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미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일미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일미원

일미원

15.5Km    2025-01-16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46길 5-6

일미원은 서울 강남구 수서역에 인근에 위치한 복어요리 전문점이다. 매장 내부는 넓은 홀에 인원별 다양한 테이블 구성과 개별 룸까지 있어 단체 행사나 가족 모임을 할 수 있다. 대표 메뉴는 복매운탕, 복지리, 복불고기, 복튀김(중)이다. 이외 메뉴로는 복수육(대), 복사시미초밥, 아귀탕(대, 중), 된장 복지리도 맛볼 수 있다. 메뉴별로 포장과 배달도 가능하다. 매장이 있는 건물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가 편하다. 주변에 광수산과 대모산이 있어 등산과 연계 방문하기에도 좋다.

벌교한상

15.5Km    2025-01-06

서울특별시 강남구 광평로46길 7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벌교한상은 꼬막, 홍어, 보리굴비 등 남도한식 정찬을 즐길 수 있는 식당이다. 최고의 밥맛을 내기 위해 국내 최고급 브랜드 쌀인 조성향米로 지은 밥과 벌교에서 전날 채취하여 직송받은 신선한 꼬막 요리는 시각과 미각을 자극한다. 수서역 인근 한적한 곳에 있어 마치 자연 속에서 식사하는 느낌이 들 수 있다.

죽전중앙공원

죽전중앙공원

15.6Km    2025-08-08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1314

죽현중앙공원은 흙을 밟으며 산책할 수 있는 공원으로 휴게공간, 운동공간, 놀이마당, 잔디광장으로 나누어져 있고 연못과 분수대, 바닥분수, 문화재 복원지가 있다. 자전거 보관대가 있어 자전거 이용시민도 불편 없이 접근이 가능하고 배수지 공원으로 이어지는 산책로엔 계절이 바뀔 때마다 꽃과 단풍이 절정을 이룬다. 운동기구가 설치돼 있고 러닝 가능한 원형 트랙, 4개의 배드민턴장, 지압길, 숲 속 산책로 등이 있다.

광주 산두른마을

광주 산두른마을

15.6Km    2025-03-31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길 38

너른 고을 광주시는 산이 높고 골이 깊은 고장으로 이곳 산두른 마을 또한 경기속의 강원도라 불릴 정도로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청정지역으로남아있는 전형적인 농촌 산골마을이다. 마을 어귀에는 350년생 느티나무 고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며, 태화산만이 연출하는 독특한 사계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겨울 설화와 어우러진 산두른 마을의 포근함인 활쏘기 시합과 동화놀이(달집태우기) 등이 옛날 어릴 적 고향마을의 향수를 연상시킨다. 마을로 들어서는 입구에는 유정저수지가 그림처럼 펼쳐져 있으며, 마을내에 있는 추곡저수지는 인근의 많은 낚시객들이 찾고 있다. 주위로는 태화산이 마을을 감싸 안고 있어 매우 포근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으며, 다양한 등산로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산행이 가능하다. 산두른마을의 체험프로그램 산두른마을의 체험프로그램은 크게 별과 함께 체험프로그램과 농촌체험프로그램으로 나뉜다. 별과 함께 프로그램은 별을 테마로 한 각종 체험과 짚, 나무를 이용한 공예체험으로 별찾기와 별점, 별보며 산행하기, 공예체험(공예시범 및 야생화체험) 등이 있으며, 농촌 체험은 걸어서 마을 한바퀴, 당나귀 마차를 이용한 산두른 답사, 각종 농산물 체험, 느티마당놀이 등 다양한 농촌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 방이동 고분군

서울 방이동 고분군

15.6Km    2025-04-10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219 (방이동)

방이동 고분군은 방이동 일대 낮은 구릉의 능선부에 축조된 백제시대의 무덤들이다. 1975년에 발굴 조사한 뒤 1983년에 정비하였다. 고분 및 외형에 대한 수차례의 발굴 및 정비공사를 거쳐 지금 모습의 공원으로 조성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무덤은 8기로 서쪽 높은 지대의 4기와 동쪽 낮은 지대의 4기이다. 제1호분과 제4호분, 제6호분 등은 깬돌로 쌓은 궁륭식 천장의 굴식돌방무덤으로 백제 전기의 무덤으로 추정되며, 제5호분은 구덩식 돌덧널무덤으로 조사되었다. 도시 개발로 사라진 제4·5호분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조사된 것은 10기 중에 4기(1·4·5·6호분)뿐이므로 나머지 무덤들(2·3, 7~10호분)의 구조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이 고분군은 발굴 조사하기 전에 이미 도굴되어 유물이 많이 출토되지는 않았으며, 제6호분에서 회청색 굽다리 접시를 비롯한 전형적인 신라 토기들이 출토되어 신라시대의 무덤으로 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성백제지역이었던 서울 우면동, 하남 광암동, 성남 판교 등지에서 백제의 굴식돌방무덤이 잇따라 발견됨에 따라 이곳 고분군이 백제시대의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양수리전통시장(1,6일)

양수리전통시장(1,6일)

15.6Km    2025-06-24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1060
031-775-3110

양수리 전통시장은 경기도 양평의 3대 전통 시장 중 하나로, 금강산에서 출발한 북한강과 강원도 검룡소에서 출발한 남한강의 두 물이 합류하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양수리 전통시장의 모태는 양수리 나루터이다. 이곳은 남한강 최상류 물길이 있던 강원도 정선과 단양, 그리고 물길의 종착지인 뚝섬과 마포나루를 이어주던 위치적 장점 때문에 매우 번창헀다. 양수리 전통시장은 서울에서 40분 정도면 찾아갈 수 있는 거리에 있으며, 두물머리와 세미원 등 볼거리 풍성한 관광지도 인접해 있다. 시장에는 음식, 가정용품, 의류, 신발 등 다양한 먹을거리와 살거리가 준비 되어 있으며, 노래방 등의 유흥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매월 1일과 6일에는 시장 입구에서 민속 5일장이 열려서 더욱 많은 볼거리와 살거리들로 풍성해진다. 또한 아케이드 공사가 완료되어 쇼핑의 편의성이 배가 되었으며, 입구에 넓은 주차장과 택시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어서 시장 출입이 용이하다. (출처 : 양평군 문화관광 홈페이지)

희락보리

희락보리

15.6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234번길 10

희락보리는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보리밥집으로 에버랜드 근처에 있는 식당이다. 메뉴는 3가지로 희락보리밥은 보리밥만 있는 메뉴이고 희락고등어는 희락보리에 고등어구이를 추가한 것이고, 희략양념게장은 희락보리밥에 양념게장을 추가한 것이다. 모든 메뉴에 공통인 희락보리는 보리밥, 청국장, 수육이 기본이고 보리밥을 비벼 먹을 수 있게 개인별 접시에 담겨 제공한다. 주차장은 가게 옆쪽에 별도로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