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장 동인천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관장 동인천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정관장 동인천역

정관장 동인천역

10.2 Km    0     2024-03-23

인천광역시 중구 참외전로 120-2 (인현동 9-4)

-

청라써니네집

청라써니네집

10.2 Km    0     2024-02-15

인천광역시 서구 크리스탈로 84

청라 써니네집은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국제도시 청라호수도서관 인근에 있다. 청라중앙호수공원 바로 옆에 있는 이탈리안 레스토랑으로 주차는 건물 지하에 가능하다. 식당 이용 시 2시간 무료 주차권을 제공한다. 내부 창은 통유리로 되어 있어 넓은 호수와 오후 및 저녁에 펼쳐지는 분수쇼, 공원 등을 조망할 수 있다. 이곳의 대표 메뉴는 시금치파스타, 써니네 등심 스테이크, 새우 오일 파스타다. 그 외에는 커플세트, 버섯크림 파스타, 관자먹물리조또 등이 있다. 커플세트는 오늘의샐러드+파스타 or 리조또 택 1+등심 스테이크 200g+커피 or 차로 구성되어 있다. 식당 인근에는 청라호수공원, 쇼핑센터, 영화관, 캠핑장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 불가

삼미소문난냉면

삼미소문난냉면

10.2 Km    15085     2023-08-29

인천광역시 동구 화평로 10
032-763-4861

인천 화평동 냉면거리에 위치해 있다. 오랜 역사를 가진 만큼 지역 주민들에게 추억의 맛을 선사하고 있다. 각종 언론 매체에도 소개되었으며 인천 동구의 특색 음식 지정 업소이다. 냉면류 외에도 손 만두를 맛볼 수 있다.

원인재

원인재

10.2 Km    20282     2024-03-11

인천광역시 연수구 경원대로 322

인천 이씨 중시조인 이허겸의 묘 앞에 세운 건물이다. 중시조란 이름이 별로 없던 성(姓)씨를 가진 집안을 일으켜 세운 선조를 말한다. 『고려사』에 보면 그의 선조는 신라 때부터 지금의 인천인 소성현에 살았는데, 신라 사신으로 중국 당나라에 갔다가 천자로부터 성(姓)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인천 이씨가 고려시대 귀족대열에 낄 수 있게 된 것은 이허겸 때부터로, 그의 손녀 3명이 모두 현종의 비(妃)가 되었다. 첫째 손녀는 원성황후로 덕종과 정종 두 왕을, 둘째 손녀는 문종을 낳았다. 그 뒤 문종에서 인종에 이르기까지 7대에 걸쳐 귀족정치의 막강한 파벌을 이루었다. 이 건물을 언제 세웠는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32대 손과 33대 손의 글을 통해, 조선 순조 7년(1807) 혹은 고종 4년(1835)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근처 신지마을에 있었으나 택지개발로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출처 : 문화재청>

아저씨냉면

아저씨냉면

10.2 Km    15318     2023-05-18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91번길 27
032-765-3553

1978년경에 문을 연 집이다. 오래된 세월이 실내에서 느껴진다. 나이 드신 분들이 많이 찾는 등 오래된 단골이 많다.

잉글랜드왕돈까스

잉글랜드왕돈까스

10.2 Km    0     2023-09-21

인천광역시 중구 우현로90번길 7

인천 중구청 인근 경인 전철 1호선 동인천역 상업지구에 있는 돈가스 전문점이다. 및 <생방송 오늘의 아침> 등 TV 방송프로그램에도 여러 차례 방송된 바 있는 유명 맛집이다. 1980년대 경양식집의 돈가스 조리법과 실내 장식을 고수하고 있는 이 식당은 오래된 레코드 LP판과 실내 벚나무가 있어 올드팝과 함께 80년대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올리브영 신방화역

올리브영 신방화역

10.2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대로 294 마곡더블유타워 121호, 122호

-

화도진공원

화도진공원

10.2 Km    37782     2023-08-11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14

화도진은 구한말 인천 앞바다의 해안경계를 위해 설치한 것으로 신미양요와 운양호 사건 등 미국, 프랑스, 일본의 잇따른 내습에 자극받아 수도 서울의 유일한 수로관문이었던 현 화수동 138번지 일대에 위치하여 있다. 한미수교 1백 주년이 되는 지난 1982년 인천시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이 일대를 공원으로 조성하고 기념 표지석을 세웠다. 이후 1988년 12월에 동헌, 안채, 사랑채, 전시관 등 옛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화도진병영을 완전 복원하고 각종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을 갖춰 도심의 아늑한 휴식공간을 조성, 역사의 산교육장으로 거듭 태어났다. 동헌은 관리들이 집무를 행하던 장소로 당시 한미수호통상조약 체결 모습이 밀랍인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내사는 안주인의 거처로 안채라고도 부르며 안방에는 보료, 반짇고리, 버선장, 3 층장, 반닫이 등 각종 유물들이 진열되어 있고 대청마루에는 찬장과 쌀뒤주, 장탁자들이 당시의 생활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학덕이 높고 사회적 지위나 가세가 넉넉할수록 그 규모가 크고 당대 사회문화의 척도로서 주인의 정신적 성향, 경제적 능력을 말해주는가 하면 수군기지였던 화도진에서의 사랑채는 병사들이 기거하던 병영건물의 하나로 사용했다.

화도진지

화도진지

10.2 Km    24961     2023-12-20

인천광역시 동구 화도진로 114

화도진지는 규모가 6,252평이며, 주요 시설은 병영 11동, 한미수호조약기념비, 유물전시관 등이 있다. 이곳에 진을 설치하게 된 이유는 당시 한양으로 들어가는 모든 배가 인천을 경유하게 되는 요충지므로, 외침을 막기 위해 고종 16년(1879)에 설치 및 운영되다가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제가 개편되면서 폐지되었고, 이후 불타 없어졌다. 화도진은 고종 19년(1882) 5월 22일 한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장소이며,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영세자 이승훈 증손자인 이연귀, 이균귀 형제가 신미양요 때 처형된 순교지이다. 특히, 화도진지는 인천의 향토사학사 최성연 선생의 노력에 의해 잊힌 화도진지의 위치가 확인됐다. 동구에서는 매년 정월대보름을 맞아 민속놀이 한마당이 열리며, 5월에는 국가(시) 무형문화재공연 및 국악공연, 전통공예품 시연 등을 주제로 한 화도진축제가 펼쳐진다. 진은 지방의 군사를 관리하던 지방관제의 하나인 진영(鎭營)의 준말로서, 진영장(鎭營將) 품계에 따라 주진(主鎭), 거진(巨鎭), 제진(諸鎭)의 3등급이 있었으며, 화도진은 이중 만호(萬戶), 도위(都尉)가 주재하는 제진에 속한다. 화도진지의 현재 모습은 1988년 9월 옛 화도진지를 기본으로 당시의 화도진 군영의 모습을 복원하였다. 5월 초에는 3만 본의 철쭉꽃이 만개하며, 인공폭포도 볼 만하다.

뱃길조각공원

뱃길조각공원

10.2 Km    3     2022-09-19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신곡리

뱃길조각공원은 김포에서 인천 정서진을 잇는 경인아라뱃길 남쪽 길에 조성된 조각공원이다. 공원에는 ‘국민과 함께하는 아라뱃길 문화 만들기’ 라는 취지로 서울시립대ㆍ성신여대ㆍ중앙대 학생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다. 탁 트인 잔디밭에 친근하고 상상력 가득한 작품들을 통해 아라뱃길을 찾는 사람에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8월에 김포시가 조성한 공간이다. 조각공원에는 작품명 '로봇'을 비롯하여 Revival Gorillaㆍ아라바이크ㆍ물길바람 등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어 멋진 일몰과 함께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