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Km 2025-09-10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2길 2 (성북동)
070-8670-2419, 1797
2025 성북동 밤마실은 성북동 일대에서 열리는 야간 역사문화축제이다. 이 축제는 2017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이어져 왔으며, 2025년에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그 의미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 행사는 성북동의 문화유산과 문화시설을 일반 시민에게 야간 개방하여 역사적 가치와 지역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무형유산 공연과 지역 예술단체의 다양한 공연이 준비되어 있으며, 탐방과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가 직접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가 마련되어 있으며, ESG 가치를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될 예정이다.
11.4Km 2025-07-10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인창동)
동구릉[東九陵]은 ‘동쪽에 있는 9기의 능’이라는 뜻으로, 약 450여 년간 7명의 왕과 10명의 왕비가 잠들어 있는 조선 최대의 왕릉군이다. 1408년(태종 8) 조선을 건국한 태조의 건원릉[健元陵]이 처음으로 조성되고 이후 문종의 현릉[顯陵], 선조의 목릉[穆陵], 현종의 숭릉[崇陵], 장렬왕후의 휘릉[徽陵], 단의왕후의 혜릉[惠陵], 영조의 원릉[元陵], 헌종의 경릉[景陵]이 차례로 조성되었다. 능이 조성될 때마다 동오릉[東五陵], 동칠릉[東七陵] 등으로 불리다가 문조의 수릉[綏陵]의 옮겨지면서 지금의 동구릉이 되었다. 동구릉은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왕릉을 모두 볼 수 있는 곳으로, 왕이나 왕후의 능을 단독으로 조성한 단릉, 나란히 조성한 쌍릉,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능침을 조성한 동원이강릉, 한 능에 왕과 왕후를 같이 모신 합장릉, 왕과 두 왕후의 능을 나란히 조성한 삼연릉 등 다양한 형태로 조성된 능이 모여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11.4Km 2025-09-0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6길 8 (성북동)
02-764-1736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상허 이태준 가옥은 이태준 선생이 살면서 많은 문학작품을 집필한 곳이다. 선생이 이곳의 당호를 ‘수연산방’이라 하고 많은 문학 작품 집필에 전념하였다. 현재는 이태준 선생의 손녀가 이곳에서 ‘수연산방’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찻집을 운영하고 있다. 수연산방은 시간의 흐름에서 벗어나 온전히 쉴 수 있는 공간이다. 집의 규모가 작아 많은 손님을 받을 수 없는데, 본채에는 사랑방, 안방, 마루까지 해서 차탁 6개 정도가 마련되어 있다. 마당에도 테이블을 놓고, 라일락 나무 아래도 둥그런 벤치와 테이블을 두었다. 가장 인기 있는 자리는 사랑방의 바깥쪽 자리이다. 원래 방 높이보다 한단 정도 높게 되어 있고, 문에는 한지 대신 유리를 끼워 밖이 잘 보이게 했다. 여기 앉아 있으면 담장 너머로 북악산 자락이 건너 보인다. 전통 차와 함께 옛 선인들의 정취를 회상하며 조용한 휴식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이곳은 국산 최상급의 재료를 사용하여 일본 NHK, 영국 BBC, 프랑스 TV, 일본 다수의 잡지에도 소개된 바 있으며, 외국 손님들 방문 시 한 번씩 초대하는 한국의 명찻집이다.
11.4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5길 8 (성북동)
02-743-8937
손가네곰국수는 사골 국물에 직접 뽑은 면과 두툼한 고기가 고명으로 올려져 나오는 곰국수 맛집으로 유명한 곳이다. 깔끔하고 잡내가 없이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국수 외에도 설렁탕과 갈비탕, 뚝불고기, 도가니탕, 수육 등의 메뉴가 있으며, 구워 먹을 수 있는 고기도 있다. 구이를 먹는 손님들에게는 맛국수가 서비스로 나간다.
11.4Km 2024-12-18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13가길 76-5 (동소문동4가)
0507-1485-1088
도심 한가운데 1930년대에 지어진 한옥이 장인의 손길로 전통적이면서 세련되게 복원되어 ‘성북 은은한가’로 재탄생되었습니다. 작지만 아늑하며 서울 도심 어디든 갈 수 있는 성북 은은한가에서 도시 속의 편안한 쉼을 경험해보세요.
11.4Km 2025-04-03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4 (성북동)
성북구립미술관은 자치구 최초의 공립미술관으로, 2009년에 개관한 이래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 근현대미술 중심의 전문성과 미술문화 향유기회의 확장과 공공성을 지향하는 미술관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지역의 문화예술 자산을 보존하려는 노력, 지역공동체와의 적극적인 소통, 지역주민을 위한 긴밀한 교육기관, 작가가옥미술관의 설립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안팎의 교두보가 되는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11.4Km 2025-03-1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5길 9 (성북동)
성북동에 위치한 최순우 옛집은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을 찾고 알린 혜곡 최순우(1916~1984) 선생이 1976년부터 1984년까지 거주한 주택이다. 1930년대 지어진 근대 한옥인 이 집은 곳곳에 선생의 자취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현재 이곳은 2002년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으로 확보하여 2004년 4월 일반 개방을 통해 공개되었다. 시민 모금으로 매입한 뒤 가족들이 살며 덧대어 쓴 공간을 덜어내고 낡은 곳을 보수하여 시민들에게 개방하였다. 최순우 선생이 쓰던 유품과 친필 원고, 문화예술인들이 보낸 연하장과 선물한 그림 등을 유족과 지인들에게 기증받아 상설 전시하고, 최순우 선생이 찾아 알린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과 교유한 문화예술인을 소개하는 기획전시, 다양한 시민 참여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안채는 전시공간으로, 동편 행랑채는 사무공간으로, 서편 행랑채는 회의실과 방문객의 휴게공간 등 서비스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11.4Km 2024-05-29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34-4
02-743-2096
[중소벤처기업부 2019년도 ‘백년가게’로 선정]
구수한 보리밥과 영양돌솥밥, 자연스럽게 동동주를 부르는 감자전과 파전은 물론 매콤한 낙지볶음도 일품이다. 지리산에서 공수한 된장과 직접 간수를 뺀 소금, 고춧가루 등의 식재료를 사용하여, 건강하고 전통적인 맛의 요리를 손님들에게 제공한다.
11.4Km 2024-12-18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기로 7 (제기동)
0507-1349-8450
고려대정문에서 3분, 안암역 2번출구에서 5분거리에 위치한 상가주택 2층입니다 2층 단독숙소로 아래층 층간소음걱정없고, 서울중심가로의 접근성이 용이합니다 방 3개, 거실, 욕실1.5개로 구성되어 있어 여유로운 공간에서 편안한 쉼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최대인원은 8인으로 보기 드물게 많은 인원을 수용 가능합니다
11.4Km 2024-12-16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4길 4
02-747-6234
성북동집은 성북동 길가에 자리 잡은 한식당이다. 사골국물의 부드럽고 깔끔한 맛의 손칼국수와 담백한 맛을 내는 만두가 유명한 집이다. 두 가지를 섞은 칼만두와 칼국수, 고기만두, 김치만두 등의 메뉴도 맛볼 수 있다. 재료 소진시 조기 마감되니 서둘러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인근에 독립운동가이자 시 ‘님의 침묵’으로 유명한 한용운 님이 만년에 거쳐하던 심우장, 이태준 가옥, 성북구립미술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