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Km 2025-01-20
전라남도 순천시 홍두길 136 (홍내동)
061-744-1760
순천만 해룡성고택은 풍암 문위세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순천문중 종택으로 300년 전통의 순천만 천석꾼의 가문이다. 미나리 삼겹살 바비큐를 할 수 있고 황칠오리백숙이 조식으로 제공된다. 특히 승지원과 사비원은 취사가 가능한데, 방과 거실, 부엌과 화장실이 따로 되어 있어 가족끼리 머물기 좋아 인기가 많다.
6.0Km 2024-01-29
전라남도 순천시 송산2길 22-102
순천시 신대지구 외곽에 있는 카페 어그원은 인테리어가 돋보이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전용 주차장이 따로 있고 단체석이 구비되어 있어, 여유롭게 커피와 디저트를 맛볼 수 있다. 야자수로 꾸며져 있어 제주도를 연상시키는 테라스가 마련되어 있다. 10가지의 다양한 베이커리와 여러 가지의 음료를 즐길 수 있고, 시그니처 음료인 쑥라테와 흑임자라테는 호불호 없이 젊은 층도 쉽게 즐길 수 있다. 에이드 음료는 일반 설탕이 아닌 유기농 비정제 원당을 사용한 수제 청으로 깔끔한 단맛을 느낄 수 있다. 디저트로는 크로플이 유명한데, 브라운 치즈 크로플은 메이플 시럽과 계핏가루가 넉넉히 들어있어 쫀득한 호떡처럼 달짝지근하다.
6.0Km 2025-03-16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순광로 660
2021년 3월 개관한 전남도립미술관은 옛 광양 역사 부지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립된 현대미술 공간이다. 한국 미술사를 대표하는 작가를 다수 배출한 ‘예향’ 아카이브 사업을 통해 지역 작가 수집, 발굴에 앞장서고 있다. 우수한 전통을 토대로 새로운 현대미술의 미래를 밝히고, 남도 미술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전체가 6m 전시장으로 구성돼 다양한 전시를 할 수 있으며, 조명도 자연광과 가장 가까운 빛의 조명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머무르다 갈 수 있는 미술관이 되고 있다. 세계 현대미술과의 개방적이고 다양한 교류를 통해 문화예술 기관으로서의 공공성 확립에 앞장서고 있다.
6.1Km 2025-03-19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향교길 67
태조 7년(1397)에 세운 광양향교는 임진왜란(1592)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광해군 5년(1613)에 광양현감과 지방 유림이 힘을 모아 대성전을 지으면서 점차적으로 건물을 지었다. 그 뒤 여러 차례 수리가 있었으나, 한국전쟁 때 완전히 없어진 것을 1966년에 출입문인 풍화루를 돌기둥으로 대신하여 세운 것을 시작으로 건물을 다시 지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명륜당·풍화루·동재·서재 등이 있다. 앞쪽에 명륜당을 중심으로 배움의 공간을 두고, 뒤쪽에 대성전 중심의 제사공간을 이루는 일반적인 배치형식과는 달리 자유롭게 배치하였다.
6.1Km 2025-08-14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백운로 3
광양5일장은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목성리에 위치한 재래시장으로 매달 1일, 6일, 11일, 16일, 21일, 26일에 열리는 시장이다. 1964년에 처음 개장한 광양5일장은 50년의 세월을 자랑하는 시장이다. 광양의 맛있는닭구이, 신선한 농·수산물 등 다양한 식·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장이다. 베이커리와 식당도 있음으로 든든한 한 끼와 디저트도 챙길 수 있으니 방문을 추천한다.
6.2Km 2025-03-19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신재로 110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신재서원은 광양 현감을 지낸 정숙남이 광양고을 출신 최산두와 광양 현감을 지낸 박세 후를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으나 숙종 신미년에 사민이 중건하였고, 이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철폐되었다가 1977년에 현재의 위치에 다시 세웠다. 최산두(1482~1536)는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사림으로 호는 신재, 본관은 광양으로 광양에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때 백운산에 내린 북두칠성의 기운을 받았다 하여 이름을 산두(山斗)로 지었다 한다.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과 사간원을 거쳤다. 박세 후(1493~1550)는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로 화를 입은 사림으로 호는 인재, 본관은 상주이다. 진사과에 오른 후 별시 문과에 급제, 홍문과 박사, 성균관 전적, 사헌부 감찰 등을 거쳐 광양 현감에 임명되었다. 광양 현감으로 있을 때 학문을 장려하여 사마소를 건립하는 등 크게 유업을 일으켜 훗날까지 칭송을 자자하게 들었다. 관련 유적으로는 신재최산두선생유허비와 봉양사 사적비 등이 있다.
6.2Km 2025-08-20
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해광로 1
친환경농산물 경매장으로 널리 알려진 순천시 농산물도매시장은 친환경 농산물을 취급하는 상인들이 주로 찾는 곳이다. 또한 경매장 입구에서는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소매로 판매하기 때문에 인근 지역주민들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순천 일대의 농산물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는 농산물을 취급하고 있어, 다양한 과일과 채소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493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정도로 넓은 주차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건조수산물시장, 농자재판매장 및 식당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쇼핑이 가능하다.
6.2Km 2024-05-14
전라남도 순천시 홍내교길 106
순천 홍내동에 위치한 순천도축장은 당일 도축한 신선한 육류를 접할 수 있는 곳이다. 도축장은 일반인들의 출입이 불가하지만, 도축장 주변에 질 좋은 한우와 한돈 등을 판매하는 정육점들이 많아, 지역주민들이 즐겨 찾는다. 정육점에 마련된 쇼룸에서 미리 손질된 고기를 골라 구매하거나 용도에 맞는 고기를 요청하면, 그 자리에서 해당 부위의 뼈를 발라내 주기도 한다. 육회, 불고기, 벌집삼겹살 등 종류도 다양해 원하는 고기를 마음껏 선택할 수 있다. 합리적인 가격에 품질 좋은 고기를 구매하고 싶다면 방문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6.6Km 2024-01-31
전라남도 순천시 정채봉길 30
순천시 신대지구 근처에 있는 순천 산들담은 한식 전문점이다. 메뉴는 간단하게 3가지의 정식 메뉴가 있는데, 한돈 떡갈비와 한우 떡갈비를 맛볼 수 있는 산들담은 정식, 한돈 떡갈비를 맛볼 수 있는 산들좋은 정식, 한우 떡갈비를 맛볼 수 있는 산들보감 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닭가슴살과 샐러드, 토르티야 조합으로 애피타이저가 제공되며, 다음으로 샤부샤부가 나오는데 고기랑 채소를 익혀서 월남쌈으로 싸서 먹어도 좋다. 샤부샤부를 다 먹고 난 후에는 청국장과 함께 대통 밥이 나오는데 자극적인 맛이 없이 깔끔하다.
6.9Km 2022-04-13
전라남도 순천시 상사면 상사호길 282
061-745-7455
현지인들의 숨은 맛집으로 줄 서서 기다리는 매장이다. 대표 메뉴는 게장정식이다. 전라남도 순천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