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Km 2025-06-23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북한산로 848-5
경기도 양주시 북한산로에 있는 북한산 전망 카페이다. 1층에서 2대의 키오스크를 통해 메뉴를 선택하고 결제하는 무인 주문 시스템이다. 1층에선 매장의 유리창을 통해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고, 야외 테라스가 연결되어 있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흔들리듯이 있어, 사진 왜곡 현상처럼 보인다. 2층 긴 복도를 지나면 테이블이 나온다. 루프탑에 오르면 북한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송추 IC에서 차량으로 약 5분 거리에 있다. 북한산, 상장봉, 오봉, 여성봉, 도봉산 등이 보이는 산 뷰 카페이다.
8.1Km 2025-03-17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지문길 1-38 (홍은동)
옥천이란 아주 맑은 샘을 말한다. 여기서 나오던 샘물에 약효가 있어 환자들이 모여들었다는 기록이 전한다. 또한 옥천암의 보도각에는 마애보살좌상(보물 제1820호)이 모셔져 있다. 이를 ‘해수관음상’ 또는 ‘보도각 백불’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보도’는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로서 관세음보살의 발원을 가리킨다. 따라서 ‘해수관음상’이 가장 정확한 명칭이며, 실제 기록도 전한다. 백불(白佛)이라는 이름은 외국인들이 White Buddha라고 기록한 것에서 유래한 듯하다. 마애보살좌상은 12~13세기 고려시대 마애불상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성형이 『용재총화(慵齋叢話)』에서 불암(佛巖)이라고 기록한 것이 가장 오래되었다. 신라시대 이후 이 일대에는 장의사, 승가사, 사현사 등 유력한 사찰이 있었으므로 그 영향을 받아 보도각과 옥천암이 창건되었을 듯하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을 정하면서 여기서 기도를 올렸다는 전설이 있고,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이 여기서 전투를 벌였다는 전설, 흥선대원군의 부인이 아들 고종을 위해서 기도했다는 전설 등이 전한다.
8.1Km 2025-03-13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탕춘대성은 조선 후기 도성방어체계를 보여주는 독특한 구조의 방어성으로, 한양의 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여 세운 성이다. 도성과 북한산성 사이 사각지대인 지형에 맞게 두 성 사이를 이어 성벽을 만든 일종의 관문성(關門城) 성격을 지녔다. 성곽 둘레는 약 4㎞로서, 성 안에 연무장(演武場)인 연융대(鍊戎臺)를 만들고 군량창고 등을 갖추었다. 성벽은 크기가 고른 정방형의 둘로 반듯하게 쌓아 숙종 때 성을 쌓는 기법을 잘 보여준다. 홍지문은 홍예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짜리 문루를 지었는데, 대개의 성문처럼 우진각지붕이다. 그 옆으로 이어진 수문(水門)인 오간수대문은 홍예 5칸을 틀어 수구(水口)로 썼다. 성의 이름은 연산군 때 세검정 동편 봉우리에 탕춘대(현재 세검정초등학교)를 쌓고 연회를 베풀었던 것에서 유래했는데, 홍지문은 한북문으로도 불렸다. 1921년 홍수로 인해 홍지문과 오간수대문은 무너졌으나 1977년 탕춘대성과 함께 다시 지어졌다.
8.1Km 2025-03-12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244 (신영동)
세검정은 조선 숙종(재위 1674~1720) 때 북한산성을 축조하면서 군사들의 휴식처로 세웠다고도 하며, 연산군(재위 1494∼1506)의 유흥을 위해 지은 정자라고도 전한다. 세검정이란 이름은 1623년(광해군 15) 인조반정 때 이곳에서 광해군의 폐위를 의논하고 칼을 갈아 날을 세웠다고 한 데서 세검(洗劍)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 정자는 평면상 T자형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영조 24년(1748)에 고쳐지었으나 1941년에 불타 없어져서 1977년 옛 모습대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세검정은 평화를 상징하는 정자로,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다는 점 등에서 한국적인 건축의 참맛을 느낄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8.2Km 2025-07-23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동
은가어린이공원은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의 주택가 중심에 위치한 소규모 공원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아기자기하게 잘 조성되어 있어 인근 주민들과 아이들에게 인기있는 공원이다. 여름철이 되면 공원 내 수경시설이 가동되어 아이들이 시원하게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물놀이터로 변신한다. 공원에는 화장실과 탈의실도 설치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방문한 보호자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지역 주민들의 생활 속 쉼터로도 기능하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 시간대에는 산책을 하거나 가볍게 운동을 즐기기 좋은 공간이다.
8.2Km 2025-03-2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견달산로 402
로얄새들 승마클럽은 2003년에 개관하였다. 유럽 정통스타일로 디자인된 클럽하우스, 국제 규격의 실내/실외 마장 및 마사, 최고의 마필을 갖추고 있다. 마사에 들어가면 클럽에서 보유한 유럽출신의 최고급 마필과 회원들 소유의 고급 마필들이 우아한 자태를 뽐낸다. 아시안게임 금메달 리스트를 배출해 낸 로얄새들승마클럽은 일반회원들에게도 승마레슨 서비스를 제공한다. (출처 : 로얄새들 승마클럽 홈페이지)
8.2Km 2025-03-12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상암동)
1974년 한국필름보관소에서 출발한 한국영상자료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2007년 5월 상암 DMC 단지에 위치해 있다. 영화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 보존, 서비스하고 있으며, 누구나 쉽고 즐겁게 영상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대민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시네마테크KOFA에서는 국내외 고전, 예술, 독립영화를 상영하고 있으며, 한국영화박물관에서는 한국영화의 지난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영상도서관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영화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그 외 연구발간사업, 찾아가는 영화관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고전영화 VOD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8.2Km 2024-05-23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한국영화박물관은 2008년에 개관해 2015년 국립박물관으로 등록되었다. 영화 매체가 처음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때부터 오늘날까지 100년이 넘는 한국 영화의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상설전시와 기획전시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고 상설전시는 한국 영화의 역사를 연대순으로 소개하고, 체험존도 운영하고 있다. 기획전시는 한국 영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보고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로 개최된다.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영화 영상 매체에 대한 이해를 넓혀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콘텐츠 이용자와 창작자를 양성하고자 어린이,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이론부터 제작까지 미디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한다.
8.2Km 2024-06-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09
석파랑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왕, 고종의 아버지로 한 시대를 누렸던 흥선대원군이 별장 ‘석파정’의 사랑채를 고스란히 옮겨와 지은 곳이다. 권세가의 아름다운 별장답게 석파랑의 대문을 들어서면 조선 말기 양식의 정원과 세 채의 고풍스러운 한옥이 눈앞에 펼쳐진다. 석파랑의 궁중 한식은 엄선된 식재료와 직접 담근 장으로 한층 더 정성의 기품을 더했으며, 또 전국 각지의 장인들이 만든 전통주를 함께 맛볼 수 있다.
8.2Km 2025-07-28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2 (상암동)
하밀의 특허 발효종으로 만든 맛있는 베이글 전문점이다. 매장 내에서 직접 반죽부터 오븐까지 수제로 진행하며, 오픈형 주방으로 베이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며, 안심하고 위생적이게 먹울 수 있는 곳이다. 특허 발효종으로 만든 베이글은 특유의 딱딱함이나 퍽퍽함이 덜하여, 촉촉하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매력적인 베이글이다. 베이글 뿐만 아니라, 잠봉/샌드위치/음료까지 드실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