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공간153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카페 공간153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카페 공간153

카페 공간153

11.5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당산길 26-2
070-8869-5536

진안군청 뒤편 공영주차장 쪽에 위치한 카페 공간153은 김현두 씨가 운영하는 한옥카페이다. 직접 로스팅 한 커피와 한옥 인테리어가 아기자기하게 잘 어울린다. 카페 마당에는 전국 일주를 함께 했던 분홍색 푸드트럭이 있다.

진안관

진안관

11.5 Km    2505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진장로 21
063-433-2629

마늘과 생강, 파 등을 넣고 양념 없이 한소끔 끓인 고기를 건져 초장에 찍어먹는데 육질이 연하고 부드럽다. 고기를 다 먹고 나면 남은 국물에 다시 콩나물과 버섯 등 야채와 갖은 양념을 풀어 매운탕을 끓이고 밑반찬을 곁들여 밥을 먹도록 해준다. 따라나오는 반찬도 진안 명물인 더덕무침과 깻잎장아찌, 새우젓, 우엉나물, 느타리버섯무침 등 토속적인 것 일색이다.

진안장 / 진안시장 (4, 9일)

진안장 / 진안시장 (4, 9일)

11.6 Km    12298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105-2
063-433-1051~2

전주에서 소양(화심)을 지나 소태정을 넘어서 10여분을 달리면 인구 4천명의 아담한 진안읍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쌍다리를 거쳐 무주쪽으로 가면 진안 공용버스 정류장이 있고, 그 앞에는 현대식 철근콘크리트로 1986년에 신축한 진안시장이 있다. 예로부터 진안은 전북 동북부 지방의 관문으로서 물물의 거래가 왕성한 곳으로 알려져 전국 각지의 상인들이 찾아 들었던 곳이다. 진안지역은 전국 인삼생산량의 15%를 생산하고 있으며, 전북수삼센터가 있어 이곳에서는 인삼거래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전면적의 81%가 산림인 이곳에서 생산되는 표고, 약초등의 거래가 활발하며 특히 햇볕에 양건을 하여 말린 고추의 거래량이 많은 곳이다. 진안시장은 상설장이면서도 5일장이 더해진 형태로 편리성과 시장의 정취가 더해진 구성으로 운영된다.

원등사(완주)

11.9 Km    1914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소양면 원등산길 386

원등사는 완주군 소양면 해월리 청량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이다. 진묵 법사가 멀리서 부처님의 모습을 보고 찾아왔듯이, 진묵 법사의 원력으로 부처님의 법등이 멀리까지 퍼지길 바라는 사찰이 바로 원등사이다. 맑은 날의 원등사는 멀리 변산반도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렇기에 하늘과 물이 맑던 그 옛날, 변산의 월명암에 머무시던 진묵대사가 전주 방향의 동쪽에서 반짝이는 등불을 보고, 백 리 길을 찾아와서 이곳 원등사 터에 법등을 켜 사찰을 중창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게 멀리서 비치는 등불을 보고 사찰의 성지를 찾았다는 뜻으로 그 이름을 멀 원(遠), 등불 등(燈)을 써서 원등사라고 하였다. 청량산은 원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의 보처이다. 원등사라 쓴 푯말 아래서 사찰을 바라보면 마음이 맑은 사람의 눈에는 원등사를 지키는 부처님의 모습이 보인다고 한다. 바로 그 부처님은 진묵대사가 본 그대로의 부처님인 것이고, 다음에 이곳을 찾을 맑은 영혼의 사람들이 보게 될 그 부처님일 것이다. 부처님께 합장을 드리고 좀 더 가까이서 뵙고자 원등사까지 오르는 것은, 진리를 찾아가는 길을 한 발짝 내딛는 것이다. 대웅전 터 아래로 내려다보이는 산 아랫마을이나 자연의 오묘한 모습에 절로 두 손 모아 합장을 하게 된다. 그만큼 원등사는 가는 길도 아름답지만 도착해서 내려보는 모습 또한 아름답다.

노채마을

노채마을

12.0 Km    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337-1

노채마을은 2003년에 전라북도 청정 테마 파크 시범 마을로 선정 되었다. 마을 동남쪽에는 국사봉이, 동북쪽에는 형제봉이 있어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또한 일교차가 큰 고원 산간 지역으로 이곳에서 생산한 고추, 머루, 포도, 인삼, 영지, 천마 등이 유명하다. 마을에서는 포도따기체험, 포도씨로 작품만들기, 두부만들기, 고구마캐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마을 내에 지역 주민이 운영하는 숙박 시설이 있어 휴양하기에도 좋다.

화산서원(진안)

12.1 Km    1319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안천면 백삼로 30-1

서원은 훌륭한 유학자의 제사를 지내고 지역민을 교육하기 위하여 설립한 조선시대 지방의 사립 교육기관이다. 화산 서원은 황희의 영정을 봉안하고, 그의 자손인 황보신과 황징 등을 배향하기 위해서 장수 황씨 집안에서 1922년에 창건한 서원이다. 평평한 대지 위에 긴 네모꼴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 담장 안은 남북의 두 구역으로 나뉘어 뒷담 쪽 중앙에 남향의 사당이 있고 그 앞 왼쪽에 서향의 강당이 있으며, 양쪽은 내삼문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당은 전면 3칸, 측면 2칸으로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 화산 서원의 현판이 걸려 있다. 방에는 황희의 영정과 위패, 황보신과 황징의 위패 등이 모셔져 있다. 바로 앞에는 황대신의 아내인 옥천 육씨의 정려가 있다.

전북인삼농협

전북인삼농협

12.1 Km    16540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무로 1021 인삼협동조합
063-433-3112~4

전면적의 82%가 산인 진안은 오늘날 전국에서 인삼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고장이다. 1990년5월15일에 개장한 전북인삼조합은 지하 1층, 지상2층(연건평 1,595평)건물로서 수삼유통센터, 농특산물직판장, 백삼제조장, 검사장, 홍보관, 전시관, 휴게실 등을 갖춘 전국 최대 규모의 인삼상설시장으로서 고려인삼의 성장 및 제조 판매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천황사(진안)

천황사(진안)

1.2 Km    2572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수암길 54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 구봉산에 있는 천황사는 금산사의 말사로 창건 당시에는 숭암사라 하였다. 신라 헌강왕 때인 875년에 무염 국사가 창건하였고, 1065년 대각국사 의천이 중창하였다. 본래 이 천황사는 주천면 운봉리에 있었으나 숙종 때 중건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명부전, 설선당, 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120㎡가 넘는 매우 큰 건물이다. 내부에는 석가모니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으며, 나한상과 동자상이 벽화로 조성되어 있다. 이외의 유물로는 부도 3기가 전해지는데, 절 입구에 있는 평생 금강경을 강의하던 명봉의 부도와 대웅전에서 산 쪽으로 150m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애운의 부도이다. 애운부도는 높이 170cm의 크기로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애운부도 옆에는 높이 213cm 크기의 부도 1기가 남아 있다. 1995년 사자사라는 명문이 새겨진 신라 때의 기와가 발굴되기도 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한편, 천황사에서 남쪽으로 산 중턱 남암 앞에 천황사 전나무는 사찰의 번성을 기원하며 식재한 나무로 전해지며, 수령이 400년 정도로 오래되었고, 현재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전나무 중 규격이 가장 크다.

진안 문예체육회관

진안 문예체육회관

12.2 Km    2502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진안읍 진무로 1054-38

진안군 소재지 성묘산 옆에 있는 진안 문예체육회관은 2000년 개관한 군민의 문화사업을 위한 시설로 진안군의 평생학습 기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문예체육회관은 탁구장, 체육관, 전시실 및 관람석을 갖추고 교육장, 영화상영장, 각종 행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체육관은 1,104㎡의 면적에 배드민턴, 배구, 탁구 등 다양한 종목의 경기가 가능하고, 1,500석의 관람석이 있어 각종 체육대회를 진행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진안군 평생학습 & 주민자치 어울마당을 개최하여 천연염색, 매듭공예, 디퓨저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작품전시와 밴드 공연이나 발표회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대승한지마을한옥전통문화체험관[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대승한지마을한옥전통문화체험관[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2.5 Km    4902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보검길 18-4
063-242-1001

대승한지마을은 세계적으로 뛰어난 ‘고려지’의 원산지로, 한지를 계승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한옥전통문화체험관을 운영한다. 한옥의 모든 객실은 현대식 화장실, 에어컨, 정수기 등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고, 한지로 만든 이불과 베개를 제공한다. 별관 식당동의 주방을 이용할 수 있고, 약 20평의 세미나실도 있다. 한지체험관에서 한지제조나 붓글씨 등 체험을 할 수 있고, 잔디마당에서 전통그네와 투호 등 민속놀이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