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Km 2023-08-16
인천광역시 부평구 충선로 191
080-272-1111
40년 이상 동안 PADI는 다이버 교육의 질, 즐거움 및 우수성에 있어서 모범이 되어 왔다. 다이버 교육체계는 강사 및 주제별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교육위원회로부터 대학 학점 추천 인정을 받은 유일한 다이버 과정들로 구성되어 있다. 2019년 현재 일천여 차례의 국내·외 다이빙 여행과 함께, PADI 프로 다이브 마스터 및 강사 양성의 450명을 포함하여 9,500여 명의 다이버를 배출하였고, 잠수장비 매출 역시 동일 업종의 업계에서 30여 년 동안 상위권을 유지해 왔다.
11.8Km 2025-08-20
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8로 97 (마산동)
한강신도시 마산동에 위치한 은여울공원은 드넓은 잔디밭, 모험놀이터, 산책로 등이 조성되어 전 세대가 아울러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메타세쿼이아 산책로, 육상 트랙, 자연 지형을 활용한 스카이데크 놀이대,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모래놀이터 등 여러 가지 테마로 멀리 나가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힐링 공원이다. (출처 : 김포시 문화관광)
11.8Km 2025-03-17
인천광역시 부평구 굴포로 151
부평문화원은 부평향토 문화를 증진시키며 구민의 문화예술적 감성을 개발 향상 시킴을 목적으로 1998년 5월 설립되어 1대 조기준 초대원장 취임, 1998년 7월에 지방문화원 설립인가 되었다. 1998년 8월에 비영리 법인인가를 받았으며 1999년 4월에 향토사 연구위원회 발족, 2001년 문화관광부 주최 전국 문화기반시설 관리운영평가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2004년 부평문화사랑방 운영과 지방문화원 관리운영평가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05년 부평기적의 도서관 운영, 2013년 부평문화원 원사 이전 후 부평역사박물관 운영을 하고 있다. 2014년 부평두레놀이가 인천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6년 대한민국 문화원상 지역문화창달분야 고유문화계발 및 보급부문 수상, 2017년 대한민국 문화원상 인재분야 창의활동가 부문 수상하였다. 전통문화계승, 향토문화발전, 문화재전승보전, 골든에이지지원,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부평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뿌리로 한 문화적 발전과 문화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11.8Km 2025-04-16
인천광역시 부평구 굴포로 151
부평역사박물관은 부평의 역사와 문화를 알리고, 지역민에게 다양한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7년에 개관하였다. 박물관은 1층에 기획전시실과 기증전시실, 2층에 부평역사실과 농경문화실로 구성되어 있다. 상설전시실인 부평역사실에서는 전통시대부터 일제강점기, 6·25 전쟁 당시와 이후에 이르기까지 주요 시대별로 부평의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농경문화실과 기증전시실에서는 부평의 전통시대와 현대사의 다양한 모습을 전시하고 있다. 기증전시실에는 5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봉다방’, 부평의 마지막 달동네였던 ‘열우물 마을’, 일제강점기 역사를 간직한 산곡동 ‘검정사택’ 등과 관련한 생생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어 흥미를 더한다. 다양한 주제로 열리는 특별기획전은 시기마다 전시 내용이 바뀌므로, 새로운 전시가 열릴 때마다 방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박물관 2층 회랑을 따라 휴식 공간과 뮤지엄 카페가 마련되어 있으며, 야외에는 전통 초가가 조성되어 있어 산책과 함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11.8Km 2024-06-13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1325-60
인천 강화면 초지리 황산도 황산선착장 인근에서 바다낚시를 체험해 볼 수 있는 곳으로 2017년에 개장한 낚시터이다. 야외 바다 낚시터와 하우스형 실내 낚시터가 운영되고 있어 사계절 낚시를 즐길 수 있으며, 랍스터, 우럭, 강도다리 등의 어종이 방류되어 있어 낚싯줄을 내리면 다양한 어종을 잡을 수 있다. 민장대 구간부터 릴 구간까지 종류별로 구성되어 초보자와 낚시 고수들이 수준별로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방갈로와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TV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 - 김건모 편>에 낚시터로 방송에 소개된 적이 있다.
11.8Km 2025-03-18
인천광역시 중구 신도시북로 31-35
세계로 통하는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 운서동에 있는 자연 친화적인 공원으로 주민들을 위한 휴식처 역할을 하고 있다. 이곳은 이름처럼 세계 평화의 염원을 담아서 2009년 복권기금과 인천국제공항공사 및 기업과 시민들의 기금을 모아 습지와 갯벌이 어우러진 자연생태공원으로 조성한 곳이다. 영종도에서 신도를 바라보는 섬 끝자락 바다 바로 앞에 있으며 중앙잔디광장과 넓은 호수를 비롯해 산책로가 있다. 자연을 소재로 한 나무 데크 쉼터가 곳곳에 마련되어 있고 숲, 습지, 갯벌 등 다양한 생태 공간을 갖추었다.
11.8Km 2025-05-23
인천광역시 연수구 국제항만대로 438
인천항 크루즈터미널은 2019년 4월에 운영을 시작한 국내 최대 규모의 크루즈 전용 터미널로, 22만 5천 톤급 초대형 크루즈선이 접안할 수 있는 부두와 연면적 약 6,566㎡ 규모의 2층 터미널을 갖추고 있다. 터미널에는 대형버스 156대를 포함해 총 200여 대가 동시에 주차할 수 있는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크루즈 여행객들이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1층은 입국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합실, 환전소, 관광버스 승강장, 수하물 탁송장, 종합안내소 등이 위치해 있다. 2층은 출국장으로, 유아휴게실, 출입증 발급장, 면세품 인도장, 내국세 환급 장소 등이 마련되어 있어 출국 절차를 원활하게 지원한다. 단, 선박의 종류에 따라 크루즈터미널(인천 연수구) 또는 내항(인천 중구) 중 어느 곳에 접안할지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승하선 위치를 사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11.8Km 2025-09-03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외국인 묘지는 인천이 개항된 뒤 인천에서 체류하다 사망한 외교관, 통역관, 선교사, 의사 등 외국인 66명의 유해가 안장됐던 장소이다. 이 묘지는 중구 북성동, 율목동, 미추홀구 도화동에 흩어져 있던 외국인 묘를 지난 1965년 5월 25일 한데 옮겨 놓은 것이다. 인천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계속 늘어나면서 사망하는 이들도 생겨나자 외국인들 유해를 본국으로 보내지 못할 경우에 대비, 거주지 인근 야산에 공동묘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일본인 묘지, 중국인 묘지, 기타 국가별 묘지가 조성됐다. 2017년 5월 인천시와 7개국 주한 대사관에 의해 청학동에 있던 외국인 묘지 66기는 부평구 인천가족공원에 마련된 묘역으로 이전됐다. 이곳에 묻힌 사람으로는 개항 후 인천에서 해외 무역을 주도했던 독일계 헤르만 행켈, 타운센드 상회의 월터 타운센드 등과 같은 상인들과 인천에 성 누가병원을 설립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서양 의술을 베풀다 요절한 엘리 바 랜디스 박사 등이 있다.
11.8Km 2024-12-03
인천광역시 계양구 성안길 22
커피상회는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경양식집이다. 수제 양식 요리와 커피로 구성된 세트메뉴로 알차고 푸짐한 식사를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