매장 바로 옆 공간에는 snow world가 있어 대구의 특성상 눈 구경이 어려운 아동들에게 한정적이나마 눈놀이를 제공하고 있다. 주변으로 몸을 녹일 수 있는 핫존을 비롯하여, 푸드트럭, 스낵바등을 갖추고 있으며 이월드 공간안에 각종 시설과 공연장이 있어 관람할 수 있다.
2.2Km 2025-03-24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86안길 14-6
053-985-8030
‘올레’란 제주어로 ‘거릿길에서 대문까지의, 집으로 통하는 아주 좁은 골목길’을 뜻한다. 제주올레와 함께 ‘느리게 걷는 여행’을 제안하며 대구녹색소비자연대에서는 2008년부터 ‘대구올레’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3코스 부인사 도보길은 2009년 8월에 개장한 코스이다. 1922년 개교한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는 공산초등학교를 지나 용수천의 물길을 따라 걸으면 용수동 당산에 도착한다. 정월 보름날 새벽, 마을의 평안과 무병장수를 기원하기 위하여 제를 지낸 곳이다. 조금 더 가면 팔공산 최고의 피서지인 수태골이 나온다. 여기서부터는 대구시에서 지정한 ‘낙엽 있는 거리’로, 단풍이 드는 때면 낙엽을 쓸지 않고 그대로 둔다. 이 거리를 따라 파계사 방면으로 올라가면 부인사가 나온다. 선덕여왕을 기리는 숭모전이 있고, 팔만대장경보다 무려 200년 앞선 초조대장경이 봉안되었던 사찰이다.
2.2Km 2024-10-22
대구광역시 수성구 신천동로86안길 14-6
053-985-8030
대구올레 팔공산 코스는 팔공산의 둘레를 따라 시점과 종점이 연결되도록 조성한 숲길이며 팔공산권의 역사와 문화 체험과 자연경관을 즐기며, 건강증진 활동을 할 수 있는 용도로 만든 길이다. 아울러, 팔공산 권역 자연공원의 생태적·문화적 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차원에서 만들었다. 팔공산 올레길은 총 8개 코스로 개발이 되어 있고 그 중 4코스 평광동 왕건길은 [효자강순항나무-평광초교-평광지-모영재-재바우농원-첨백당-평광종점 정류장]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단양우씨의 집성촌인 평광동은 대구 사과의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평광동 입구에서 시작하여 신숭겸 장군을 추모하는 영각인 모영재에 이르는 길이 왕건의 도피로로 추정되며, 왕건임도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평광동에는 이야기가 있는 나무가 많다. 평광동 입구에서는 효자 강순항을 기려 그의 이름을 딴 효자강순항나무가 서 있다. 첨백당에 들어서면 1945년 해방을 기념하여 민초들이 심은 광복소나무가 위풍당당하게 자리해 있다. 광복소나무의 뒤편으로는 단양우씨의 재실인 첨백당이 있다. 우효중의 효행과 우명식의 충성심을 기려 1896년에 세운 건물이다. 첨백당 위편 재바우농원에서는 우리나라 최고령 홍옥나무를 볼 수 있으며 수령은 90세 정도이다. 보통 사과나무는 20~30년 정도 되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져 새로운 사과나무로 대체된다지만 이 나무는 아직까지도 생산량이 다른 사과나무들 못지 않다고 한다. 10월말~11월 중순까지는 사과 수확기다. 올레꾼을 위해 이 나무는 가장 늦게 수확을 한다. 대구올레 팔공산길을 운영하고 있는 대구녹색소지자연대의 안내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그늘이 적은 코스이며 한여름은 피하고 사과꽃이 피는 4월말, 사과가 열리는 10월 말에 가보길 추천하며 전구간 농로길로 흙길은 없다. 자전거, 유모차 등의 통행이 가능하다. 단지 이동시 차량주의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