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양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무양서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무양서원

무양서원

18.8Km    2025-04-01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월로21번길 26

광주의 옛 이름 ‘무진의 볕’이라는 뜻을 지닌 무양서원은 고려 인종 때 탐진 최 씨 문중이 전국 유림의 호응을 얻어 세운 사원이다. 고려 인종 때 어의 최사 전과 그의 후손 최부, 최희춘, 나덕현 다섯 분의 신주를 모신 서원이다. 강당인 이택당을 중심으로 왼편과 오른편에 합의문과 합인문이 있다. 합의문을 지나면 오른편에 동재인 성지재가 있고 왼편에는 서재인 낙호재가 있다. 내삼문인 삼오 문을 지나 높은 땅 위에 담장이 있는 무양사가 자리 잡고 있는데, 이것은 사당 안에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무양서원에 이르는 마을은 토담길로 단장되어 있으며 입구의 광장과 주차장은 이곳을 찾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주위의 오래된 거목들은 마치 유생들의 기상을 펼쳐놓은 듯 아름드리 펼쳐있어 무양서원의 나이를 말해주는 듯하다.

다미정

다미정

18.8Km    2025-07-02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순환로128번길 73

풍암생활체육공원 근처에 있는 다미정의 기와지붕과 입구는 차분하고 감각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기둥 사이의 공간으로 대기석들이 있어 편안하게 기다릴 수 있다. 1층 홀은 6~7개의 테이블 입식 자리가 있고, 미리 예약해야 별도로 마련된 룸으로 배정받을 수 있다. 프라이빗한 룸 공간은 가족이나 소중한 사람들을 위해 준비한, 중요한 식사 자리에 좋으며, 단체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지하 1층에는 룸 2개와 테이블 4개 정도 되는 공간이 있어 다양한 자리에서 식사할 수 있다. 얼음과 녹차가루가 담긴 큰 그릇이 기본으로 세팅되어 녹찻물에 고소한 굴비를 적셔서 먹는 방식이다. 주차장은 따로 없기 때문에 식당 근처 길가에 해야 한다.

영빈관

영빈관

18.8Km    2025-01-07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순환로128번길 75
062-384-6000

영빈관은 전통 된장, 청국장, 고추장, 젓갈류를 직접 집에서 제조하며 한정식을 주 메뉴로 하고 있다.

화담사

화담사

18.9Km    2024-09-12

광주광역시 서구 화운로156번길 17-8

고려가 멸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여 충절을 지켜 두문동 72현의 한 사람으로 꼽히는 정희와 그의 아들 정초, 손자 정수충 3대와 정오도·민제장 등 5위를 배향하는 사당이다. 화담사가 자리잡은 곳은 예로부터 향기롭고 온화한 꽃들이 많다고 하여 화담이라 불렀다. 하동 정씨가 이곳에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약 500여 년 전에 보성군수를 역임한 정화가 살기 시작하면서였고, 그 후 계속하여 후손들이 모여 살게 되면서 집성촌을 이루었다. 이 마을을 화정동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화담사의 [화]와 송정의 [정]을 합쳐서 이름을 지은 까닭이다. 이곳의 건물 배치는 제향 구역과 강학 구역에 높이 차이를 두어서 조성한 전학후묘 양식으로 가장 뒤에 화담사를 안치하고 그 앞에 내삼문인 양양문을 두었다. 이곳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는 중간에 동재와 서재를 두고 그 밑에 외인문을 배치한 전형적인 서원 건축양식을 갖추고 있다. 화담사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앞 뒤에 마루가 있는 맞배지붕이다. 앞면의 마루는 개방되어 제향의식을 편리하게 한 사당 건축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앞부분의 문은 굽널을 둔 빗살문이며 겹처마이다. 평면구성은 앞에는 원형기둥을 세우고 중앙부는 사각기둥을 세워 앞마루가 퇴마루를 구성하지 않는 개방형이다. 청지재와 열호재는 동재와 서재가 같은 양식으로 건립된 정면 4칸, 측면 1칸의 맞배 지붕이다. 평면 구성은 앞에 마루를 두고 모두 온돌방을 놓았다. 화담사 경내의 아름드리 배롱나무가 아름다워 볼만하며 음력 2월에 춘향제를 봉향한다.

비아꽃게장

비아꽃게장

18.9Km    2025-07-21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원촌길 71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간판부터 맛집 포스가 풍기는 게장 전문점이다. 주차 공간도 넉넉하여 차를 가지고 방문하기도 편리하다. 꽃게장+꽃게알탕 단일 메뉴에 양념게장, 간장게장, 꽃게알탕과 공깃밥 추가 메뉴가 전부다. 간장게장, 양념게장, 꽃게알탕, 굴젓은 포장 메뉴가 따로 있어 포장하기 위해 방문하는 손님들도 적지 않다. 함께 제공하는 반찬들도 정갈하게 차려져, 한 상 푸짐하게 즐기기 좋다. 해산물의 깊은 향이 배어있는 꽃게알탕은 해장 메뉴로도 인기가 많다.

석양마을주포오토캠핑장펜션

석양마을주포오토캠핑장펜션

19.0Km    2025-06-26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주포로 403-6

석양마을 주포 캠핑장은 탁 트인 함평만을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있는 캠핑장으로 펜션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18,800㎡ 규모에 일반야영장과 개인 카라반 사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이트는 데크로 되어있다. 또한 어린이 놀이터 및 족구장, 바비큐장, 세미나실 등의 넉넉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모든 사이트에서 붉은 태양과 바다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야트막한 산자락에 자리해 맑은 공기를 마시며 캠핑할 수 있다. 마을 주민들이 만든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이곳은 마을 다목적 센터에 관리실이 있으며 2층은 펜션으로 운영되고 있다. 가깝게 위치한 석양마을 바로 옆에 있는 주포 한옥마을은 고풍스러운 한옥 단지로 이뤄져 있다. 캠핑장에서 이어지는 언덕과 정자 길을 산책하거나 혹은 바다 앞길을 따라 산책하기에 좋다. 이밖에 주변 관광지로는 함평해수찜, 함평 엑스포 공원, 돌머리 해수욕장, 일강 김철 선생 기념관, 황금 박쥐 생태관 등이 있다.

억새밸리존

억새밸리존

19.0Km    2025-07-18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석성리

함평군 주포한옥전원마을 안에 있는 억새밸리존에는 그 이름값을 하는 듯 억새가 가득하다. 억새와 함께 핑크뮬리, 코스모스 등이 함께 어우러져 장관을 이루며 가을 정취를 물씬 즐길 수 있도록 관광객들의 눈을 즐겁게 해 준다. 서해를 배경으로 펼쳐져 있는 돌머리 해수욕장 인근에 한옥마을이 마련되어 한옥과 바다, 억새가 어우러진 이색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10,000㎡ 규모의 큰 공간을 자랑하기에 가을이 깊어갈수록 인생 사진을 찍으러 오는 사람들로 붐빈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곳인 만큼 산책로도 잘 마련되어 있으며 음악회 등 각종 행사도 열리곤 한다.

금당산 맨발로

금당산 맨발로

19.0Km    2025-03-21

광주광역시 서구 풍암동

금당산 맨발로는 1구간 벽진서원~인공폭포 700m, 2구간 인공폭포~원광대 한방병원 3,400m로 총 3,470m의 마사토 맨발로이다. 마사토 맨발로는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 순환 개선 및 근육이완, 치매 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 금당산 맨발로는 황토를 좋아하는 관광객을 위한 황토탕, 발을 씻을 수 있는 세족장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유아숲체험원과 연계한 맨발쉼터가 마련되어 있어 숲내음을 즐기며 맨발 힐링이 가능한 곳이다.

슬로우위켄드

슬로우위켄드

19.1Km    2025-06-26

전라남도 장성군 황룡면 구대해길 3-12

‘슬로우 위켄드’는 전남 장성군 황룡면에 자리 잡고 있다. 캠핑장에는 일반 야영장 3면과 글램핑 10개 동이 마련되어 있다. 글램핑 객실 내부에는 침구류를 비롯해 개수대, 취사도구, 테이블 등이 갖추어져 있다. 부대시설로는 여름철 개장하는 수영장이 있다. 관리소에서는 화로 대를 대여해 준다. 주변에 산책로를 비롯해 카페, 낚시터, 운동장 등이 있다. 그리고 당일 피크닉이 가능한데 이용 시 최대 정원은 4인까지 가능하며 구비되어 있는 물품은 텐트, 타프, 의자 4개, 캠핑테이블, 선풍기 또는 온풍기가 준비되어 있다. 상기 물품 외 필요한 물품만 챙기면 돼서 간단히 캠프닉을 즐길 수 있다.

포베오커피

포베오커피

19.1Km    2025-01-21

전라남도 함평군 주포로 395

바다, 커피, 디저트라는 단어만으로도 꼭 찾아보고 싶은 곳인 포베오커피는 함평 바다를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곳이다. 천연 벌꿀집을 이용한 벌꿀라테, 수제 청귤청과 꽃잎차로 만든 오로라 색감의 포베오에이드, 세 가지 종류의 홍차를 직접 섞어 26시간 이상 우려낸 밀크티 등이 대표 메뉴다. 카페 안과 밖 모두 포토존이라 사진기는 필수이다. 오션뷰 카페이기 때문에 아무 생각 하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오로지 커피 마시면서 창밖만 봐도 힐링을 제대로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