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Km 2025-05-22
세종특별자치시 호수공원길 155
044-850-0592
*하기 축제 먹거리 정보는 전년도(2024년) 정보로, 2025년도 축제 먹거리 정보는 업데이트 중에 있습니다.*
‘한글문화도시 세종’ 이미지에 적합한 세종대왕과 세종시대 인재 중심의 ‘한글·과학·음악’을 주제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만나볼 수 있다.
18.2Km 2025-05-13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중앙로4길 11
경진각은 옥천에서 30년 넘게 영업하고 있는 중화요리집이다. 2019년 10월 SBS TV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에 소개된 바 있다. 당시 짬뽕의 달인으로 나온 만큼 이곳의 대표 메뉴는 짬뽕이다. 원래 식용유와 돼지기름을 알맞게 섞어서 볶은 옛날식 짜장면이 유명했지만, 지금은 짬뽕이 더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점심시간대엔 손님이 많은 편이어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18.2Km 2025-03-19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마암로1길 5
만양정육점은 JTBC 드라마 <괴물> 촬영지이다. 세월의 흔적이 선명히 보이는 외관에 눈길이 가는 곳으로 2021년 3월까지 촬영 장소로 활용되었다. 촬영을 위한 내부 세트들은 대부분 정리되어 기존 정육점의 모습으로 복원되어 있다. 건물 일부가 철거된 상태로 운영을 하고 있진 않으나, 간판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외관만으로도 드라마의 한 장면을 연상케 하여 드라마를 본 많은 팬들이 포토존 장소로도 찾고 있다.
18.2Km 2025-07-11
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동
은행나무 두 그루의 나이는 약 600년 정도로 추정된다. 숭모각 입구 우측에 위치한 은행나무는 높이 20m, 뿌리목 둘레 6.9m이며, 입구 좌측의 은행나무는 높이 19m, 뿌리목 둘레 5.4m이다. 임난수 은행나무에 관한 기록은 1674년 간행된 『부안임씨세보』의 부조사우도에 은행나무 한 쌍과 행정(杏亭)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또한, 충청도 공주목의 『공산지(1859)』 부조사우(不祧祠宇)와 『연기지(1934)』에도 은행나무에 관한 내용이 전해진다. 세종 임난수 은행나무는 여러 문헌에 기록될 만큼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암수 한 쌍으로 이루어진 노거수로, 기존에 단목으로 지정된 은행나무와 구별된다. 유교 문화와 관련된 행단(杏壇)의 좌우 대칭으로 심는 전통 재식 방식과 전월산 자락의 숭모각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도 뛰어나다. 현재까지도 부안임씨 후손들이 매년 은행나무 목신제를 지내고 있어 학술적·경관적 가치가 크며, 이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18.3Km 2023-08-08
나지막한 논산의 들녘을 따라 백제에서 고려에 이르는 역사의 현장들이 자리 잡고 있다. 신라와의 황산벌 전투에서 장렬히 전사한 계백의 무덤과 고려의 태조 왕건이 삼국을 통일한 것을 기리기 위해 세운 개태사, 고려시대 은진미륵불이 서 있는 관촉사를 돌아본다.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에도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인 돈암서원과 탑정저수지도 의미 있는 탐방지다.
18.3Km 2025-07-11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계백로 2614-11
개태사(논산)는 천호산(371.6m) 서쪽 자락에 있는 사찰이다. 936년(태조 19)에 고려 태조가 후백제의 신검을 무찌르고 후삼국을 통일한 것을 기념하여 황산을 천호산이라 개칭하고 창건하였다. 또한 후백제를 세웠다가 고려로 귀부한 견훤이 병사한 곳으로도 전해진다. 이곳에는 태조의 영정을 모시는 진전이 있었으며, 국가에 변고가 있을 때에는 신탁을 받는 등 왕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유지되어 왔다. 그러나 고려 말기에 이르러 왜구의 침입을 받아 쇠퇴하였다가 조선시대와 1930년대에 점차적으로 재건되었다. 이곳의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사지석불입상, 충청남도 민속문화재 개태사철확,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5층 석탑과 석조가 있다. 그중 예전에 이 절에서 쓰던 철확, 즉 큰 가마솥은 승려들의 식사를 위해 국을 끓이던 것으로 지름 3m, 높이 1m, 둘레 9.4m이다.
18.3Km 2025-07-21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성왕로 1250
043-733-5788
대박집은 옥천군 성왕로 [향수 마을 아파트] 옆에 자리하고 있으며 비교적 넓은 주차장과 건물을 갖춘 생선국수 전문점이다. 이곳은 옥천의 향토 음식을 대접하는 곳으로 민물 생선을 12시간 동안 뼈째 푹 삶아 육수를 만들어낸 생선국수 맛집이며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색다른 음식을 만드는 곳이다. 옛 어른들이 강가에서 낚시하여 잡은 민물고기로 매운탕을 드시고 남은 국물에 소면을 넣어 먹었던 것에서 시작한 음식이다. 주메뉴는 생선국수와 도리뱅뱅, 한돈 떡갈비, 매운탕, 빙어 튀김 등이며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준비하고 있다. KBS, SBS, MBC 등 여러 방송국에서 소개된 맛집이며 평소에 쉽게 먹을 수 없는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대형 솥에 300인분의 민물고기 육수를 끓여 낸 후 숙성실에서 보관하고, 주변의 들녘에서 직접 재배한 농산물로 된장과 밑반찬을 만들어 손님들에게 대접하고 있다. 이름난 맛집이니 옥천을 여행하며 들러보기 좋은 곳이다.
18.3Km 2025-03-06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염티소전로 55-100 월리사
월리사는 충청북도 청주시 구룡산 서쪽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 법주사의 말사이다. 월리사는 대청호를 끼고 있는 구룡산 서쪽, 이른바 샘봉산이라 불리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대청호가 가둬둔 물이라면 월리사로 가는 길은 비탈을 따라 흐르는 물처럼 요동친다. 월리사에 가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구룡산 월리사를 알리는 표석과 "이곳은 불존(佛尊)이 있는 특별한 구역이니 장례를 치르지 말라"고 적어 놓은 금비(禁碑)다. 아마도 공양미 자루를 머리에 이고 먼지 날리는 길을 걸어 걸어서 절을 찾던 옛 아낙들은 이쯤에서 버선발에 힘이 모이고 노는 입에서는 저절로 염불이 흘러나왔을 것이다. 월리사는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사찰로 자연의 풍광을 거스르지 않는 전각들이 천상 고졸한 산사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까닭이다. 월리사에 있는 전각은 대웅전, 삼성각, 요사 등 모두 3동이다. 이 중 으뜸은 하늘로 날아갈 듯 한 추녀의 곡선이 빼어남을 자랑하는 대웅전으로 월리사의 중창과 함께하는 건물이다. 대웅전에 들어서 부처님께 참배한 뒤 천장을 보면 색과 선으로 표현된 천상의 세계를 만나게 될 것이다.
18.3Km 2025-05-07
세종특별자치시 나성북1로 51 (나성동, 나릿재마을 6단지)
메타45카페는 세종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카페이다. 지상 45층(200m)에 위치해 있으며, 라운지에서 도시의 스카이뷰를 감상하며 커피 한잔을 즐길 수 있다. 해가 지면 카페 내 조명을 소등하고 테이블마다 작은 전등을 켜서 야경을 즐기기에 좋은 최상의 환경으로 만들어준다. 데이트코스로 급부상하고 있는 곳으로 웨이팅이 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