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Km 2025-03-19
경기도 하남시 검단산로 342-13
031-795-6677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소나무집은 엄나무 누룽지 백숙과 자연 능이 백숙 전문점이다. 엄나무 누룽지 백숙은 담백하고 구수하며 자연 능이 백숙은 국물이 진하고 시원한 것이 특징이다.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음식인 만큼 사전에 전화예약을 하고 방문하면 좋다.
18.4Km 2024-12-03
경기도 광명시 가학로85번길 142 (가학동)
02-2090-1414
산업 유산과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수도권 최고의 동굴, 광명동굴 일대에서 열리는 한국 와인 축제이다. 광명동굴 와인 페스티벌에서 다양한 국내 와이너리의 와인과 함께 공연과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18.4Km 2025-07-11
경기도 광명시 가학로85번길 142 (가학동)
1912년 일제가 자원수탈을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광명동굴(구. 시흥광산)은 일제강점기 징용과 수탈의 현장이자 해방 후 근대화ㆍ산업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산업유산이다. 1972년 폐광된 후 40여 년간 새우젓 창고로 쓰이며 잠들어 있던 광명동굴을 2011년 광명시가 매입하여 역사ㆍ문화 관광명소로 탈바꿈시켰다. 광명동굴은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결합된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테마파크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가 놀란 폐광의 기적을 이루었다. (출처 : 광명동굴 홈페이지)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예능 <돌박2일> 돌박2일 <르세라핌>편에서 르세라핌 멤버 채원, 윤진, 은채가 미션을 완수하기 위해 찾은 장소다.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 테마파크라 불리는 광명동굴은 1912년에 개발이 시작되어 1972년 폐광된 동물을 광명시가 매입하여 관광명소로 탈바꿈한 장소이다.
18.4Km 2025-07-17
경기도 광명시 가학로85번길 142 (가학동)
광명동굴 내부에 위치한 푸드코트이다. 동굴 탐험 후 허기진 배를 채울 수 있는 곳으로 다양한 푸드와 음료를 같이 판매하고 있다.
18.4Km 2025-01-15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2019년 4월에 개장한 서남권 최초의 도시농업공원인 ‘양천도시농업공원’은 신월동 산 174-1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도시농업공원은 882㎡ 규모의 노지텃밭 및 어르신과 장애인을 위한 책상형 텃밭과 비닐하우스, 옥외샘터 등으로 구성된 도시농업존과 야외학습장, 숲 속마당, 힐링숲 등으로 구성된 산림복원존으로 총면적 24,078㎡의 ‘도시농업’ 특화 공원이다. 또한 공원 내 도시농업교육센터에서는 농사에 관심 있는 구민 누구나 쉽게 체험할 수 있는 도시농부학교와 어린이 도시농부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도 도시농업을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 가꾸는 재미, 나누는 행복, 뿌듯한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행사와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18.4Km 2025-08-21
경기도 하남시 검단산로 348 (창우동)
팔당원조칼제비칼국수는 하남시 창우동에 있다. 서울에서 검단산로를 이용하여 팔당 쪽으로 가다 보면 커다란 건물과 간판이 보여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넓은 주차장을 갖추고 있어서 주차가 편안하다. 상호에서 알 수 있듯이 칼국수와 수제비를 한꺼번에 먹을 수 있는 칼제비와 만두 전문점이다. 추가 메뉴로 각종 전류와 콩국수 등의 계절 메뉴가 있다. 주변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곳이어서 드라이브 코스가 다양하다.
18.4Km 2025-05-30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232번길 89-8
사충서원은 ‘네 명의 충신을 모신 서원’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1725년(영조 1) 노론 4충대신인 김창집, 이이명, 이건명, 조태채를 제향 하기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현 동작구 노량진동)에 건립되었다. 이들 4대신은 경종 때 왕세제를 책봉하고 대리청정을 하는 문제로 소론의 미움을 사서 1722년(경종 2) 노론계의 역모사건(신임옥사)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하였는데, 왕세제가 영조로 즉위한 뒤 노론정권이 수립되면서 신원되고 서원이 건립된 것이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받았지만 1727년의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들어서서 신임옥사를 역으로 번복하고 4대신을 다시 죄인으로 만들자 이 서원도 따라서 철폐되었다. 그 뒤 1740년의 경신처분으로 4대신이 다시 충신으로 판정되었으나, 한동안 재건되지 않다가 소론세력이 완전히 몰락한 1756년에야 서원을 복설하고 사충서원이라 부르게 하였다. 이처럼 사충서원은 노론·소론 사이의 시비여하에 따라 철폐와 복설이 거듭되는 우여곡절을 겪을 만큼 당색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으나, 영조 이후의 역대 왕들이 모두 영조의 후손이었던 관계로 영조에게 충성을 다한 4대신의 서원이라 하여 특별한 은전을 받았다. 이에 따라 대원군에 의한 서원철폐 단행 때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되었다. 그 후 1927년 봄에 이곳이 철도용지로 편입됨에 따라 당시 고양군 한지면 보광동(현재의 서울특별시 보광동)으로 이건 하였다가 6·25때 파괴되었다. 1968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으며,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근래 자리를 옮겨 세운 탓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과 삼문만 복원되었다. 사당과 삼문이 남향으로 배치되었고, 서원 남쪽 가까운 곳에 수복청이 위치하고 있다. 삼문 오른쪽 앞에는 서원과 함께 옮겨온 묘정비는 정조 10년(1786)에 세워졌다. 오래되어 글씨가 희미해졌지만, 홍문관 대제학을 지낸 오재순이 글을 썼고 좌의정 홍낙성이 글씨를 썼다. 4대신의 행동이 정당했음을 다시 한번 대내외에 알리는 내용이다. 비문의 왼쪽 면에는 1928년 사충서원 자리가 철도 용지로 편입되어 서원을 한강 상류의 보광리로 옮기게 된 사연이 기록되었고, 오른쪽 면에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파괴된 서원을 1968년 현 위치로 옮겨 새로 중건한 과정이 적혀 있다. 2020년에 서원최초로 한글홀기편람을 제작하여 한글제향을 지냈고, 2022년에는 사충신순절300주년 행사가 있었다. 2023년에는 사충신의 영정사진이 경기도박물관에 기증하였다.
18.4Km 2025-06-26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112
천은정사(天恩精舍)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천왕산 자락에 자리를 잡고 있다. 1980년 2월 27일 혜보당 우향대종사에 의해 창건된 절로 대한불교 조계종 선학원 사찰이다. 천은정사가 있는 자리는 본래 유명한 약수터로 많은 사람이 치병과 기원을 위해 찾던 곳이라는 유래가 있다. 이 도량은 천막 법당으로 시작하여 현재 주지이신 현우 스님의 중창 불사로 대법당(극락전)과 삼성각을 건립하였고, 그 외에도 현재 천불전과 설법전등을 불사 중이다. 천은정사는 매월 초하루 법회, 보름 법회, 지장 재일, 관음재일에 기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일요일에는 가족 법회와 어린이 법회가 열리고 있다. 주지 스님께서는 경내에 있는 상락원과 보리회합창단, 만덕당에서 모이는 기금으로 미얀마 학교설립 후원을 하며 매년 성남시 노인 경로잔치와 점심 무료급식 등 나눔 봉사를 실천하고 도심 포교에 힘쓰고 있다.
18.4Km 2025-01-20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302번길 125
카페 숲길은 하남시 상산곡동에 있는 글램핑을 할 수 있는 카페이다. 주차는 카페 근처에 커다란 주차장이 두 곳이 있어 넉넉하다. 카페 이름처럼 숲길이 옆에 나 있고 작은 계곡이 있어 날씨가 포근할 때는 시원한 물에 발을 담글 수 있다. 네이버를 통해 예약하면 텐트에서 고기도 구워 먹을 수 있는 글램핑을 할 수 있다. 낮과 저녁 두 타임으로 운영되고 있다. 물론 분위기 좋은 실내 카페도 있어서 카페 안에서 차를 즐길 수도 있다. 야외 텐트는 반려동물도 동반할 수 있다. 어린이들이 있는 집이라면 물놀이를 할 수 있는 시기에 와서 다슬기 잡는 체험도 할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