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Km 2025-06-02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척윗로 278-1
화담숲은 서울에서 40분 거리,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생태수목원이다. LG 상록재단이 우리 숲의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165,265㎡ (약 5만 평) 대지에 4천3백여 종의 국내외 자생 및 도입식물을 16개의 테마원으로 조성했다. 화담숲의 화담[和談]은 “정답게 이야기를 나누다”는 의미로 화담숲은 인간과 자연이 교감할 수 있는 생태 공간을 지향한다. 우리 숲의 식생을 최대한 보존하였고, 자연을 사랑하는 누구나 편히 찾을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생태공간으로 꾸몄다. 또한 자연의 지형과 식생을 최대한 보존하여 조성된 덕분에, 노고봉의 계곡과 능선을 따라 자연스럽게 자리 잡은 수목들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평소에 산책을 하고 싶어도 몸이 불편해 트레킹 할 수 없는 장애인이나 노약자, 어린이 등을 위해 유모차나 휠체어를 타고 편안히 자연을 감상하여 힐링할 수 있도록 5㎞의 숲 속 산책길 전 구간을 경사가 완만한 길로 조성하여 가족단위 관람객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주요 테마원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이끼원’을 비롯해 1,000여 그루의 하얀 자작나무가 펼쳐진 ‘자작나무 숲/소망 돌탑’, 명품 분재 250점을 전시하고 있는 ‘분재원’ 등이 있으며 국내 최다 품종인 480여 종의 단풍나무를 비롯해 우리 숲에서 만나볼 수 있는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만나볼 수 있다. 또한 화담숲은 생물종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공단과 함께 국내에 자생하는 멸종 위기종인 반딧불이, 원앙이 등의 생태복원을 위한 서식환경을 연구 조성하고 있다. 이러한 생태복원 노력 덕분에 화담숲 곳곳에서는 우리에게 친근한 도롱뇽, 고슴도치, 다람쥐 등을 쉽게 마주칠 수 있다. 그 밖에 민물고기 생태관과 곤충체험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화담숲은 쾌적하고 여유로운 관람을 위해 시간대별 입장 정원에 따른 100% 온라인 사전 예약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아이도 함께 편히 관람할 수 있는 모노레일 탑승 또한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어 보다 편리한 관람이 가능하다.
17.0Km 2024-10-15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도척윗로 278-1
031-8026-6666
화담숲이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한달여 간 <가을 단풍 축제>를 진행한다. 국내 단풍 명소로 자리잡은 화담숲은 올 해에도 어김없이 청명한 하늘 아래 시원한 바람과 함께 가을이 찾아와 내장단풍, 당단풍, 털단풍, 노르웨이단풍 등 400여 품종의 형형색색 단풍이 장관을 이룬다. 화담숲은 연중 쾌적하고 안전한 관람을 위해 1일 최대 관람 인원수를 1만명 이내로 관리하고 있다.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관람을 위해 화담숲 입장과 모노레일 탑승 모두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한다.
17.0Km 2025-03-19
경기도 광주시 도척윗로 278-1
031-8026-6666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 화담숲이 다채로운 봄꽃들과 함께 오는 3월 28일(금) 개원하며 4월 말까지 <봄 수선화 축제>를 진행한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화담숲 봄 수선화 축제'를 통해 자작나무숲과 탐매원 등의 테마원에서 총 37종 10만송이의 다채로운 노란 물결의 수선화를 만끽할 수 있으며, 산수유, 복수초, 풍년화 등 화담숲 전역을 화려하게 수놓은 봄 야생화들도 두 눈에 담을 수 있다. 화담숲 입구에서부터 다채로운 품정의 수선화가 노란 물결을 이루며 봄 여행객을 맞이하며, 화담숲 인근의 곤지암리조트 시계탑 광장과 E/W, L빌리지 입구 등 리조트 곳곳에서도 노란 수선화를 식재하여 축제의 분위기를 한껏 더한다. 특히, '자작나무숲'의 2,000여 그루의 하얀 자작나무가 한데 모여 자아내는 이색적인 풍광과 수선화 군락이 함께 어우러진 모습은 봄꽃 여행을 나선 상춘객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자작나무는 겨울에 아름답다고 알려져 있지만, 노란 수선화 군락과 함께 어울려 가득 채우는 하얀 수피의 자작나무는 화담숲만이 만들어내는 붐의 장관이다. 탐매원에서는 봄을 가장 먼저 알리는 매화나무와 수선화의 어우러짐을 느껴볼 수 있다. 흰색의 매화나무가 은은한 향기를 자아내고 수선화의 봄꽃들이 한데 모여 그리는 봄의 풍경 역시 놓치기에는 아쉽다. 또한, 화담숲에는 봄꽃 자연을 담은 포토 스폿과 포토존이 조성되어 인생 사진을 남길 수 있다.
17.0Km 2025-07-23
서울특별시 성동구 응봉동
성동구 응봉동에 위치한 응봉산은 높이는 약 95m로 예전부터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유명했다. 과거 조선시대에 왕이 이곳에 매를 풀어 사냥을 즐기기도 했는데, 그 때문에 매봉산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또한 선비들의 학습을 위해 만들어진 동호독서당이 있었고 황화정, 유하정 등의 정자들이 위치했다. 응봉의 남쪽에는 얼음을 보관하는 빙고를 설치했는데 이를 동빙고라고 불렀다. 현재 응봉산은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어 많은 시민들이 서울의 일몰과 야경을 보기 위해 찾고 있다. 또한 내부에 어린이공원과 암벽등반공원, 배드민턴장이 있어 체육시설을 즐기기에도 좋다.
17.0Km 2024-01-12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42길 1
본앤브레드는 한우 오마카세 전문점으로 유명하며, 미쉐린 가이드 서울 2022, 2023에 랭크된 음식점이다. 대한민국 한우 오마카세의 시발점인 본앤브레드는 최상급 한우만을 사용하며, 구이를 비롯한 다채로운 요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 세련되고 클래식한 느낌을 주는 본앤브레드는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우 맡김차림은 특별한 공간인 지하 1층에서 진행하고 있며, 2층과 3층에서는 캐주얼 다이닝과 프라이빗 룸 다이닝을 진행하고 있다.
17.0Km 2025-08-26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33 서초역
02-3477-2808
서리풀뮤직페스티벌은 매년 9월 개최되는 도심 속 음악 축제로, 2015년 첫선을 보인 후 올해로 10주년을 맞아 기존 서리풀페스티벌에서 새롭게 단장하였다. 지난 2024년까지 누적 120만여 명이 찾으며 서초구 대표 브랜드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일 년에 단 이틀, 10차선 반포대로를 무대로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한층 더 풍성하고 확장된 축제로 도약하고 있다.
17.0Km 2021-03-15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로 325
02-2292-1270
한국 미식 프로그램에 자주 소개된 매장이다. 대표메뉴는 꽃게찜이다.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7.0Km 2024-02-14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02 서초빌딩
Da Pitta(다피타)는 서울고등학교 인근에 위치한 이탈리안 레스토링이다. ‘Pitta’란 로마시대부터 내려오는 둥근 형태의 빵으로써 pizza의 어원이 되고 있는 뜻이다. 이곳은 서울고 인근 화덕피자로 유명하며, 450도 이상의 고온의 참나무 화덕에 굽는 나폴리피자를 선봉린다. 나폴리 피자협회에서 정하고 있는 7가지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여 정통 나폴리피자의 맛과 풍미를 제공하고 있다. 날치알 부추 파스타와 루꼴라쉬림프갈릭, 갑오징어 로제 크레마 등의 다양한 이탈리안 음식을 맛볼 수 있다.
17.1Km 2024-12-17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11길 37-30
02-3442-1582
오엔(ON)은 한남대교와 동호대교 사이 압구정동 한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서울의 상징인 남산타워가 보이는 아름다운 야경을 볼 수 있는 곳이다. 1층 다이닝 공간은 삼면이 탁 트인 투명한 유리를 활용하여 최고의 전망이 있는 로맨틱한 감성공간이다. 와인, 샴페인 등 다양한 주류와 입맛을 돋우는 다양한 먹거리를 함께 즐길 수 있다. 2층은 카페와 레스토랑으로 운영되는데 신선한 재료로 조리하는 트렌디한 요리와 디저트를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즐길 수 있다. 3층은 하우스 웨딩, 뷔페, 돌잔치 등 특별한 기념파티를 즐길 수 있는 파티홀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