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원삼면 독성리 ~ 백암면 황새울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경기옛길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원삼면 독성리 ~ 백암면 황새울마을)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경기옛길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원삼면 독성리 ~ 백암면 황새울마을)

[경기옛길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원삼면 독성리 ~ 백암면 황새울마을)

18.1Km    2025-03-21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이원로1116번길

구봉산길은 원삼면 두창리에서 백암면 석천리 황새울길로 이어지는 구봉산과 정배산, 조비산을 관통하는 길이다. 용인 동부 지역 주민들에게 정신적으로 중심이 되는 산이 구봉산이고 정배산과 조비산은 구봉산의 지산(支山)이라고 할 수 있다. 정배산에서 조망할 수 있는 드라마 촬영 세트장인 드라미아 또한 좋은 볼거리이다. 구봉산과 정배산을 지나 만나는 조비산은 수려한 경관과 멋진 암벽이 있어 암벽등반을 즐기는 사람들의 중심지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 경기옛길 홈페이지)

청석가든

청석가든

18.1Km    2025-04-25

경기도 광주시 파발로 61 (경안동)

청석가든은 경기도 광주종합터미널 근처에 있는 숯불갈비 전문점이다. 2층으로 된 단독건물로 매장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하게 주차를 할 수 있다. 깔끔한 매장 내부는 좌식 테이블과 입식 테이블이 골고루 구비되어 있으며 가족 모임, 단체모임 등 다양한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단체석도 있다. 천연 과일로 양념한 양념돼지갈비가 이곳의 인기 메뉴로 직원이 직접 구워줘서 편하게 식사할 수 있다. 또한 매장 한쪽에는 셀프바가 있어 추가 반찬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직한옥체험마을(용인예직한옥체험 마을)

18.1Km    2024-11-27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예직로 24-28
010-3254-4112

아름다운 한국의 멋을 담은 예직한옥펜션입니다. 서울에서 한시간거리, 독채형 객실로 편안한 '쉼'을 선물합니다. 편안하고 아름다운 '쉼'을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여주 영릉(세종·소헌왕후)과 영릉(효종·인선왕후) [유네스코 세계유산]

18.1Km    2025-07-10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영릉로 269-10

영릉(英陵)은 조선 4대 세종(재위 1418~1450)과 소헌왕후 심씨(1395~1446)의 능이다. 조선왕릉 중 최초로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으로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세종, 오른쪽에 소헌왕후를 모셨다. 원래 영릉은 1446년(세종 28) 소헌왕후가 먼저 세상을 떠나자 현 서울 헌릉과 인릉 경내 인릉 자리에 조성되었고, 4년 뒤 세종이 세상을 떠나자 영릉에 합장하였다. 그러나 영릉이 풍수상 불길하다고 하여 세조 대부터 영릉을 옮기려고 하였으나 실현되지 못하였다가 1469년(예종 1)에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옮기면서 옛 영릉에 있던 능침 석물과 신도비는 땅에 묻었고, 여주로 옮기면서 능침의 석물은 다시 만들었다. 영릉(寧陵)은 조선 17대 효종(재위 1649~1659)과 인선왕후 장씨(1618~1674)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아래로 조성한 최초의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능을 바라보았을 때 위에 위치한 봉분이 효종의 능이고, 아래 봉분이 인선왕후의 능이다. 이렇게 능을 위아래로 조성한 이유는 쌍릉의 형태처럼 봉분을 나란히 조성할 경우, 풍수지리상 생기가 왕성한 정혈(正穴)이 벗어나기 때문에 위아래로 배치한 것이다. 1659년 효종이 세상을 떠나자 현 구리 동구릉 내 원릉 자리에 조성되었으나, 조성 직후부터 능침 석물에 문제가 생겨 보수가 계속되자 능 안에 빗물의 피해가 있을 것을 염려하여 1673년(현종 14)에 옮기기로 하였다. 그러나 능을 옮길 때 방을 열어보니 물이 들어온 흔적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영릉 입구에 있는 재실은 제향을 준비하는 건물로 현재 조선왕릉의 재실 중 원형이 가장 잘 남아있다.

문수산마애보살상

문수산마애보살상

18.1Km    2025-07-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문촌리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문촌리 문수산[文殊山] 정상 가까운 암벽면에 조각한 고려 전기의 마애불이다. 이곳에서 약 50m 떨어진 곳에는 암자터로 추정되는 곳이 있다. 암벽은 두 개로, 각각의 바위에는 연화대좌 위에 서 있는 보살상 두 구를 대칭되는 모습으로 새겼다. 현재로서는 중앙에 본존불 없이 보살상만을 조성하였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중앙에 원래 주존이 있었는지 혹은 본존불 조성에까지 이르지 못했던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좌측 보살상은 우측 상에 비해 더 얕은 부조이다. 두 상은 우측상이 민머리임에 비해 왼쪽 상이 보관을 쓴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상체에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하체에 치마를 두르고 있는 등 두 상은 대체로 비슷한 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좌측의 보살상은 방형의 풍만한 얼굴에 눈 코 입은 비교적 뚜렷하게 표현되었고, 짧은 목에는 삼도[三道; 붓다의 지혜를 상징하는 세 줄의 주름]를 나타냈다.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내리고 있으며 왼손은 가슴에서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다. 우측의 보살상은 미소가 좀 더 선명하고 두 귀가 어깨까지 길게 내려오고 있다. 두 손은 좌측상과 대칭을 이루는 손 모습을 보인다. 신체에 비해 큰 얼굴, 얼굴을 포함하여 단순하면서 도식적으로 묘사된 신체 각 부의 표현 등 고려 전기의 양식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카페추자리

카페추자리

18.2Km    2025-04-29

경기도 광주시 오포로 695 (추자동)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로 커피, 라테, 스무디, 에이드, 베이커리 등이 있어 나들이를 겸한 브런치 데이트 장소로 좋다, 1층에는 주문계산대와 빵 진열대가 있고 2층에 소파와 테이블이 있는 공간이 있다. 감성적인 인테리어로 SNS 용 사진을 찍으면 예쁘게 나온다. 다양한 식빵이 있으며 건강빵인 호밀빵은 예약주문만 가능하다. 수제 쨈도 판매한다. 주차장은 두 군데가 있다.

크웰브

크웰브

18.2Km    2024-11-27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옥대로 1330 (유방동)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베이커리 카페이다. 2층 단독건물로 된 대형 카페로 루프탑과 넓은 주차장이 있다. 밀가루, 물, 효모, 소금 네가지의 단순한 재료만으로 만드는 프랑스 정통바게트를 맛볼 수 있다. 매장에서 직접 구운 베이커리들과 함께 아이들도 즐길 수 있는 베이비치노, 초코치노 등 카페인 없는 음료가 준비되어 있다.

행복 솥뚜껑 쌈밥

18.2Km    2024-01-11

경기도 광주시 오포로 513

행복 솥뚜껑 쌈밥은 경기도 광주시 문형동에 위치한 음식점이다. 1인분 16,000원인 만큼 반찬에 정성이 많이 들어있으며 오히려 가성비 좋다는 기분을 들게 한다. 맛있는 삼겹살에 손이 많이 가는 다양한 반찬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고기 추가의 경우 1인분 13,000원이다.

경안시장

경안시장

18.2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경안로25번길 10-2

조선시대부터 명맥을 잇고 있는 유서 깊은 전통시장이다. 3일과 8일에 열리는 오일장과 상설시장이 함께 공존한다. 광주 지역 중심 시장으로 자리매김한 경안시장은 농산물과 수산물, 축산물, 의류, 잡화 등을 판매하고 있다. 시장 내 쇼핑카트가 있어서 장 보기에 편리하다. 또한 넉넉한 공영주차장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주차가 아주 편리하다.

여내울

여내울

18.2Km    2025-07-01

경기도 여주시 여주남로 70 (월송동)

경기도 여주시 월송동 소재의 손두부 전문점이다. 여주 프리미엄 아울렛이나 인근 컨트리클럽의 방문객들이 즐겨 찾는 곳으로 연간 12만 명이 방문하는 여주 맛집이다. 직접 만드는 손두부는 물론이고 상에 올리는 채소들은 직접 밭에서 기른 재료를 사용하며 쌀도 직접 농사지은 믿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여름에는 고소한 콩국수를 맛보고 겨울에는 뜨끈하고 몽글한 손두부를 맛볼 수 있는 것이 여내울의 장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