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Km 2024-06-13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언골길 5-4
죽녹원과 관방천 사이에 자리한 아트센터 대담은 2010년 전라남도 14호 미술관으로 등록되었다. 서양화가 정희남 관장이 사비를 들여 2010년 6월 개관한 이곳은 [함께 느껴요 Eco Life]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운영하는 미술관으로 내실 있는 전시와 아름다운 전경으로 인해 문화명소로 자리매김했다. 대담은 [대나무와 담양], [대범함], [대화와 담소], [세계 속의 큰 담양]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곳은 현대미술의 흐름을 느낄 수 있는 기획전을 통해 인근 주민에게는 국제적 수준의 관람 기회와 문화적 혜택으로부터 소외받은 지역 작가들을 지원하여 독자적 전시공간을 확보하고, 국제교류전 등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갤러리와 함께 운영하는 카페는 밖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는 통창으로 탁 트인 공간감을 준다. 프라이빗공간은 숙소공간으로 간단한 조식과 아트체험까지 경험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전통미가 느껴지는 은행나무집, 감나무집, 방앗간집, 아트컨테이너 등 다양한 방문객의 상황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컨셉이 있는 휴식 공간들이 있다. 도자기, 부채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16.8Km 2025-03-31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과기로 123
세계는 지금 기후변화로 상징되는 환경위기와 고유가로 대표되는 자원위기에 동시에 직면하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는 연이은 기상재해를 유발하여 생태계 질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자원고갈로 인한 에너지 가격 급등과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우리 경제와 환경을 동시에 위협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 세계 7위(IEA, 2018 기준)이며, 세계 9위의 에너지 소비 수입국으로 우리나라 공급에너지의 94%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은 반드시 추진해야 하는 시대적 과제이다. 이에 발맞춰 녹색에너지체험관은 에너지절약이 왜 필요한지,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은 무엇인지를 쉽게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체험관이며, 화석에너지, 환경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에너지를 소개한다. 녹색에너지체험관은 에너지 접속존, 화석에너지와 기후변화, 에너지를 지켜라 존, 희망의 에너지 아크존, 유쾌한 녹색도시 존, LED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16.8Km 2025-06-19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로 27
광주 상무지구 맛집으로 알려진 청수민물장어는 〈생방송투데이〉에 소개된 장어 요리 전문점이다. 수족관에 살아 있는 장어를 직접 볼 수 있고, 당일 도축한 장어들은 냉장고에 따로 보관되어 있다. 장어를 골라 결제하고 상차림비를 추가하면 테이블에서 구워 먹을 수 있다. 장어는 초벌구이해서 나오며 밑반찬도 함께 테이블에 세팅된다. 싱싱한 장어를 맛볼 수 있어 가족 단위 손님들이 많이 찾고, 회식이나 모임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진하고 깊은 국물의 장어탕은 추가로 주문할 수 있다.
16.8Km 2025-03-16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19
담양향교가 세워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고려 충혜왕(재위1330∼1331, 1339∼1344) 때 지어졌다는 설이 있으나 본격적으로 건물이 지어진 것은 태조 7년(1398)에 대성전이 세워지면서부터라고 전한다. 숙종 원년(1674)에 다시 짓고, 영조 23년(1747)에 고쳤으며, 순조(재위 1800∼1834) 때 수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성전·동무·서무·명륜당 등이 있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16.8Km 2025-06-11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로 24
맥문동은 창고형 건물을 개조한 듯한 흰색 건물 외관이 멋스럽다. 이곳은 1층 다이닝레스토랑, 2층 카페와 라운지로 구성된 복합 공간이다. 웨이팅이 필수일 정도로 손님들이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다양한 식사메뉴, 디저트와 음료가 준비되어 있어 한 건물에서 식사와 후식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깔끔한 플레이팅과 개성 있는 메뉴들 때문인지 특히 젊은 층에 인기가 많다.
16.8Km 2025-07-17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50번길 44-3
동화 속에 나올 법한 붉은 벽돌의 외관이 인상적인 솥밥 전문점이다. 안으로 들어가면 통나무를 잘라 붙인 듯한 벽면의 인테리어가 식당의 운치를 더한다. 다양한 솥밥 메뉴를 판매하고 있는데, 이 중 와규 솥밥이 가장 인기 있는 메뉴다. 맛있게 먹는 법도 친절하게 설명해 놓아, 그대로 따라 하면 더 맛있게 즐길 수 있다. 특히 밥을 덜어낸 솥에 누룽지와 뜨거운 물을 부으면 마지막에 누룽지밥을 맛볼 수 있다. 장어솥밥, 새우튀김 등 메뉴가 다양하다. 고래실공원, 은빛공원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기기 수월하다.
16.9Km 2024-02-14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로 23
광주광역시 마륵동 맛집으로 알려진 등촌은 샤브샤브 전문점으로, 버섯 매운탕 샤브세트 단일 메뉴만 판매한다. 각종 채소와 반찬은 셀프 코너에서 담아 마음껏 먹을 수 있다. 회전율이 높아 항상 신선한 채소를 맛볼 수 있다. 육수도 따로 마련되어 있어 국물 리필에 대한 부담 없이 편하게 즐길 수 있다. 소고기, 칼국수, 볶음밥은 추가로 주문할 수 있다. 단 2인 이상 주문 가능하니 참고해야 한다.
16.9Km 2023-07-1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향교길 29
061-383-3515
전라남도 지정 무형문화재 참빗장 기능보유자 고행주 장인이 6대째 가업을 이어 작업하며 대자리, 참빗(머리빗)을 판매하고 있다. 참빗은 대소·중소·어중소·밀소 따위가 있는데 '대전회통'에 의하면 외공장으로 소장은 경상도 2명, 전라도 1명, 강원도 6명 등이 있었는데 전라도에서는 예로부터 담양·영암·나주 등지가 산지로 이름 있었다. 담양의 죽물은 예로부터 유명하다. 빗의 경우 1917년에 설립된 진류계가 그 주축을 이루어 뒤에 1922년 담양 산업조합으로 발전했다. 담양 참빗은 대소·밀소·써울치·음양소·호소 따위가 있다. 재료는 담양 일대에서 생산되는 왕대를 사용하며 매기용 재료는 영암에서처럼 소뼈를 쓰지 않고 뿔때죽나무, 먹감나무(흑포) 등이 사용된다. 기능보유자 고행주는 할아버지 고학진(1867~1936년)이 일제강점기 때 빗 조합의 진소 계원으로 활동했으며 아버지 고제업(1901~1979년)을 이어 기능을 전수하고 있다.
16.9Km 2024-07-11
전라남도 담양군 죽녹원로 147
061-381-0480
담양은 대나무가 유명한데 육즙이 살아있는 한우 떡갈비와 대나무향이 일품인 대통밥을 즐길 수 있으며 밑반찬들도 든든하게 차려져 아이들과 함께 식사하기 좋다. 매장 안은 크고 넓으며 단체손님을 받아도 될 만큼 충분한 규모의 테이블이 있어 회식장소로도 안성맞춤이다. 대표메뉴로는 죽녹원갈비정식이 있고 그 외에 소떡갈비정식, 돼지떡갈비정식, 대통밥정식 등이 준비되어 있다. 연계관광으로 죽녹원과 죽향문화체험마을을 들려보는 것도 좋다.
16.9Km 2025-06-12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로74번길 30-6
광주광역시 광산구 수완지구대 먹자골목에 있는 초돈은 돼지고기 맛집으로 유명하다. 모든 고기 메뉴는 바로 먹을 수 있는 상태로 구워져 나오기 때문에, 굽는 수고를 덜 수 있어 편하게 즐길 수 있다. 단, 한 번에 많은 양의 주문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예약 후 방문하길 추천한다. 숙성 생 삼겹살이 이 집의 대표 메뉴인데, 숙성된 고기를 사용하는 만큼 고기의 풍미가 특별하다. 고기가 구워져 나오기 때문에, 일정한 육즙 가득 머금은 고기의 참 맛을 즐길 수 있다. 수완지구대 먹자골목에 있어 맛집 여행을 즐기기 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