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Km 2025-05-12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대로 664 (갈마동)
둔산신도시 서부에 위치한 도시 근린공원인 갈마공원은 91,938㎡의 면적에 조성되어 있다. 갈마공원은 봄에는 이팝꽃, 튤립을 비롯한 야생화와 여름의 짙푸른 녹음, 가을의 단풍이 아름다운 곳으로 산책로를 따라 기분 좋게 한 바퀴를 돌 수 있는 규모의 공원이다. 공원에는 산책로뿐만 아니라 체육시설인 올림픽기념 국민생활관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은 체육, 문화, 예술 등 다목적 복합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수영, 헬스, 어린이 태권도 교실, 회화 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공원 안에는 효자거창신씨정려, 평안루, 갈마정과 국군 제2연대 창설공적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풋살장, 농구장, 축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등 각종 야외 운동시설이 들어서 있다. 갈마공원은 대전 도시철도 1호선 갈마역이 매우 가깝다. 주변에는 월평도서관, 정부대전청사 자연마당, 샘머리공원 등이 있다.
11.6Km 2025-06-20
대전광역시 서구 가수원로 71-12
용화사(대전서구)는 대한불교 조계종 마곡사에 속한 말사로서 현재 대전 서남부 도심 주택가에 위치해 있다. 이 사찰은 본래 충남 논산군(현 계룡시) 두마면 용동리에 세워진 절로 신라 제27대 선덕왕 때 영포화상에 의해 처음 세워졌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관음사라 불렀다 한다. 그 후 1393년(조선 태조 2) 무학국사가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 버렸다. 그러다 조선 말기에 홍응은이란 비구니스님이 옛 터에 다시 짓고 이름을 금륜사로 바꾸었다. 그리고 1946년에 김경봉 스님이 다시 절 이름을 용화사로 개칭하였고, 1978년 법당이 붕괴되자 다시 지었다. 당시의 용화사는 계룡산의 5대 사찰로 불릴 만큼 큰절이었으나, 육군본부를 비롯한 군 시설이 계룡대로 이전하여 옴에 따라 1984년 현 위치로 옮겨졌다. 절은 법당 건물인 대웅전과 오른편의 요사채로 이루어졌으며 그사이에 탑이 서 있다. 대웅전은 시멘트로 지어 기와를 올린 것으로 양 옆면과 뒷 벽면에 간략히 부처의 생애를 내용으로 하는 팔상도를 그려 놓았다. 내부에는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이 협시불로 놓여 있다. 대웅전에는 후불탱화를 비롯하여 모두 5점의 탱화가 있다. 용화사(대전서구)는 국도 4호선 계백로와 벌곡로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서대전 IC가 가깝다. 주변에는 가수원근린공원, 가수원도서관 등이 있다.
11.6Km 2025-03-06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백일헌로 999
041-733-9252
농장 직영 국내산 소고기의 각 부위별 모든 고기를 드실 수 있는 곳! 시골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자연환경과 더불어 직접 사육한 소와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사용, 가장 신선하고 엄선된 재료를 제공하여 육질이 부드럽고 감칠맛 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육점도 같이 운영하고 있어 각 부위별 모든 소고기를 저렴한 가격에 맛볼 수 있다.
11.6Km 2025-07-11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금천1길 78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금천리에 위치한 금강대도는 한국 자생 종교의 본원으로, 1874년에 창도되었다. 이 종교는 도덕적으로 타락한 인류를 구원할 구세주로서 건곤부모의 지상화현을 믿으며, 의성을 중심 사상으로 천지인, 유불선, 심성신의 삼합 원리를 추구하여 도덕적 화합을 이루는 이상 낙원의 건설을 목표로 한다. 일제강점기에는 민족정신 함양과 독립의 희망을 주창하며 일제의 혹독한 탄압을 받은 민족종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금강대도는 유·불·선의 진리를 하나로 통합해 인류의 미래인 후천시대 오만 년 동안 도덕 문명으로 중생을 제도하고 대동세계를 이루고자 창도된 오랜 역사의 한국 민족종교이다. 종교 시설물들은 일제강점기에 대부분 강제 철거되었으나 해방 후 복원되었으며, 금병로를 따라가다 보면 양쪽에 펼쳐진 연꽃밭이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어 지나가는 이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입구에는 개도백년탑을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이 있어 시민들에게 쉼터 역할을 한다. 단청이 아름답게 그려진 개화문을 지나면 오만수련광장, 금종루, 성경대, 삼청보광전, 그리고 대도덕성사 건곤부모님을 모신 삼종대성전 등을 차례로 만나볼 수 있다.
11.6Km 2025-04-15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80-67
042-870-1200
화폐박물관은 국내외의 각종 화폐 문화 사료를 체계적으로 전시하고, 이에 대한 연구 및 교육 기능을 갖춘 한국조폐공사 부설 박물관이다. 1988년 6월 22일에 개관한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 전문 박물관으로, 한국조폐공사가 공익적 목적의 비영리 문화사업으로 운영하고 있다.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4개의 상설전시실을 갖추고 있으며, 12만여 점의 소장 화폐 자료 중 약 4,000여 점이 시대별, 종류별로 엄선되어 전시되어 있다. 또한, 화폐의 제작 과정과 역사적 의미를 알 수 있는 체험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교육적 효과가 크다.
11.6Km 2025-03-07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왕대2길 43
조선 중기에 건립된 사계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9번째 아들인 김비(1913~1699)의 재실이다. 재실은 굴도리계통 정면 4간 측면 1.5칸의 홀처마 팔작지붕이다. 우측 2칸은 온돌방 좌측 2칸은 대청마루 구조이다. 전면에 신원재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신원재(愼遠齋)는 부친이 돌아가시자 그의 형제인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과 그 형제들이 1632년 함께 건물을 짓고 이곳에서 그의 조부 및 부친인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선생의 저서 등을 정리 집필하였던 곳이고, 신독재 사후 그의 막내 동생 김비가 황강행장(黃岡行狀) 및 실기(實記), 사계, 신독재 전서 등을 정리 집필하였던 유서 깊은 곳으로써 그 후 여러 차례 보수되었으나 한옥재실로서 원래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있다.
11.6Km 2025-08-29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발산1길 54-8
소나무향기는 세종시 금남면 발산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미국산 소고기를 재료로 만든 석갈비 정식으로 평일 점심에 한해 한정 수량만 판다. 주문 시 냉면이나 된장찌개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 함흥비빔냉면, 함흥물냉면, 갈비탕, 양푼이육개장, 육회비빔밥 등을 판다. 남세종 IC와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과 가깝다.
11.6Km 2024-05-29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403
킨토토는 정통 마제소바 전문점이다. 일본 정통 마제소바 가게의 레시피를 수년간 연구하여 특제 소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에 온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고 싶다는 고민에서부터 시작되어 외관은 일본 편의점을 모티브로 삼았다. 메뉴는 마제소바 외에도 간장 계란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타마고 마제소바, 안심카츠를 곁들여 먹을 수 있는 카츠 마제소바, 안심카츠, 커리 라이스 등이 있다. 방문한 이들의 만족감을 위해 전 메뉴에는 무제한으로 공깃밥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주방은 오픈 주방으로 구성되어 있어 위생상태나 조리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위생적인 환경에서 조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외에도 유성구 반석동,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충북 청주시, 충남 공주시, 전북 전주시 등에 지점이 있다.
11.7Km 2024-06-19
대전광역시 서구 가수원중로 53
흥부네칼국수보리밥은 대전광역시 서구 가수원동에 있다.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외관과 차분한 느낌의 인테리어로 이루어졌다. 대표 메뉴는 각종 나물과 양념장을 넣어 비벼 먹는 보리밥이다. 이 밖에 김치찜, 바지락칼국수, 얼큰이칼국수, 들깨칼국수, 해물파전, 미니족발 등을 판다. 서대전IC에서 가깝고, 주변에 대전오월드와 장태산자연휴양림이 있다.
11.7Km 2024-06-24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남로3번길 64
만년한정담 한정식은 대전광역시 서구 만년동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에 출연한 바 있다. 깔끔한 느낌의 외관과 예스러우면서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로 이루어졌다. 대표 메뉴는 보리굴비 정식을 기본으로 소갈비찜이 함께 상에 오르는 만년 보리굴비 한정식이다. 이 밖에 만년 보리굴비 한상, 만년 양념보리굴비 한상, 만년 떡갈비 상상 등이 준비되어 있다. 유성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엑스포과학공원과 대전엑스포시민광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