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Km 2025-03-16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강남로 489
031-771-0001
럭셔리 고풍스러운 호텔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더 힐하우스 호텔은 그 시설뿐만 아니라 고객에 대한 서비스 하나하나 에도 그 명예를 이어갈 수 있는 특별함을 추구하고 있다. 고객은 따뜻하고 품위 있는 분위기 속에서 힐하우스 만의 특별한 서비스를 통해 표현한 요구뿐만 아니라 표현하지 않은 기대까지도 충족되는 신비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양평을 대표하는 호텔에서 이제 한국의 명문호텔로 변모하고 있는 양평 힐하우스, 세계적인 리조트 블랙스톤 제주와 함께 가는 더 힐하우스는 철학 있는 서비스, 품격이 있는 휴식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15.4Km 2025-06-30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당전로 113
두부고을해마루는국산 콩 100%으로 가마솥에 직접 만든 두부와 한정식을 결합한 건강식을 제공하는 한식당이다. 매일 두부를 직접 만들고 여주 진상미 계약 농가에서 직접 받아오는 쌀로 밥을 지어 제공한다. 음식에 사용되는 콩, 채소, 고기, 고춧가루는 모두 국내산을 사용한다. 반찬으로 나오는 콩물 생두부는 손두부에 콩물을 부어 제공하는데, 진하고 고소한 콩물과 두부와의 조화가 특이하고 새로운 맛을 보여준다.
15.4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경충대로 278
라꾸에스타는 경기도 광주 곤지암 중부CC 근처에 있는 브런치 카페이다. 진한 파란색 테두리에 통유리로 된 대형 건물로 매장 앞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어 주차를 편하게 할 수 있다. 층마다 넓은 매장은 개방감이 좋고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이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야외에도 파라솔 테이블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고 공원 가는 길을 따라 올라가면 잔디밭 곳곳에 텐트, 해먹, 그늘막으로 되어 있는 다양한 좌석들과 골프연습장이 마련되어 있다. 이곳은 1인 1 음료 주문이 필수로 커피와 허브티, 에이드 등의 다양한 음료와 많은 베이커리, 브런치메뉴들이 준비되어 있다. 라꾸에스타는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있는 곳으로 야외 곳곳에 많은 테이블이 있기 때문에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15.5Km 2025-03-19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2709번길 128
이천의 진산인 설봉산 자락에 있는 설봉공원은 세계도자비엔날레와 이천도자기축제, 이천쌀문화축제의 개최지이자 시민의 편안한 휴식처로 이천의 대표적인 공원이다. 이천 9경 중 한 곳으로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는 99㎢의 면적의 설봉저수지를 두르는 산책로와 문화시설, 레저시설 등을 갖추고 있어 여행객들의 방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설봉공원에는 설봉서원과 이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호수 둘레길의 전통 정원과 조형물 등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곳과 세계도자비엔날레의 메인 행사 개최지이자 도자예술 전시 및 도자 체험을 할 수 있는 도자 테마파크인 이천 세라피아(경기도자미술관), 이천시립박물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설봉국제조각공원 등의 시설이 있다. 또한, 현충탑, 6.25 참전 기념탑 등의 현충 시설, 인공암벽장 및 썰매장 같은 레저스포츠 시설도 이용할 수 있다. 또 봄에는 만개한 벚꽃과 가을에는 울긋불긋한 단풍이 아름다워 산책하기 좋다. 설봉저수지 부근 제1주차장 쪽에 이천 종합관광안내소가 있어 필요시 관광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5.5Km 2025-07-23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2709번길 185 (관고동)
설봉공원 내에 위치한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은 한국화의 거장이자 현대화단의 마지막 문인화가였던 월전 장우성(1912~2005) 화백의 예술혼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미술관이다. 아름다운 공원에 빼어난 건축미, 훌륭한 작품을 만날 수 있어 힐링 코스로 각광받는 곳이다. 월전 장우성 화백은 생전에 한국화단을 위해 사재를 사회에 환원하는 뜻을 세우고, 1989년 월전미술문화재단을 설립하여 대표 작품과 평생 모은 국내외 고미술품 모두를 재단에 기증했다. 이를 토대로 1991년 서울시 팔판동에 월전미술관을 건립했다가, 월전미술관을 이천시립월전미술관으로 전환한다는 유지에 따라 2007년 6월 재단법인 월전미술문화재단과 유족으로부터 월전 장우성 화백의 유작과 월전미술관 소장품 1532점을 기증받아 이천시립월전미술관으로 새롭게 개관하였다. 대지면적 9,505㎡(2,875.26평)에 건축면적 1160.67㎡(351.10평)으로 작품 전시와 교육 및 행사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미술관과 월전 장우성 선생 생전의 마지막 작업실을 원형에 가깝게 재현한 월전관과 야외전시장, 월전루, 월전광장, 물의 다리, 무궁화동산, 산책로 등의 시설을 갖췄다. 미술관 건물은 2층 규모로 총 5개의 전시실이 있다. 1층의 1, 2전시실은 기획전 및 특별전으로 운영되고 2층의 3, 4, 5전시실은 상설전시관으로 월전 장우성 화백의 작품 및 고미술 소장품을 전시하고 있다.
15.5Km 2025-03-19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강남로 458
카포레는 건축가 곽희수와 사라김정숙 패션 디자이너가 '숲속의 캐비닛(CABINET IN FOREST)'이라는 컨셉으로 설계한 모던한 건축물로 경기도 양평의 2000여평 대지에 갤러리와 카페, 야외공연장, 사계절 정원으로 이루어진 강, 바람, 나무, 공기, 햇살을 느낄수 있는 아름다운 자연 속의 복합문화시설 이다. 다양한 전시는 물론 음료도 함께 즐길 수 있어 가족과 친구, 연인과 함께 방문하기 좋은 곳 이다.
15.5Km 2025-07-30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용문산로 239
031-775-0311
곤드레밥과 닥종이 공예로 유명한 경기으뜸음식점이다. 본관인 마당에서는 매일 바뀌는 21가지의 정성스러운 반찬과 함께 곤드레밥정식과 대나무통밥을 맛볼 수 있다. 곤드레밥의 곤드레 나물은 직영농장에서 직접 재배한 곤드레 나물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나무통밥은 품질 좋은 담양 대나무 통속에 찹쌀, 은행 등 여러 가지 잡곡을 넣고 지은 영양밥으로, 한번 사용한 대나무통은 재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은은한 대나무향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다고 한다. 별관인 작은 마당은 식사를 마친 고객을 위한 공간으로 직접 제작한 소품들과 젊은 작가들의 생활 도자기를 만날 수 있다. 또한 커피와 수정과, 레몬티, 국화차, 한방차, 유자차, 헛개나무 열매차 등 계절에 맞는 여러 가지 차를 무료로 맛볼 수 있다.
15.5Km 2025-07-23
경기도 이천시 경충대로2709번길 276 (관고동)
설봉서원은 조선중기 1564년(명종19)에 이천부사 정현이 설립한 서원으로, 이천시를 대표하는 조선시대 사립학교이자 향촌 자치운영기구이다. 최초의 사액서원인 백운동서원(소수서원) 보다 21년 늦은 기호지방 최초의 서원으로 출발하여 1593년(선조26) 관으로 이전되었다가 대원군의 서원 철폐 조치로 1871년 훼철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던 중 이천시에서 전국기초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예산을 지원, 이천의 4대 문중과 함께 2007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여 지금이 이르고 있다. 경내의 건물로는 사당인 상현사, 명교당, 동재, 서재, 내삼문, 양현문, 양사재(관리사무실), 전사청, 협문 등이 있고, 복천 서희, 율정 이관의, 모재 김안국, 소요재 최숙정, 해화당 서선 성생을 배향하고 있다. 교육적 기능은 사라지고 제사의 가능만 남아 개방, 운영하지 않는 다른 서원과는 달리 월~토요일까지 상시 개방하며 일반인 및 학생 및 다문화, 외국인, 기관 및 사회단체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무료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인성 및 전통 예절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설봉산 자락의 설봉공원 일원에 위치해 있어 공원 내 이천시립박물관, 이천시립월전미술관을 비롯 설봉국제조각공원, 문학동산, 설봉저수지 등을 함께 연계 방문할만하다.
15.6Km 2025-07-23
경기도 이천시 신둔면 서이천로 887
미곡반상은 익숙한 우리의 밥상에 새로운 아이디어들을 더해 선보이는 모던 한식당이다. ‘임금님표 이천쌀’ 지정업소로 이천의 자랑인 쌀밥을 맛볼 수 있다. 메뉴는 코스와 반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둘 중 하나를 골라 먹을 수 있다. 코스를 시키면 메인메뉴를 비롯하여 여섯 가지의 한입 요리가 함께 나온다. 밑반찬에도 연근유자초절임이나 토마토양파김치같은 독특한 퓨전 메뉴들이 있다. 메뉴는 간이 과하지 않고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렸으며, 맛뿐만 아니라 하나하나 정성이 보이는 플레이팅에 눈도 즐겁다. 이곳의 메인메뉴로는 직화구이한 차돌이 올라간 비빔밥, 벌교의 통통한 꼬막이 푸짐하게 들어간 비빔밥, 매콤함이 살짝 들어간 차돌박이 전골, 칼칼한 감칠맛의 만두 전골, 얼큰 칼칼한 김치육수의 돼지김치 전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