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Km 2024-06-17
인천광역시 남동구 예술로 149
1990년 3월 착공하여 1994년 4월 8일 개관하였다. 공연장과 전시실, 회의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관한 이래로 인천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공연장은 1,332석 규모의 대공연장과 486석의 소공연장, 440석의 야외공연장을 갖추고 있다. 전시실은 대전시실과 중앙전시실, 소전시실, 미추홀전시실로 이루어져 있다. 144석 규모의 국제회의실은 각종 회의를 주관할 수 있도록 갖추고 있다. 인천 문화예술의 요람으로서 시민들의 정서함양과 지역 문화예술의 창달을 위하여 시립교향악단·시립합창단·시립무용단·시립극단 등 4개 예술단을 운영한다. 더불어 인천&아츠 및 자체기획공연 사업을 통해 인천시민들이 문화예술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8.2Km 2022-02-18
경기도 부천시 성오로 184
032-682-3366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한식당이다. 대표메뉴는 부대찌개이다. 오정대공원 근처에 위치하여 식후 가벼운 산책을 하기 좋다.
8.2Km 2025-03-20
인천광역시 서구 로봇랜드로 155-11
인천로봇랜드는 인천광역시가 로봇랜드 조성지역으로 지정되며 만들어진 공간으로 산업용지, 테마파크, 업무용지, 상업용지 등이 함께 입지 하는 로봇 복합 타운으로 조성되어 있다. 로봇타워 1층 체험관에서는 50분의 시간 동안 다양한 로봇을 만나볼 수 있다. 물이 든 수조 속에서 위치를 감지하여 헤엄치는 물고기 로봇, 체험자와 오목을 겨루는 오목 로봇 등 체험 및 관람을 할 수 있다. 가족과 함께 재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곳이다.
8.2Km 2025-03-17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9-34
서울로 향하는 곡물을 만석이나 쌓아놓았던 곳이라 해서 만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만석부두는 주말이면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유명한 곳이다. 만석부두와 화수부두는 1970년대까지 인천의 대표 어항으로 인천 유일의 수산물 공판장이자 새우젓으로 전국적 유명세를 타고 있다. 또한 ‘노을 따라 해안산책로길’ 코스 중 한 곳으로 바다를 산책하며 볼 수 있도록 조성한 만석·화수해안산책로를 노을이 질 때 걸어 보면 좋다. 다른 바다에서는 볼 수 없는 거대한 조선소와 선박을 수리하는 병원, 물치도, 십자수로, 멀리 목재공장의 목재 찌는 증기와 아름다운 노을 등이 연출하는 풍광을 천천히 즐길 수 있는 길이다.
8.2Km 2025-07-18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
만석동 주꾸미거리는 인천 원도심의 옛 추억을 그대로 간직한 곳이다. 이 골목은 만석동과 송월동을 연결하는 만석고가교 근처에 위치한다. 과거에 주변 포구에서 어부들이 잡아온 저렴한 주꾸미로 맛있는 요리를 만들어 파는 음식점들이 모여들면서 만석동 주꾸미거리가 형성되었다. 이곳에는 50년 전통의 맛집부터 소박한 식당들이 자리하고 있어 다양한 주꾸미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인천 사람들뿐만 아니라 많은 여행객들이 샤부샤부처럼 약한 불에 데쳐 회고추장에 찍어먹는 주꾸미와 전골로 끓인 주꾸미 요리를 맛보기 위해 이곳을 찾고 있다. 지금은 신도시에 밀려 점차 잊혀져 가지만 사람사는 삶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소박하지만 정감 있는 먹자골목이다.
8.2Km 2024-01-31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515번길 53
연안별버거는 100% 프리미엄 청정 냉장 와규 패티로 만든 정통 미국식 버거를 제공한다. 남녀노소 좋아하는 맛으로 인천 연안부두 근처에 간다면 꼭 맛보아야 한다는 후기가 있다. 맛 뿐만 아니라 특유의 감성을 자아내는 인테리어와 버거의 비주얼까지 즐거움을 선사한다.
8.2Km 2024-07-09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726번길 11
전라도밥상 어촌마을은 인천 구월동에 위치한 정감있는 식당이다. 전라도식 반찬으로 전라도밥상, 생선정식, 게장정식 등이 있는데 나물반찬은 계절을 맞은 제철나물이 나온다. 사장님의 인심만큼 푸짐한 밥상은 먹음직스러운 반찬들로 가득하다. 가장 인기있는 메뉴는 튀기듯이 구워낸 갈치구이 이다. 반찬은 리필도 가능하다.
8.2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우현로90번길 19-13
인천광역시 중구 인현동에 있는 조선 후기 우물이다. 1996년 6월 12일 인천광역시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처음에는 자연 연못으로 수량이 많고 물 맛도 좋아 식수로 이용되어 왔다. 그 후 1883년 제물포구를 기점으로 한 인천의 개항과 함께 현재와 같은 우물로 만들어졌다. 내부는 자연석과 가공된 돌을 둥글게 쌓아 만들었고 지상에 드러난 부분은 원형의 콘크리트 관으로 마감하였다. 1967년 우물을 보호하기 위해 한식 기와지붕의 육각형 정자를 건립하였고 현판은 인천 출신의 서예가 박세림(朴世霖)이 썼다. 이 주변을 큰 우물 거리라고 부르며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까지 용동 일대의 상수원이었다.
8.3Km 2024-07-01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독배로492번길 38
해미집은 수인분당선 숭의역 4번 출구 숭의로터리 숭의2동 행정복지센터 인근에 있는 식당이다. 매장 앞에 주차가 가능하나 별도 전용 주차 공간은 없어 자동차보다는 대중교통이나 도보로 방문하는 것이 좋다. 이곳은 동네에서 스지탕의 정석으로 불리는 집이다. 매장 내부는 인원별 다양한 테이블 구성이 가능해 단체 행사나 각종 모임에도 적당하다. 메인 메뉴로는 스지탕, 모둠전, 고추전, 동그랑땡, 비빔국수 등이 있다. 스지탕은 동일한 가격으로 스지무침으로 변경하여 식사가 가능하다. 식당 인근에는 수봉공원,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물텀벙특화음식거리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