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Km 2025-03-16
전라남도 순천시 팔마1길 9-9 (연향동)
도리옥선은 전남 순천에 위치한 한식당으로 남도의 식재료를 활용한 전통 한식과 다양한 전통주를 제공한다. 주요 메뉴로는 주꾸미 비빔밥, 주꾸미 직화 볶음, 순천꼬막미나리파전 등이 있으며 계절에 따라 메뉴가 변경되어 제철 식재료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인테리어는 현대적이면서도 한국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편안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2층 규모의 건물로, 1층은 일반 식사 공간, 2층은 단체 모임이나 특별한 날을 위한 프라이빗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리옥선은 순천의 새로운 맛집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정원박람회 근처에 위치해 관광객들에게도 인기가 높다.
4.6Km 2025-03-27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정유재란(1597年) 당시 육전에서 패퇴한 왜군선봉장 우키다 히데이와 도도 다카토라가 호남을 공략하기 위한 전진기지 겸 최후 방어기지로 삼기 위해 3개월간 쌓은 토석성으로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이 이끈 1만 4천여 명의 왜병이 주둔하여 조·명연합군과 두 차례에 걸쳐 격전을 벌였던 곳으로 남해안 26 왜성 중 유일하게 한 곳만 남아 있다. 순천왜성은 수륙 요충지로서 성곽 규모가 120,595m²(36,480평), 외성 2,502m, 내성 1,342m로 외곽성(토석성) 3개, 본성(석성) 3첩, 성문 12개로 축조된 성곽으로 검단산성 쪽의 육지부를 파서 바닷물이 차도록 섬처럼 만들고 연결 다리가 물에 뜨게 하여 예교, 왜교성이라 하며 일인들은 순천성이라 부르고 있다. 임진란 패인이 전라도 의병과 수군의 용전에 있었다고 보고 전라도를 철저히 공략키 위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야심에 따라 전라도 각처에 진지를 구축해 공세를 강화하였으나 무술년(1598년) 8월 그가 급사 후 왜성에 주둔해 있던 침략 최정예 부대인 소서행장 왜군과 조·명 수륙 연합군 사이에 2개월에 걸친 최후·최대의 격전을 펼친 곳이다. 순천시가지에서 여수 쪽으로 6㎞쯤 가다가 왼쪽으로 6㎞를 가면 200여 호가 사는 신성리 마을과 이충무공을 배향한 충무사가 있고 남쪽 200m 지점 광양만에 접한 나지막한 송림에 위치한 왜성은 유정, 권율이 이끄는 육군 3만 6천, 진린,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 1만 5천 병력이 왜성을 비롯 장도등을 오가며 왜군을 격멸했고 이충무공이 27일간을 머물면서 전사 하루 전 소서행장을 노량 앞바다로 유인하여 대첩을 거둔 유서 깊은 전적지로서 자라나는 후손들에게 역사의 산교육장이기도 하다.
4.8Km 2024-10-15
전라남도 순천시 백강로 36
061-721-8801
순천만 정원에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통나무 식당은 남도 전통식으로 음식을 대접하고 있다. 식당 앞 주차장은 약 차량 50대 정도가 주차가 가능하며 약 140명의 인원이 수용 가능하여 단체모임이나 회식, 가족모임 장소로 안성맞춤인 식당이다. 이곳은 순천의 자랑인 꼬막정식 및 짱뚱어탕을 메뉴로 하고 있으며 이외에 백반, 삼겹살, 꼬막회무침 등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4.8Km 2025-03-31
전라남도 순천시 원연향길 17 호남호국기념관
호남호국기념관은 2020년 11월 13일에 개관한 호남최초 호국기념관으로 6·25 전쟁 속 호남의 호국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공헌을 널리 알리는 공간이다. 또한 지역민들과 소통하고 호흡이 살아있는 역사 공간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더 가까이 국가보훈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역사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기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및 특별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호남호국기념관을 통해 미래 세대들에게 호국영웅들을 소개하고 아이들을 위한 다양한 체험시설을 갖춘 시설이다.
4.8Km 2025-05-16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2길 145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막하에서 큰 전공을 세운 정운, 송희립 장군의 영정을 봉안하고 충무공의 탄신일과 귀천일에 제향을 모시고 있는 사우이다. 구전에 의하면 정유재란이 있은 후 백여년 뒤 신성리에선 서씨, 이씨, 김씨 등 3성이 처음으로 현지에 거주 하면서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였으나, 밤마다 마을 앞 바다에서 들려오는 귀곡성으로 인해 생활이 어려울 정도에 이르게 되자, 이를 진압하기 위해 소규모의 신당한채를 짓고 여기에 이 충무공의 영정을 그려 모시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 후 1944년에 이르러 일제의 방해로 인해 사당과 함께 이 충무공의 영정이 철거되어 버렸다. 해방 후 승주군수로 부임해 온 김양수의 발의에 의해 건립기금 마련을 위해 군민들의 성금을 모으게 되었고, 아울러 광주에서도 충무공 유족 복구 기성회가 설립 되면서 1949년 충무사를 건립하였다. 이때 이당 김은호의 휘호로 충무공의 영정을 새로 제작하여 걸었고, 그로부터 2년 후 충무공의 막하에서 큰 전공을 세운 정운과 송희립의 영정을 함께 모시게 되었다.
4.8Km 2024-11-26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와온2길 7
061-723-8404
친환경 소재 토기와 참 소나무, 황토, 황 겨 숯 벽체, 친환경 벽지 등을 이용해 현대 생활의 편리성을 추구한 노을 한옥 펜션이다. 순천에서 20여 분 여수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한 와온마을 뒤쪽에는 1시간여의 소나무 숲과 황톳길의 등산로가 있으며 앞으로는 갯벌체험을 할 수 있는 뻘로 이루어진 바다가 바로 펼쳐져 있다.
4.9Km 2024-07-01
전라남도 순천시 매안로 137 월하건물
연향동에서 순천 신대지구로 신축 이전한 '정원'은 퓨전 한식, 일식 전문점으로 양국 식문화의 장점을 취합해 ‘정원’만의 특별한 맛을 만들어냈다. 단품 메뉴보다는 코스 요리로 제공해,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이곳의 인테리어는 높은 층고와 264m² (80평) 규모의 큰 매장으로 탁 트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테이블 간격 역시 넓은 편이라 쾌적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이곳의 가장 유명한 메뉴는 점심 메뉴인 수제 떡갈비 정식이다. 합리적인 금액에 반찬 가짓수도 많아 가성비가 좋다. 또한 정식 코스 메뉴인 정원 궁중 정식과 순천만 넓은 정식 역시 제철 식자재를 이용해 다양한 한식 메뉴를 선보인다. 상견례 등과 같은 중요 모임에도 적합한 식당이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4.9Km 2025-06-16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상내리
와온공원은 노을명소로 유명한 와온해변 옆에 위치해 있는 작은 공원이다. 넓은 주차장에 산책로가 깔끔하게 조성되어 있고, 운동기구와 쉬어갈 수 있는 정자도 마련되어 있다. 산책로를 따라 무성한 갈대밭이 펼쳐져 있으며 드넓은 바다가 시야에 가득 찬다. 썰물 때는 솔섬까지 드러나는 갯벌의 풍광을 볼 수 있고 밀물 때는 찰랑거리는 파도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해 질 녘 솔섬과 화포 마을 너머로 지는 일몰이 아름답기로도 유명하다. 일몰 전망대 오른쪽으로는 용산 전망대까지 이어지는 해안 길이 나 있다. 운동 삼아 걷기에도 좋은 코스다. 연인이나 가족과 함께 해안 길을 걸으며 서로의 정을 쌓기에 좋은 곳이다.
5.0Km 2025-06-09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상내리
와온해변은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상내리 와온마을에 위치한 해변이다. 한 스님이 인근 상봉우리에 있는 바위를 보고 소가 누워 있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산 아래로 따뜻한 물이 흐른다고 말해 이후 부터 와온(臥溫)이라 부른다고 한다. 남서쪽으로는 고흥반도와 순천만, 동쪽으로는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에 인접한 조용한 해변으로 길이는 약 3㎞다. 낙조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와온해변 앞에 있는 솔섬 너머로 해가 넘어가는 모습은 장관을 연출 시킨다. 썰물로 인해 드넓은 개펄이 드러나는데, S자 라인으로 좁고 구불구불한 물길이 생긴다. 또한 흑두루미를 비롯한 겨울 철새의 모습을 볼 수도 있다.
5.1Km 2024-02-20
전라남도 순천시 와온길 107
순천의 와온 해변 근처 언덕에 있는 아담한 카페이다. 넓은 창과 흰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고 저녁이면 3층 건물 전체를 밝게 비추는 노란 조명과 카페로 이어지는 계단이 와온 해변과 잘 어우러진 풍경을 자아낸다. 메뉴는 커피류와 라테류, 복숭아 아이스티, 피치 블로섬 등 논 커피류 등도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시그니처 메뉴로는 오렌지와 파인애플 히비스커스로 만들어 와온의 노을을 표현한 와온 선셋, 콜드브루 베이스로 만든 와온_밤 아인슈페너, 크루저와 연유를 섞어 만든 돌체_밤 아인슈페너 등이 있다. 간단한 베이커리도 있어 음료와 곁들여 먹기 좋다. 3층은 어린이 제한 구역으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