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문학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목포문학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목포문학관

목포문학관

1.3Km    2025-07-22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95

목포는 문향과 예향의 도시이다. 1920년대 목포는 김우진과 친교를 맺고 지내던 문화, 예술인들의 발길이 잦아지면서 예향으로서의 기초가 다져졌다. 1930년대 박화성, 1950-60년대에 들어서 이동주, 조희관, 최일수, 차범석, 권일송, 최하림, 김현 등의 등단으로 목포 문학이 활기를 띠게 되었다. 이러한 목포 문인들의 문학적 성과를 집중 조명한 목포문학관은 한국 문단의 최초의 여류 소설가 박화성, 우리나라 연극에 근대극을 최초로 도입한 극작가 김우진, 우리나라 사실주의 연극을 완성한 극작가 차범석, 우리나라 평론 문학의 독보적 존재 문학평론가 김현의 삶과 문학세계를 손 때 묻은 유품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목포문학의 과거와 미래와 한국의 문학에 중요한 발자취를 보여주고 있다. 목포문학관 주변으로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생활도자박물관, 남농기념관 등이 밀접해 있어 문학과 문화의 품격 있는 체험을 누릴 수 있다.

한국추어탕

한국추어탕

1.3Km    2025-01-03

전라남도 목포시 하당로241번길 11
061-282-5080

상동에 위치한 한국추어탕은 개업 후 10년이 넘는 지금까지도 살아있는 미꾸라지만 사용한다. 미꾸라지는 10월 초에 가장 많이 나고 살이 통통해 이때 추어탕을 제대로 즐길 수 있다. 미꾸라지의 효능으로는 우수한 단백질과 칼슘, 비타민이 많기 때문에 원기회복에 좋고 술 해독작용과 동맥경화, 골다공증에 탁월하다. 식사로는 담백한 추어탕이 좋고, 안주로는 전골과 돌판 숙회가 별미 중의 별미다.

2023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2023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1.3Km    2024-08-27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02
061-280-5867

2023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가 2023. 9. 1. ~ 10. 31. 목포(문화예술회관 일원), 진도(운림산방 일원) 등 전남 일원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19개국 190여명 작가가 참여하여 다양한 전시가 진행될 예정이며, 수묵패션쇼·수묵콘서트·작가와의 대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경험할 수 있다.

목포문화예술회관

목포문화예술회관

1.3Km    2024-12-05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02

예향 목포의 대표적 문화공간으로, 1997년 7월 개관하였다. 입암산을 뒤로하고 목포 앞바다가 펼쳐져 있는 건물의 풍광에서부터 문화 예술회관임을 말해주는 이 곳은 총 7개 전시실과 특별실 2개, 698석의 공연장이 최신 설비로 갖추어져 있다. 목포문화예술회관은 목포시민의 예술 수준 향상은 물론 문화 예술의 전당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설전시실에는 목포의 명망 있는 작가들의 작품과 사진 작품 등을 연중 상설전시하고 있으며 수준 높은 공연, 전시를 진행하고 있다. 다양한 문화교실 강좌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참가자를 모집, 목포시민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목포문화예술회관이 위치한 곳은 목포 문화의 거리로 목포자연사박물관, 문예역사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남농기념관, 목포문학관 등 문화공간이 밀집되어 있어 다양한 문화를 접할 수 있다.

목포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1.4Km    2024-06-14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83

옥장 장주원은 1996년 2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다양한 문화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갓바위 공원에 건립한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부지 877평, 연건평 190평 규모로 전시실, 공방동, 부대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전수교육관 부지내에 자리잡은 옥공예전시관은 2005년 9월에 개관하여 전통 옥공예 기능을 체득 및 보존하고 전승시켜 민족문화의 맥을 잇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공간이다. 전시실에는 옥장(국가무형문화재) 장주원 선생의 신비스러운 옥공예 예술세계를 감상할 수 있는 작품 200점을 전시하고 있으며, 공방동은 전통 옥공예의 맥을 잇고 재현하기 위한 전수생들의 교육장으로 활용될 뿐 아니라 진귀한 옥공예품을 직접 구입할 수 있다.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은 우리 것을 지키고 이어가는 장인정신을 배우는 훌륭한 교육장으로 활용되며, 바다와 역사가 어우러진 갓바위 공원에 또 하나의 관광명소로 각광을 받고 있다.

부주산 반려동물놀이터

1.4Km    2024-10-08

전라남도 목포시 녹색로 139 (옥암동)
061-281-3638 / 061-270-3625

강남가든

강남가든

1.5Km    2021-03-10

전라남도 목포시 상리로15번길 1-1
061-274-8002

목포시민들이 자주 방문하는 곳이다. 전라남도 목포시 부근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민물장어구이다.

목포 청호시장

목포 청호시장

1.5Km    2025-05-13

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로 28
061-284-4389

목포 청호시장은 낙지가 유명하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낙지 판매점들이 있으며 홍어와 더불어 수산물이 다양해 볼거리도 풍부한 시장이다. 홍어는 약 6개의 점포에서 취급하고, 타 수산물 점에서는 대부분 낙지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다. 목포 청호시장은 대한민국 최고의 수산물 원산지 표시 1,500여 개의 전국 시장 중 최우수 시장으로 선정될 만큼 원산지를 믿고 구입할 수 있는 곳이다. 시장 입구는 별도의 문을 설치하여 외부와 차단된 형태이며 1999년에 개설된 상가건물형의 현대식 시장은 여름에는 에어컨이 나오는 등 편의성이 뛰어나다. 이곳은 다른 전통시장과는 다르게 2층에 가구 매장들이 있어 다른 재래시장과 차이가 있다. 목포 현지인들도 좋아하고 관광객들도 좋아하는 시장이기도 하다.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

1.6Km    2025-04-02

전라남도 목포시 부주로 312

목포시민문화체육센터는 1997년 7월에 개관한 시민들의 문화공간이다. 암산을 병풍으로 삼고 앞으로는 영산강과 이어져 넓게 펼쳐진 목포 앞바다가 있어 건물의 풍광에서부터 멋진 자태를 자랑한다. 이곳의 공연시설은 대공연장, 소공연장, 야외공연장으로 나누어져 있고 부속설비를 사용료를 지불하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체육시설이 있는데 1층은 수영장, 2층은 에어로빅, 요가, 유아방, 매점이 있고 3층은 헬스장, 라켓볼 등이 자리하고 있다. 주변에는 자연사 박물관을 비롯하여 남농기념관,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중요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이 위치하여 다방면으로 좋은 볼거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공원시설 조성으로 목포시민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영산강하구둑인증센터

영산강하구둑인증센터

1.8Km    2024-11-07

전라남도 목포시 남악로58번길 20

담양군 담양호 밑에서 시작하는 영산강 자전거 종주 길은 영산강을 따라서 광주, 나주, 무안, 목포로 이어지는 146km의 자전거도로다. 300리 호남 벌을 적시고 서해로 흐르는 남도의 젖줄과 함께 하는 영산강 자전거길은 목포의 영산강 하굿둑에 못 미쳐서 끝을 맺는다. 영산강 하굿둑 인증센터는 영산강 자전거 종주 길의 마지막 종점에 있는 스탬프 인증센터다. 인증센터 주변은 하굿둑과 수변공원이 근처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차장과 화장실이 잘 갖추어져 있어서 편리하다. 자전거를 픽업하기도 좋고 내리기도 좋다. 인근에 카페가 있어 자전거 애호가가 쉬어가기에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