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Km 2025-08-05
경기도 오산시 수청로 79-8
문헌서원은 고려시대의 문신 최충(984~1068년)과 그의 아들인 최유선, 최유길의 영정을 봉안하기 위해 설립된 곳으로 오산시 내삼미동의 문헌공원 안에 위치해 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능했던 최충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로 현종•덕종•정종•문종에 이르는 네 명의 왕을 섬겼는데 특히 명종대에 명재상으로 이름을 날렸다. 뛰어난 그 행적이 중국의 공자와 같다고 해서 해동공자라 칭송 받았다. 1053년(문종 7년) 문종의 만류를 뿌리치고 은퇴를 결심한 최충은 이후 후진양성에 힘썼는데, 그가 세운 9재학당은 사학교육의 원조이자 고려시대 문신 배출의 산실이었다. 율곡 이이는 은퇴 후 문헌서원의 원장으로 학규를 제정한 바 있으며, 주세붕은 최충의 9재학당을 모방하여 백운동에 ‘소수서원’을 세우기도 하였다. 문헌서원은 본래 황해도 해주에 있던 사액서원이었으나 남북분단으로 찾아갈 수 없게 되자 1991년 남한의 후손들이 연고지인 오산시에 서원을 건립하여 영정을 다시 모시게 되었다. 이후 매년 4월 제례를 지내왔으나 오산시의 도시계획에 의해 영정각만 남고 그 외의 부지는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를 위한 문헌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영정각과 최충 동상만이 남아있으며, 제례는 종전대로 해주 최씨의 후손들이 매년 4월 제 4토요일에 봉행하고 있다.
15.9Km 2025-03-31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문호리
경기도 화성에 남양읍에 있는 분지섬 저수지는 한적한 시골길을 드라이브 겸 산책하다보면 만나는 조용한 농업용 저수지이다. 산책을 하거나 자전거 여행으로 찾는 발길이 이어진다. 찾아가는 길은 좁은 일차선이라 통행이 원활치 않다. 오른쪽은 송산 그린시티, 왼쪽은 시화호가 가깝고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다.
16.0Km 2025-01-0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부로 1568-1
고색 사거리에 자리 잡은 닭발 전문점이다. 매운 양념에 버무려 국물 없이 조리되어 나오는 닭발이 이 집의 대표 메뉴다. 그 외에도 파전, 돼지 껍데기, 오돌뼈, 계란말이 등 다양한 안주 메뉴가 준비되어 있어 가족 혹은 지인들과 함께 술 한 잔 기울이러 오는 단골손님이 많은 음식점이다. 매장 내부는 입식좌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좌석수가 많아 단체로 이용이 가능하다.
16.0Km 2025-05-29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4가
퇴계로 오토바이상가는 충무로 지하철역에서 대한극장 맞은편 출구로 나와 퇴계로 5가 쪽 인도로 걸어가다 보면 오토바이 행렬이 계속 이어지는 곳에 있다. 이곳에는 오토바이 가게 40곳, 액세서리와 부품을 취급하는 가게 10여 곳, 수리점 10여 곳이 들어서 있다. 도매 상가로 일반소비자에게도 소매 중간이윤을 붙이지 않는다. 오토바이값은 시중보다 5∼10%쯤 싸고 부품값은 공급 물량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이곳에서 팔리는 오토바이는 대림혼다와 효성스즈키 제품이 2대 주류를 이룬다. 상가 대부분은 일본, 미국에서 수입해 온 제품도 함께 팔고 있다.
16.0Km 2025-03-21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1405번길 20
창문아트센터는 폐교를 활용한 예술가들의 창작 스튜디오로서, 다양한 예술 활동과 농촌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공공미술 프로젝트, 마을 만들기 사업 등 쾌적한 농촌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함께하는 문화 공간이다. 전시장, 자료실 등 작가 각자의 작업 활동을 위한 창작 공간과 환경친화적 조형 학습을 체험할 수 있는 실습장을 갖추고 전문가의 지도에 의해 환경 조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열린 학습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출처 : 창문아트센터 공식 블로그)
16.1Km 2025-07-07
경기도 오산시 매홀로 3 (궐동)
중국 춘추 시대의 학자인 공자(孔子, B.C.551년-B.C.479년)의 후손이며, 조선 전기 문신인 공서린[孔瑞麟, 1483년-1541년]이 후학들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곳이다. 1792년에 이곳을 공자가 살던 노나라의 마을 이름을 따라 ‘궐리’로 바꾸었고, 사당을 세운 후 그 이름을 ‘궐리사’라고 했다. 이곳은 고종의 서원철폐[書院撤廢 ; 1871년 전국의 47개소 서원(사우 포함)만 남기고 모두 없앰]로 없어졌다가 1900년에 다시 세워졌다. 궐리사는 크게 성묘[聖廟 ; 공자의 영정이 있는 건물]와 ‘성상전’[聖像殿 ; 공자의 석상이 있는 곳] 구역으로 구분된다. 성묘 구역은 공자의 영정을 모신 성묘와 제사에 필요한 물품 보관소인 제기고[祭器庫]로 구성된다. 사당 성묘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맞배지붕이며, 내부에 벽을 뒤로 물려 감실[龕室 ; 위폐, 초상화 등을 봉안하기 위하여 만든 건조물]을 따로 만들어 공자의 영정을 모시고 있다. 성상전 구역은 공자의 석조상을 중심으로 성인[안자·맹자·증자·자사]들의 석조상들이 세워져 있다. 이외에도 궐리사에는 공자의 사상을 가르치기 위한 양현재[養賢齋], 공자문화전시관, 행단[杏壇] 그리고 홍살문, 하마비, 공적비 등이 있다.
16.1Km 2024-07-11
경기도 평택시 지산로 35
031-665-5840
숯불에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곳이다.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BBQ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생갈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