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Km 2025-01-1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0
061-564-6992
고창 전통자수 전시 판매장에서는 우리 고유의 전통공예품, 민속공예, 선물용품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전통자수전시 및 공방이 있다. 고창의 전통자수와 전통매듭을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데, 기초부터 단계별로 준비되어 있어 각자가 원하는 대로 체험이 가능하다. 매주 일요일은 휴무이다. 단체일 경우에는 사전에 예약을 하는 것이 좋다.
13.6Km 2024-12-1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20
고창읍성에 위치한 고창읍성 도예체험장은 유춘봉 명사와 그의 제자들이 운영하고 있다. 체험을 진행하는 유춘봉 명사는 전북 고창의 동곡요 3대 요장으로 집안 대대로 도예를 하였다고 한다. 체험장의 내부에는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작품이 있다면 구매가 가능하다. 체험프로그램 신청을 방문 전 미리 문의하여 예약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곳은 체험학습뿐만 아니라 고창 도자기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체험과 함께 관광을 하며 도자기의 우수성을 알아볼 수 있는 경험을 할 수 있다.
13.6Km 2025-07-09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모양성로 1
고고창읍성의 축성연대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고창읍성의 관아건물 보수시에 나타난 상량문과 각종 문헌 및 성돌에 새겨진 글자들을 보면 이 성은 조선 세종 32년(1450)부터 단종 원년(1453)까지 전라좌우도 19개 군·현에서 구간별로 분담하여 축성한 흔적이 성벽 구간마다 각자(刻字)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무장시면(茂長始面)·무장종(茂長綜)이라는 흔적이 있으며, 동문옹성성벽에는 계유소축감동송지민(癸酉所築監董宋芝玟)이라는 글씨가 남아 있어서 이를 해석해 보면, 고창읍성이 계유년에 축조되었으며 무장현이 축성에 참여했다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고창읍성에 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고창현성곽조(高敞縣城郭條)에 처음 나타나고 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은 중종 25년(1530)에 간행했으나 단지 증보처에 신증 이라는 두 글자만 표시하였으므로 성종때 왕명에 의하여 김종직 등이 동국여지승람의 제 2차 수정을 거쳐 탈고한 성종 17년(1484)이전의 계유년으로 축성연대가 압축된다 할 수 있으며 무장현은 태종 17년(1417)에 무송현과 장사현을 통합하여 무장현이 되었으므로 계유소축의 계유년은 1417년 이후의 계유년이 되므로 고창읍성은 1453년의 계유년에 축성된 것이 확실하다고 볼 수 있다. 고창읍성은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면 병이 없이 오래살고 저승길엔 극락문에 당도한다는 전설때문에 매년 답성행사가 계속되고 있다. 성밟기는 저승문이 열리는 윤달에 밟아야 효험이 있다고 하며 같은 윤달이라도 3월 윤달이 제일 좋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엿샛날이 저승문이 열리는 날이라고 하여 초엿새, 열엿새, 스무엿새 날에 답성행렬이 절정을 이루고 있다. 성을 한바퀴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바퀴돌면 무병장수하며 세바퀴돌면 극락승천한다고 한다. 성을 돌때는 반드시 손바닥만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세번 돌아야 하고 일정한 지역에 그 돌을 쌓아두도록 하였다. 특히 윤삼월의 효험을 강조하고 있음도 겨우내 부풀었던 성을 밟아 굳게하기 위함이었을 것이고, 머리에 돌을 이게 하는 것도 체중을 가중시켜 성을 더욱 다지게 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13.6Km 2024-01-18
고창은 전남 화순, 인천 강화와 함께 고인돌 유적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고장이다. 2,000여 기가 밀집한 고인돌 군락과 함께 고인돌의 역사와 구조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고인돌박물관에서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듯한 시간여행을 즐겨보자. 고인돌 군락 주변으로 여러 구간의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 걷기 코스로도 제격이다.
13.6Km 2024-01-18
전북 고창은 산세 좋고 맛 좋은 고장이다. 고창읍성, 고인돌 유적지 한적한 선운사의 운치를 즐기고 시인 미당의 생가를 돌아보자. 고창의 예술과 토속적인 맛 등 전북의 맛깔스런 색깔을 충분히 즐길 수 있는 코스다.
13.6Km 2024-01-18
고인돌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지만,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고인돌은 한국의 고창, 화순, 강화도가 유일하다. 이중에서도 고창 지역에 가장 많은데 무려 1,500기가 넘는다. 6개의 고인돌 탐방 코스가 조성되어 있는데 그중에서 백미는 1~2코스다. 주변에 채석장이 많아 다양한 고인돌을 만날 수 있다.
13.6Km 2024-11-2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동리로 128 한옥체험펜션
063-563-9977
고창군 한옥마을은 고창읍성 옆에 위치하고 있는 숙박시설이다. 기와집은 고창읍성 내에 있는 관아의 객사 등을 재현해놓아 전통한옥을 체험할 수 있다. 고창군 한옥마을은 대청마루와 마당 등이 딸려 있어 기품있는 운치 속에서 옛 선조들의 생활을 만끽할 수 있다. 각 객실내부에는 텔레비전과 에어컨, 냉장고, 와이파이 등을 구비했다. 단순 숙박뿐 아니라 도예체험장과 공예품전시관에서 체험이 가능하며 가까운 석정온천 이용이 가능하다.
13.6Km 2024-10-16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063-560-2949
고창모양성제는 국내에서 가장 원형이 잘 보존된 모양성을 주제로 한 역사문화축제이다. 대표프로그램은 답성놀이로서 한바퀴 돌면 다릿병이 낫고, 두바퀴돌면 무병장수하며, 세 바퀴돌면 극락승천 한다는 전설을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개발했다. 이 외에도, 답성놀이와 강강술래를 혼합하여 군민과 관광객이 함께 어우러진 야간답성강강술래달밤, 과거현재미래를 표현한 주민 1,000여명이 참여하는 거리 퍼레이드, 과거로의 여행을 주제로 하여 고창읍성 내부를 누비며 즐길 수 있는 빽투더1453, 그리고 고창지역의 특산물을 활용한 먹거리와 직거래장터 등을 운영한다.
13.6Km 2025-05-19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063-560-2461
2025 고창 국가유산야행은 ‘달빛 동행, 모양성 구경가세, 별빛 야행’을 주제로 고창읍성과 신재효 고택, 오거리당산 일원에서 열리는 야간형 국가유산 향유 프로그램이다. 청사초롱이 수놓은 모양성 둘레길을 따라 해설사와 함께 걷는 투어, 무형유산 공연, 전통의복 체험, 야시장과 먹거리, 야간 조명 전시 등 다양한 콘텐츠가 마련되어 고창의 역사와 정취를 오감으로 느낄 수 있다. 지역 주민과 관람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이 축제는 고창의 국가유산을 색다르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밤이 될 것이다.
13.6Km 2024-10-23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070-4175-6848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나도 모르게 나를 잃어버리고 있진 않나요? 고창 치유문화축제에서 잠시 몸과 마음의 긴장을 내려놓으세요. 그리고 다양한 감각으로 나와 세상을 마주해봅시다. 이번 축제를 통해 우리가 상실한 감각은 무엇인지 알아채고, 나와 세상을 연결하는 치유의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