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Km 2025-07-10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부수길 111-2
하얀민들레한옥마을은 보은군에 위치하고 있다. 한옥마을 객실은 윗동과 아랫동으로 분리되는데, 윗동은 숙박실과 식사공간으로, 아랫동은 숙박실과 사랑채, 갤러리로 이루어져 있다. 자수 및 천연염색 체험, 판화찍기 체험, 뻥튀기 체험, 조선시대 생활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으며, 단체 손님의 경우 숙박도 가능하다. 최근 K-POP 아이돌이 출연한 예능프로그램의 촬영지로도 사용된 하얀민들레한옥마을은 방문한 사람들이 제대로 쉴 수 있고 치유받을 수 있는 공간이다.
12.3Km 2025-04-24
충청북도 옥천군 안남면 청정3길 54
숲속작은목공방가비뉴는 최대 6~7명을 수용할 수 있는 아담한 오두막 형태의 공간으로 1일 목공 체험을 소규모로 진행하고 있다. 100% 예약제로 운영하는데 우드 가락지, 나무 한 스푼, 버터나이프, 원목 도마, 우드 스피커, 원목 스툴 등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들을 만들 수 있다. 공방 체험과 더불어 치유 숲 속 캠핑 프로그램 또한 운영 중이다.
12.4Km 2024-12-04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남로 70
한남대학교 성지관은 한남대학교 교문에서 정면 오른쪽에 보이는 건물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건물은 1985년 4월에 착공하여 1986년 8월에 준공하였다. 연면적 905평에 당시 충청권 최대 규모의 강당이었으며 현재는 채플을 비롯한 각종 학교 행사와 지역 시민의 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남서쪽 벽면에 "聖志館" 낱자가 가로 세로 각각 2m 크기의 글씨를 볼 수 있는데 이 글씨는 국전초대 작가인 장암 이곤순의 글씨체를 그대로 주물로 제작한 것이다. 또한 성지관 정면에 걸린 십자가는 그 크기가 4m로 미술교육과 박병희 교수가 설계하였다. 십자가는 교문에서 정면 방향으로 설치되어 한남대학교의 교육 이념을 상징한다.
12.4Km 2025-07-28
대전광역시 대덕구 한남로 70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은 1982년에 개관해 40여 년간 다양한 문화유산을 수집·보존해 온 종합박물관이다. 주요 소장품은 선사시대 유물부터 고고, 민속, 기독교사, 한복, 고문서, 대학교사자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물관은 학문적 탐구와 창의적 문화 활동의 장으로 기능하며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문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방문자들이 유익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선과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다.
12.4Km 2023-08-08
말하자면 대전의 문화가 집중된 번화가를 돌아보는 코스다. 관광지로서도 유서 깊은 대전역과 젊은이들의 거리 스카이로드를 중심으로 대전역 가락국수를 맛보는 재미도 빼먹지 말자. 가난한 예술가들이 자리 잡은 것으로 시작됐다는 대흥동 문화 예술동네를 둘러보고 이런 분위기와는 완전 다른 동구의 옛터민속박물관을 즐겨보자. 전혀 다른 향취를 맛볼 수 있을 것이다.
12.4Km 2025-06-26
대전광역시 대덕구 덕암북로104번길 74
042-935-8288
대전 대덕구 덕암동에 위치한 신탄면옥은 냉면과 고기류를 전문으로 취급하는 음식점이다. 물냉면은 사태와 양지를 우려낸 육수에 잘 숙성된 동치미를 배합하여 육수를 만든 평양냉면이다. 또한 돼지양념갈비는 목살과 갈비를 손질하여 각종 한약재와 과일, 야채 등 총 22가지 재료로 우려낸 양념장으로 만든다. 신탄면옥은 국도 17호선 신탄진로변에 위치해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신탄진IC와 가깝다. 대중교통은 대전 시내버스 2번, 703번, 705번, 711번을 이용할 수 있다. 주변에는 KT&G 신탄진공장 벚꽃길 등이 있다.
12.5Km 2025-03-19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부수1길 31-11
회인향교는 조선 세 종때 창건되었으나 선조 때 임진왜란시 재화로 불타자 보은향교와 합하였다가 1611년(광해군 3년)에 재건하였다. 그 뒤 1924년, 1941년, 1952년, 1971년 등 수차례 보수 하였다. 현재 대성전, 명륜당, 내삼문 등이 남아있다. 건물의 배치는 후묘전당으로 문묘에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맛배지붕의 대성전이 있는 공자를 주향으로 4성(四聖), 10철(十哲), 송조4현(宋朝四賢)과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또한 강당인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8작지붕 2층 목조인데 본래는 누문형식으로 1층은 모두 개방된 것을 뒤에 벽을 쌓은 것으로 생각된다. 1979년부터 3년간 대성전 해체보수 내삼문 해체 보수와 명륜당 면딱기 및 지붕 번와를 하였고 조립식 담장을 막돌담으로 완전히 쇄신 보수 하였다.
12.6Km 2025-07-28
대전광역시 동구 우암로 96
한밭교육박물관은 1992년 7월 10일 교육부의 승인을 받아, 대지 4,198㎡에 연건축면적 2,195㎡으로 9개의 전시실과 3개의 전시장, 야외 전시장 그리고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옛날에 사용하던 교과서를 비롯하여 교육 관련도서, 교육학습기록, 교원학생서장, 사무용품 등 교육 관련유물 총 27,000여 점의 자료를 보존, 전시하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학생들의 학습장으로 활용되도록 운영하고 있는 교육박물관이다. 제1전시실에서는 옛날 서당교육의 모습에서부터 구한 말 신식교육이 들어오기까지의 생생한 모습과 많은 자료가 시대, 영역별로 전시하고 있으며, 제2전시실에서는 일제 강점기 시절의 여러 가지 아픈 과거인 창씨개명서장, 황국신민서사석 등 황민화 교육의 모습들이 전시되어 있다. 제3전시실에는 해방과 더불어 시작된 교수요목기부 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의 우리 교육이 발달해 온 모습이 각종 교과서 및 교구 자료와 함께 전시하고 있으며, 제4전시실 에는 조선시대 교육기관 모습이 모형촌으로 그 시대의 사회 풍습과 더불어 전시하고 있다. 그 외 제5전시실은 옛날의 사랑방을 중심으로 한 선비들의 생활모습과 각종 민속자료들, 제6전시실은 안방에서의 여인들 생활모습, 제7전시실에서는 어전회의 모습과 옛날 저잣거리 모습이 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시실을 기반으로 한밭교육박물관은 우리의 교육 문화는 물론 생활, 민속, 문화도 한눈에 볼 수 있는 훌륭한 교육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문화재로도 인정받는 한밭교육박물관 건물 한밭교육박물관 건물은 1938년 6월 8일 준공된 건물로 학교 건물로 대전에서는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한 번의 개축도 없이 학교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6.25 전쟁 당사에는 유엔과 북한군이 번갈아 주둔하여, 지금까지 당시 총탄의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중요성으로 인해 현재 대전광역시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12.6Km 2025-07-23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로804번길 31
신탄진에 위치한 부추해물칼국수식당은 칼국수, 쭈꾸미, 족발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음식점이다. 주력 메뉴를 집중적으로 요리하고 있으며 신탄진 주택가에 있으면서도 대전과 대청댐 중간에 위치하여 지역 주민과 여행객 모두 찾을 수 있다. 특히 칼국수는 생닭과 채소로 2시간 동안 우려낸 육수가 비법으로 여기에 부추를 갈아서 반죽에 넣은 쫄깃한 면발까지 환상적인 궁합을 자랑한다. 특히 매일 서해안에서 잡은 바지락과 전복, 새우와 부추가 푸짐하게 들어가 최고의 칼국수를 만들었다. 바지락에서 우러나오는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 맛은 주당들 속 풀이에도 인기이며 칼국수와 찰떡궁합인 배추겉절이는 보통 2~3번 리필을 해서 먹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부추해물칼국수식당은 국도 17호선 신탄진로, 대청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주변에는 대청댐, 금강로하스대청공원, 신탄진시장 등의 관광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