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명회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유명회관

5.1Km    2024-12-17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131번길 18
062-512-5574

‘유명회관’은 순수 국내산 한우 암소만을 고집하는 음식점이다. 쌀, 김치도 순수 국내산만을 취급한다. 대표메뉴인 소 생고기는 잘 숙성되어 부드럽게 즐길 수 있다. 그 외에 꽃등심, 갈빗살이 맛이 있으며 생고기비빔밥, 육회비빔밥, 사골탕 등 다양한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 선택이 가능하다. 식당 내부에는 좌석이 많아 회사 및 단체 손님이 많은 회갑, 결혼 피로연, 단체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광주향교

광주향교

5.1Km    2025-07-10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107번길 5

광주향교는 남구 구동에 있으며, 조선시대 광주 지역의 관학 중심 중등교육과 지역민 교육을 담당하고, 공자와 여러 유학자들의 제사를 지내는 등 성리학과 유학 관련 일을 진행하였던 곳이다. 1398년(태조 7)에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서석산 장원봉 아래에 창건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호환(虎患)이 있어서 동문 안으로 옮겨 세웠다가, 1488년(성종 19)에 수해로 현감 권수평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 하였다고 한다. 당시의 건물은 정유재란 때에 소실되었고 지금의 건물은 그 뒤에 중건한 것이다.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고 단청하였으며, 1976년에 동·서재와 1978년에 명륜당을 보수하고 1981년에 담장 등을 보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전답과 노비·전적 등을 지급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봄·가을에 석전(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하고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으며, 전교 1명과 장의 수 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광주향교에서는 서당체험, 전통혼례, 유학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용아생가

용아생가

5.1Km    2025-08-06

광주광역시 광산구 소촌로46번길 24

이곳은 우리나라 현대 문학의 개척자 중 한 사람으로 초창기 시단을 빛낸 시인 용아 박용철(1904∼1938) 선생의 생가이다. 선생은 이곳에서 새로운 문명을 소개하고 자주독립 정신을 일깨워 주기도 하였다. 용아의 생가는 1970년대 새마을 사업으로 초가지붕을 시멘트 기와와 슬레이트 등으로 개량하였으나 1995년 문화재 복원 사업을 실시, 다시 초가지붕으로 복원하여 관리하고 있다. 본채와 사랑채, 행랑채, 사당, 서재 등이 남아 있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높다란 막돌 기단 위에 세웠다. 왼쪽은 부엌이며, 중앙 2칸은 방인데, 4개로 나누어 열리는 문을 갖고 있다. 나머지 2칸은 2개로 열리는 정자 살문이다. 사랑채도 5칸인데 오른쪽부터 부엌, 방, 마루의 차례로 되어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이다. 행랑채는 4칸으로 사랑채로 들어가는 대문이 있다. 이 집은 용아의 고조부가 지었다고 전해지나 19세기 후반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송정마을카페 이공

송정마을카페 이공

5.1Km    2022-04-07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도로 257-1

이공은 '이로운 공간'의 줄임말이다. 지구와 나에게 이로운 공간을 만들겠다는 의미다. 그 이름답게 광주 최초로 텀블러 대여 시스템을 도입한 이곳은 친환경 카페이자 제로웨이스트숍, 그리고 비건 식당을 겸한다. 매장 내에서는 다회용 컵과 스테인리스 및 유리 빨대를 사용하고, 포장 시에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듯 텀블러를 대여해준다. 페트병 뚜껑, 신발 끈, 유리병, 우유 팩 회수 등 적극적인 환경운동도 펼친다. 이곳에 모인 페트병 뚜껑은 치약 튜브로, 작은 실리콘 제품들은 스테인리스 도시락의 밴드로 재사용 하는 등 버려지는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동참하고 있다. 또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운영해 세탁세제와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등을 필요한 만큼만 소분하여 구매할 수 있다. 금요일과 토요일엔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비건 메뉴도 선보인다.

금당산 맨발로

금당산 맨발로

5.1Km    2025-03-21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금당산 맨발로는 1구간 벽진서원~인공폭포 700m, 2구간 인공폭포~원광대 한방병원 3,400m로 총 3,470m의 마사토 맨발로이다. 마사토 맨발로는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 순환 개선 및 근육이완, 치매 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 금당산 맨발로는 황토를 좋아하는 관광객을 위한 황토탕, 발을 씻을 수 있는 세족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유아숲체험원과 연계한 맨발쉼터가 마련되어 있어 숲내음을 즐기며 맨발 힐링이 가능한 곳이다.

호텔여기어때 광주역점

호텔여기어때 광주역점

5.1Km    2024-11-26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로140번길 19 (중흥동)
062-514-1988

호텔 여기 어때 광주역점은 광주 북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광주역 도보 3분 거리, NC백화점 도보 1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전 객실에 스타일러 비치(좋은 방 제외), 전 객실 고데기 및 드라이기, 라텍스 매트리스, 최신형 PC 등 광주 북구 최고의 시설을 자랑하는 신축호텔이다.

금수저은수저

5.2Km    2025-03-21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로166번길 24
062-951-0204

금수저은수저는 퓨전 한정식을 제공하는 음식점이다. 특색 있는 다양한 메뉴를 저렴한 가격으로 맛볼 수 있다. 주요 메뉴는 계절 죽인 완도 콩죽, 오이무침, 미나리 무침, 약선 보쌈, 떡갈비, 싱건지, 야채샐러드, 궁중잡채, 연어 밀쌈, 해파리냉채, 파래 전, 떡 잡채, 간장게장, 복어 미역국 등이 있다. 한 달에 2개 이상의 메뉴를 개발해 선보이고 있다.

롯데하이마트 수완점

롯데하이마트 수완점

5.2Km    2024-03-23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신로 91

-

금남로

금남로

5.2Km    2025-04-09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일대

광주광역시 동구에 있는 2.3㎞의 길로 금남로 1~5가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금남로 1가의 옛 전남도청에서 옛 광주 은행 사거리 518m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역사를 간직한 곳으로 2011년 8월 30일 광주시에 의하여 ‘유네스코 민주인권로’로 지정되었다. 금남로는 광주시민이 계엄군에 맞서 5·18 민중항쟁 기간 중 연일 격렬하게 저항했던 항쟁의 거리다. 5월 18일 가톨릭센터 앞에서 최초의 학생 연좌시위가 있었으며 5월 19일부터 수많은 시민들이 끊임없이 모여들어 투쟁의지를 불태웠다. 5월 20일 저녁에는 택시를 중심으로 100대 이상의 각종 차량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있었다. 21일 계엄군의 집단 발포 전까지 30여 만 광주시민이 매일 운집, 군사독재 저지와 민주화를 촉구했던 금남로는 5·18 민중 항쟁을 상징하는 거리다. 이후에도 항쟁의 진실을 밝히려는 투쟁이 이 거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가톨릭센터에서는 민주화를 위한 시민 집회가 계속 열렸다. 지금도 광주에서 진행되는 행사나 집회, 축제 등은 모두 금남로를 거쳐 옛 전남도청(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으로 향한다.

서울곱창

서울곱창

5.2Km    2025-07-17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로15번길 71

70년 전통의 곱창 전문점이다. 깊은 내공이 느껴지는 간판과 인테리어는 오랜 세월의 흔적이 묻어 친근하게 다가온다. 백종원의 3대 천왕에 소개될 정도로 전국적인 곱창 맛집으로 유명하다. 곱창구이가 주메뉴로 직접 구워 먹는 일반 곱창과 달리 곱창이 조리가 다 되어 접시에 나온다. 불향 가득 품은 향에 간장 베이스의 달콤하고 짭조름한 맛이 이 집 곱창의 가장 큰 특징이다. 잡내가 없고 부드러워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다. 맛집이 많은 송정역시장, 광주송정떡갈비골목이 멀지 않아 먹거리 여행에 제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