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 북클럽 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한옥 북클럽 하우스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한옥 북클럽 하우스

7.2Km    2024-12-1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8길 26-3 (성북동)
0507-1447-0476

한국의 대표적인 부촌 중 한 곳인 성북동. 이곳은 배우, 작가, 예술가들이 좋아하는 숨겨진 보석의 동네입니다. 보석같은 동네에 자리잡고 있는 ‘한옥 북클럽 하우스’는 한옥이라는 전통과 현대적인 인테리어가 조화를 이루어서 독특하면서 아늑하기도 하고 포토제닉하며 가족 친화적인 한옥에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만해 한용운 심우장

만해 한용운 심우장

7.2Km    2025-07-0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29길 24 (성북동)

이 집은 3.1 운동 민족대표이면서 시인인 만해 한용운 선생이 1933년부터 1944년까지 살았던 곳이다. 한용운 선생은 조선의 불교를 개혁하려고 했던 승려이자 조국의 독립에 힘쓴 독립운동가이며, 근대 문학에 큰 업적을 남긴 시인이었다. 심우장은 전체 규모가 5칸에 불과한 작은 집으로, 이곳에는 가운데 대칭을 중심으로 왼쪽에 온돌방, 오른쪽에 부엌이 있다. 부엌 뒤로는 식사 준비는 하는 공간인 천마루방이 있다. 동쪽으로 난 대문을 들어가면 북쪽으로 향한 기와집인 심우장과 양옥의 관리사 그리고 만해가 직접 심었다는 향나무 등이 있다. 한용운의 서재였던 온돌방에는 심우장이라는 현관이 걸려있는데, 이는 근대의 서화가인 위창 오세창이 쓴 것이다. 이 이름은 깨우침을 찾아 수행하는 과정을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한 불교 설화에서 따온 것이다.

성북동 마을과 고택, 예술가들의 이야기

7.2Km    2023-08-08

여기 마을과 집과 그 집에 살던 예술가들이 있다. 1970~80년대 서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북정마을이 있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만해 한용운의 심우장, 상허 이태준의 수연산방이 있고, 이종석의 별정이 있는 성북동의 고택을 둘러볼 수 있는 기회다. 문인가 화가들의 정취가 숨쉬는 성북동을 여유 있게 돌아보자.

출처:이야기를 따라 한양 도성을 걷다.

호우재

7.2Km    2024-12-18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9길 23 (성북동)

호우재는 느린 여행자를 위한 집입니다. 한양도성(서울성곽) 바로 아래에 자리한 호우재는 성북동이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저멀리 북한산 자락까지도 조망할 수 있습니다. 분주하고 복잡한 대도시 속에서도 계절을 느끼며 산책하기에 알맞은 보물과 같은 지역에서 숨을 고르고, 조용히 평온한 시간을 보내길 원하시는 게스트를 위해 준비한 공간입니다. 호우재는 휴식과 위로의 공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수락 휴(수락산 동막골 자연휴양림)

수락 휴(수락산 동막골 자연휴양림)

7.2Km    2025-07-18

서울특별시 노원구 덕릉로145길 108 (상계동)

서울시 최초로 조성된 자연휴양림 수락 휴는 노원구청에서 운영하며 울창한 수락산 자연의 품 속에서 숙박하여 온전한 힐링을 느껴볼 수 있는 치유와 휴식의 공간이다. '하늘', '햇살', '별빛'을 테마로 나누어진 자연 정원과 캠프파이어 공간인 불멍존이 있다. 또한 아늑하고 낭만 가득한 객실과 아름다운 수락산 숲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객실로 구성된 숙박공간은 총 25개의 객실이 있으며, 트리하우스 3실, 2인실은 장애인실을 포함한 9실, 2인실 개별동 2실, 4인실 개별동 9실, 6인실 개별동 2실로 구성되어 있다. 객실에 일회용품이 기본 제공되지 않으며, 방문자센터 근처 자판기에서 비누, 면도기, 세면도구 등을 구매할 수 있고 수건은 방문자센터에서 유료로 대여할 수 있다. 또한 객실 내에서 취사가 불가능하다. 건강한 사계절 제철 음식을 제공하는 품격 있는 레스토랑 '씨즌 서울 by 홍신애'은 아침, 저녁, 밤참은 숙박객에 한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화요일 저녁부터 수요일 점심까지는 운영하지 않는다. 방문자센터에서 LP, 도서, 보드게임 등을 무료로 대여 가능하며, 다양한 가족 체험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성북 은은한가

7.2Km    2024-12-18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13가길 76-5 (동소문동4가)
0507-1485-1088

도심 한가운데 1930년대에 지어진 한옥이 장인의 손길로 전통적이면서 세련되게 복원되어 ‘성북 은은한가’로 재탄생되었습니다. 작지만 아늑하며 서울 도심 어디든 갈 수 있는 성북 은은한가에서 도시 속의 편안한 쉼을 경험해보세요.

카페 원오프

카페 원오프

7.2Km    2025-07-29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22길 57-4 (동선동2가)

카페 원오프는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독특한 분위기의 카페이다. 이 카페는 편안하고 아늑한 인테리어와 차별화된 메뉴로 방문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커피, 디저트, 그리고 브런치 메뉴를 비롯해 다양한 음료와 음식을 제공하며, 특히 수제 디저트와 고품질 커피로 유명하다. 카페 원오프는 조용하고 아늑한 분위기로 공부나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인기가 많으며, 친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한 인테리어와 메뉴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가게이다. 성북구의 조용한 동네 분위기 속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 좋은 장소로, 인근 주민들과 방문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이 카페는 디자인과 음식뿐만 아니라, 친절한 서비스와 편안한 공간 덕분에 지역 커뮤니티 내에서 특별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회룡사(의정부)

7.2Km    2025-07-18

경기도 의정부시 전좌로155번길 262

사패산 산중에 위치한 회룡사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 태종 이방원에 얽힌 전설이 전해지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5 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자 경기도 전통사찰 제7호이며, 비구니 절이다. 회룡사는 흔히 도봉산 회룡사로 불리지만 정확히는 도봉산 한쪽 끝 봉우리인 사패산에 위치한 절로 북한산국립공원에 속해 있다. 회룡역 1번 출구에서 나와 회룡탐방지원센터를 출발점으로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어느새 당도한다. 회룡사는 681년(통일신라 신문왕1) 의상이 창건하고 법성사(法性寺)라 하였다. 이후 936년(통일신라 경순왕 10) 동진국사가 중창하였고, 1070년(고려 문종 24) 혜거국사가 삼창하였다. 법성사가 회룡사로 불리게 된 것은 무학대사와 태조 이성계의 인연 때문인데, 첫 번째 유래는 1384년(고려 우왕 10)에 무학대사가 절을 중창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성계는 무학과 함께 3년간 창업 성취 기도를 올렸는데 태조는 석굴암에서 무학은 무학굴에서 각각 머물렀다. 그 뒤 이성계가 동북병마사가 되어 요청으로 출정가자, 무학은 홀로 남아 작은 절을 짓고 손수 만든 관세음보살상을 모시고 그의 영달을 축원했다. 그 뒤 왕위에 오른 이성계가 이곳으로 찾아와 회룡사라 했다 한다. 이와 관련해 이성계가 머물렀다는 석굴암은 회룡사의 부속암자로 남아 현재까지 전해지는데, 김구가 상해로 망명하기 전 피신해 은신처로 삼았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김구는 해방 후 석굴암에 들러 친필을 남겼는데 입구에 새겨져 있다. 하지만 무학이 머물렀다는 무학굴은 현재 그 위치를 알 수 없다. 두 번째 설화는 1403년(조선 태종3)에 태조가 함흥차사 끝에 노여움을 풀고 귀경한 뒤, 이 절로 무학을 찾아와 무학이 회란용가(回鸞龍駕)를 기뻐하여 회룡사라 하였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회룡사 입구 사거리 부근에는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의 상봉지 표지석이 있는데 함흥차사로 꿈쩍도 않던 이성계가 무학대사의 설득으로 한양 환궁길에 오르니 태종이 이곳까지 나와 친히 맞이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래서 이 일대의 마을을 전좌(殿坐) 마을이 되었고, 회룡사의 주소지도 전좌로다.조선의 건국 때부터 조선왕실과 깊은 인연을 이어온 회룡사는 1630년(조선 인조8) 비구니 예순이 중건하였고, 1881년(조선 고종 18)에는 최성이, 1938년 비구니 순악이 중수하는 등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이후 6.25 전쟁 때 불에 타 크게 손실된 절을 1954년 비구니 도준이 중건하고 불사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경내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회룡사오층석탑과 회룡사석조,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의정부회룡사신중도가 있다. 그 중 6.25 전쟁의 피해로 복원된 석탑과 사찰의 큰 규모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석조는 15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오층석탑은 의상의 사리 1과가 봉안되어 있다고 전하나 석탑의 양식으로 보아 신라시대의 작품이라 보기 어렵고 조선시대의 것이다. 또 1887년 상국 신씨가 부모를 위해 발원해 제작된 신중도는 당시 남양주 흥국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대표적인 불화승인 경성당 응석의 작품이다.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

7.2Km    2025-04-16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37 (성북동1가)
02-6906-9299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은 세계음식을 통해 각국 문화를 경험하며 서로에 대한 인정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존과 상생을 이야기하는 축제이다. 세계 각국을 대표하는 음식들과 그 나라만의 문화가 녹아있는 전통 음식들을 맛볼 수 있으며, 이국적인 문화체험과 서로를 이해하고 어울릴 수 있는 퍼레이드와 모두가 함께 즐기는 다양한 공연도 준비되어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로컬100'에 선정된 성북구 대표축제 누리마실에서는 음식, 마켓, 체험, 공연 등 다양한 컨텐츠를 만나볼 수 있다.

Stay Vibe

7.2Km    2024-12-18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1길 7-4 (평창동)
0507-1414-2388

한국의 부촌 중의 한 곳인 평창동에 위치한 ‘스테이 바이브’는 북한산에 둘러쌓여 맑은 공기와 새소리를 들으며 이 곳이 서울 한가운데가 맞는지 착각할 만큼의 조용한 동네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트 갤러리가 많고 북한산 둘레길과 백사실 계곡까지 서울 도심 내에서 수많은 경험을 할 수 있는 동네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대 8인까지 수용 가능한 단독 주택의 2층이라 대가족 모임, 동창 모임으로 추억만들기로도 적합한 곳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