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Km 2024-06-10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
예천군 용궁면 비룡산에 있는 장안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의상대사의 제자인 운명이 창건하였다고 하고, 예천군지에서는 고려 때 창건된 사찰이라고 하며 정확한 역사는 조선 중기 이후의 기록만이 전한다. 1627년(인조 5)부터 1896년까지 범종각, 향로전, 법당 및 요사채, 산령각 등을 수 중수하여 오늘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 응향전, 승방, 마룻집이 있고, 뒤편 언덕에는 산령각이 있다.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조선 말기에 지어진 건물이며, 전각 내에는 목조 아미타삼존불과 3점의 탱화가 봉안되어 있으나 모두 최근작이다. 그러나 산령각에 봉안된 산신탱화는 1812년(순조 12)에 조성한 것으로 확실한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마룻집에는 1727년에 쓴 중창기를 비롯하여 각종 중수기 현판이 보존되어 있을 뿐 아니라 등촉계기, 불량계중설서, 불사기문 등이 있다.
19.4Km 2021-03-10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로 450
054-853-8538
매운 한국식 해물 볶음을 판매하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주꾸미 볶음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19.5Km 2025-07-10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회룡대길 168
예천군 용궁면 향석리에 위치한 ‘회룡포전망대‘는 장안사에서 도보로 10분 정도 걸어 올라가면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옛부터 이곳에서 내려다보는 회룡포(예천 용궁면 대은리) 일대의 마을 풍경은 아름답기로 소문이 나 있다. 마을에는 현재 10여 명의 사람들이 거주하며, 용이 휘감아도는 강물 모양을 따라 ‘회룡포‘라고 부른다. 예천의 자랑인 이 마을은 태백산 능선의 산자락에 둘러싸여 있고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이 휘감아도는 독특한 지형에 위치해 있어 육지 속에 있는 섬마을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 비가 많이 내리면 마을은 섬처럼 완전히 고립된다. 마을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공사장에서 쓰는 구멍이 뚫린 철제발판으로 만들어진 다리를 건너야 하는데 이 다리는 밟으면 구멍사이로 물이 뿅뿅 올라온다하여 ‘뿅뿅다리‘라 부른다. 본래는 임시 다리로 설치한 것이었으나 이 마을에 명물이 되어 철거하지 않고 밑에 시멘트를 보강하여 안전하게 사용하고 있다. ‘회룡포전망대‘에서 마을을 조망하고 뿅뿅다리를 건너 회룡포 일대를 둘러보기를 권한다.
19.5Km 2021-03-11
경상북도 안동시 중평길 107-7
054-858-5665
직화구이로 인해 더욱 맛있고 식감이 좋은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양념꼼장어다.
19.5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52
054-821-8489
다양한 중식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탕수육이다.
19.5Km 2024-06-11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62
054-821-8989
용상시장은 안동시 용상동에 위치한 상설시장으로 1960년대 후반에 콘크리트 건물을 지어 복합시장으로서 규모를 갖추었다. 또한 2007년도 새롭게 건물을 준공하며 전통시장의 시설을 현대화 하였으며 2022년에는 특성화 첫걸음시장 육성사업을 진행하는 등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룬 시장이다. 덕분에 기존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상품들은 물론 전통한복, 제사용품, 민화공예품, 안동의 명물인 안동간고등어, 찜닭, 안동한우 등 특화된 안동시장의 모습으로 현지인 이용은 물론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한다.
19.6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거북골길 21-7
054-843-6799
안동 지역만의 국수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안동국시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9.6Km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859-4
054-858-2990
직접 키운 신선한 쌈 채소와 돼지고기를 맛볼 수 있다. 대표메뉴는 쌈밥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9.6Km 2024-06-10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석송로 313-29
예천군 감천면 천향리에 있는 소나무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부귀, 장수, 상록을 상징하고 있는 이 반송은 높이 10m, 직경 4.2m, 수폭 동서 32m, 남북 22m이며 그늘 면적은 990㎡의 규모이다. 석송령이 위치한 주변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약 600년 전 경북 풍기 지방에 큰 홍수가 났을 때 현재 석송령이 있는 마을을 흐르는 석간천을 따라 떠내려오던 소나무를 마을을 지나던 나그네가 건져 현재 자리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1930년 마을 주민 이수목이 이 나무에서 영감을 느끼게 되어 석송령이란 이름을 지어 주고 자신 소유 토지 6,600m²를 이 나무에 상속시켜 문서 등기를 마치면서, 재산을 가진 나무가 되어 세금을 내고 있다. 제반 세금은 물론 학생들에게 장학금도 지급하고 있다. 매년 정월 보름날 새벽에 마을 주민들은 이 나무에 모여 동제를 지내며 한 해의 평안을 비는데 사람들은 이 나무가 동리를 수호해 주고 있다고 믿고 있다. 동제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은 막걸리를 들고 이 나무의 주변을 돌면서 술을 땅에 뿌린다.
19.8Km 2023-08-10
소백산 줄기 부용봉 아래 석평 마을에 있는 석송령은 사연도 평도 많은 금강 소나무가 있다. 막걸리 말술을 좋아한다는 이 소나무에는 무병을 기원하기도 한단다. 주변의 예천 온천이나 천문우주센터도 즐거운 여행거리가 되어 줄 것이다. 금당실 마을에는 다양한 농촌 체험이 기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