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Km 2025-03-16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쏘가리길 43
충북아쿠아리움은 2024년 5월 16일 개장을 하여 1·2층의 메인 수조(442톤)를 중심으로 8개 개별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형 수중터널 및 담수자원 종보관, 열대어 어류관 등을 통해 우리나라와 세계의 민물고기 106여 종 4600여 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어종으로 철갑상어 및 쏘가리등을 만날 수 있으며, 먹이 주기 체험 등을 통하여 체험학습도 하실 수 있다. 다양한 어류전시 및 볼거리제공을 통한 관람객유치로 괴산 등 충북지역경제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충북아쿠아리움 조성으로 바다가 없어 수산생물에 대하여 이해의 폭이 비교적 적을 수밖에 없는 우리도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수산생물 체험과 교육기회 제공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전시시설을 확충하고 다양한 체험ㆍ편의시설을 마련하여, 도민들에게 힐링을 제공하고 부담 없이 쉬어 갈 수 있는 장소가 되도록 하겠다.
6.0Km 2024-07-11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칠성로10길 547
충청도양반길 2코스는 갈론체험관을 시작으로 갈은구곡, 사기막리, 운교리목교, 선유대, 양반길출렁다리를 거쳐 갈론체험관으로 다시 돌아오는 코스다. 산막이옛길이 끝나는 지점부터 시작되는 충청도양반길은 흙길을 고스란히 보존해 걷는 맛을 북돋는다. 높은 산과 맑은 물이 흘러 경관이 빼어난 곳으로 특히 아름드리 자연 송림이 울창하고, 다양한 수목과 야생초화가 어우러져 사계절 수많은 방문객의 사랑을 받고 있다.
6.0Km 2025-07-18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칠성로10길 547
갈론계곡은 아홉 곳의 명소가 있다고 해서 ‘갈론구곡’이라 부르기도 한다. 갈론계곡이란 이름은 이 계곡 입구 마을에 갈 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은거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은 골이 깊기로 소문난 괴산에서도 가장 깊은 곳이라 할 만큼 깊숙이 들어가 있는 계곡이어서 아직도 찾는 사람이 많지 않은 호젓한 계곡이다. 제1곡 갈은동문, 제2곡 갈천정, 제3곡 강선대, 제4곡 옥류벽, 제5곡 금병, 제6곡구암(거북바위), 제7곡인 고송유수재, 제8곡 칠학동천, 제9곡 선국암으로 9곡을 형성하고 있다.
6.0Km 2025-03-16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쏘가리2길 31
디지털 실감형 기술을 융합한 물없는 아쿠아리움으로 2024년 7월 23일 개관하였다. 제1관인 민물고기체험관은 괴강을 미디어 갤러리 형식으로 연출한 토종어류 이해의 장, 괴강 서식 어종을 그래픽 패널,어안렌즈,디지털을 이용한 체험공간으로 구성한 토종어류 탐구의 장, 민물고기 도안을 채색 후, 스캔하여 벽면에 동영상으로 나타내는 체험이 가능한 토종어류 학습의장, 물 속 토종어류를 대형 스크린으로 볼 수 있는 아이맥스형 고화질 영상관으로 구성하였다. 제2관인 어린이놀이터는 물고기 도서관과 토종어류퀴즈 코너, 낚시체험존 등 어린이 놀이공간으로 구성하였다.
6.2Km 2024-07-26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충민로 1083-12
솔베이 캠핑장은 충북 괴산군 감물면에 자리했다. 괴산군청을 기점으로 약 14km 거리며, 자동차를 타고 임꺽정로, 중부로, 충민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20분 안팎이다. 고즈넉한 시골의 풍광을 벗 삼아 달리다 보면 울창한 소나무 숲이 캠퍼를 반긴다. 고개를 최대한 뒤로 젖혀야 나무 꼭대기를 볼 수 있을 정도로 키가 크다. 이 덕택에 한여름 뙤약볕도 두렵지 않다. 캠핑장에는 일반야영장 30면을 마련했다. 이 가운데 데크가 11면이며, 크기는 가로 4m 세로 6m다. 나머지는 잔디 4면과 파쇄석 15면이며, 크기는 제한이 없다. 주요 부대시설로는 펜션을 비롯해 수영장, 트램펄린, 산책로 등이 있다.
6.2Km 2025-03-19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명태재로미루길 100
연하협구름다리는 괴산 산막이옛길과 충청도양반길을 연결하고 있다. 길이 167m, 폭 2.1m의 현수교 형식 출렁다리이다. 많이 흔들거리는 편이라 다리를 건너며 스릴을 느낄 수도 있고, 괴산호를 감상하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늦가을에 방문하면 알록달록 물든 산들과 푸른 호수의 경관이 일품이다. 길 중간중간 포토존도 있어 추억을 남기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6.3Km 2025-03-06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충민로 1085
043-833-9117
얼음골봄은 주변 자연경관이 훌륭하며 박달산과 지역 대표 관광지인 산막이옛길이 가까이 있어 등산객이나 관광객들이 즐겨 찾고 있다. 이른봄 박달산 주변 및 지천에 나는 ‘지칭개’라는 산야초를 이용한 ‘지칭개 오리백숙’이 대표메뉴이다. 주요 밑반찬은 산야초 초절임이며, 농장에서 생산한 사과로 농축액을 만들어 모든 밑반찬의 양념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사과와 20여종의 산야초를 혼합하여 만든 건강음료를 후식으로 드리며, 특히 농가에서 직접 담근 사과고추장은 도시민 관광객들에게 인기품목이다.
6.4Km 2025-07-11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충민사길 46
김시민장군 충민사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운 충무공 김시민과 문숙공 김제갑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하는 사당이다. 김시민(1554~1592)의 자는 면오, 본관은 안동으로 선조 11년(1578) 무과에 급제하고 선조 24년(1591) 진주판관이 되었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진주목사로 사천, 고성, 진해에서 적을 격파하고 영남우도병마절도사에 올랐다. 그 후 진주성 싸움에서 3,800여 명의 군사와 백성으로 2만여 명의 일본군을 물리쳤다. 전투 후 숨어 있던 적군의 총탄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김시민은 선조 37년(1604) 선무공신 2등에 추록되고 뒤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김제갑은 자는 순초, 호는 의재, 본관은 안동으로 명종 8년(1553) 별시문과에 급제하고 선조 14년(1581) 충청도관찰사에 올랐다. 임진왜란 때 왜군이 원주로 쳐들어오자, 관군과 의병을 이끌고 영원산성에 들어가 항쟁하였으나 성이 함락됐고 그의 부인 이 씨, 아들 김시백과 함께 순절하였다. 김시민은 진주 충렬사에 제향 되었으나 고종 3년(1866) 훼철되어 김제갑의 충열사에 합사 하였는데 1976년 묘소를 이곳으로 옮기고 충민사를 세웠다.
6.5Km 2024-05-31
충청북도 괴산군 감물면 충민로오간길 64
이 가옥은 1908년 이달승에 의하여 건축되었으나 정확한 건축연도의 확인은 어렵다. 이전에 가옥이 있었던 것을 1924년 중수한 것으로 추정되며, 안채, 사랑채, 사당, 광채, 외양간, 대문 등으로 구성되어 전통적인 고가의 형식을 띠고 있다. 정면7칸, 측면 3칸 규모의 ㅡ자형으로 남향한 안채를 중심으로 안채 서쪽에 정면 9칸 측면 1칸의 행랑.광.곡간채를 담장에 붙여 동향으로 배치하였다. 안채 앞으로는 정면5칸,측면 1칸반의 바깥채를 남향으로 두고, 여기에 문으로 잇대어 정면 4칸, 측면 2칸의 사랑.광채를 동쪽에 남북으로 두어 서향하게 하였다.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는 ㅁ자 형태를 띠고 있는데, 대문을 들어서서 마주보는 바깥채 양옆의 사랑채, 행랑채가 서로 문으로 연결되고 사랑채 옆의 담장사이에도 일각대문을 두어 안채와의 구분을 도모하고 있다. 안채 뒤쪽에는 우물, 장독대를 두고 축대를 쌓아 정면 3칸, 측면 1칸반의 사당을 배치하였다, 안채와 담장사이에도 일각대문을 두어 사당이 있는 공간과 구분하고 있다. 현재 안채 동쪽의 문간채와 이엉으로 이었던 대문이 훼철되었으나, 비교적 건축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창훈 고가는 마을의 길지에 배치하여 자연경관과 망화정, 연지 등이 가옥과 조화를 이루고 산수가 수려하며, 중부지방 양반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전통가옥의 형식과 개화기의 형식 등이 혼재하여 나타나는 한옥으로 안채, 광채, 사랑채·행랑채, 사당 등이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6.5Km 2024-08-05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연풍로 815
충북 괴산에 위치한 글램핑 스테이션은 올갱이가 서식하는 깨끗한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서 민물낚시와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조용한 글램핑장이다. 총 15개의 글램핑이 있는데, 기본 2인실부터 최대 8인까지 이용 가능한 대형 글램핑까지 갖추고 있다. 에어컨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사이트 간격 넓은 편이라 바로 옆에 주차가 가능해 편리하다. 산속에 있다 보니 벌레들이 다소 많은 편인데 입실 시에 모기향을 기본 제공해 준다. 매점에 판매되는 물품은 기본적인 것이라, 미리 장을 보고 이동하는 것이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