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Km 2025-03-06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로 1564
051-304-7733
곰보식당은 부산 사상구 삼락동에 위치한 한우 전문점으로 1975년에 개업하여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곳이다. 이곳은 오랜 노하우로 항상 선별된 최상의 한우 암소만을 취급하고 있다. 부드러운 맛보다는 한우 본연의 고소한 맛을 살리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구포 축산물 도매시장과 바로 인접해 있어 천엽, 간 등의 횟간과 등골 등 각종 부위를 가장 신선한 상태에서 맛볼 수 있다. 갈빗살과 육회뿐만 아니라 곱창전골도 이 집의 자랑이다. 또한 고기를 먹고 난 후 곁들여 나오는 선짓국은 별미이다.
10.4Km 2024-08-19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로1518번길 27
부산 사상구 재첩 거리에 위치한 간장ᆞ양념 게장에 재첩국을 무한리필로 제공하는 곳으로, 현지인이 자주 찾는 맛집이다. 가게 앞에 주차장이 바로 있어 주차가 편리하고, 매장이 넓어 식사하는데 불편함이 없다. 주문하면 기다림 없이 바로 차려지는 밥과 기본 반찬들에 청양고추가 올라간 간장게장, 매콤 달콤 양념에 버무려져 나오는 양념게장, 시원한 재첩국을 저렴한 가격에 무한으로 먹을 수 있어서 가성비가 뛰어난 집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양념이 잘 베여있는 게살에 밥을 비벼 김에 싸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그 외 메뉴로는 재첩회, 재첩회덮밥이 있다.
10.5Km 2025-03-06
부산광역시 사상구 낙동대로1530번길 20-15
051-301-7069
낙동강변 재첩요리 먹거리 타운의 28년 된 손맛, 28년 전부터 그 맛 그대로 명성만큼 입소문이 자자한 할매재첩국집이다. 재첩은 옛날부터 숙취 효과가 특별하여 지금도 많이 애용되고 있는 음식이다. 장장 불로 삶는 재첩국의 맛은 그야말로 일품이다. 구수하고 진한 맛, 그리고 깔끔한 맛으로 다시 찾는 사람들이 많다. 내부는 협소하지만 좌석은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음식은 포장이 가능하다.
10.5Km 2025-04-24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051-713-5000
우리 일상 속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밀'을 주제로 다양한 나라의 식문화와 미식사를 탐험하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주요 밀 집산지였던 북구의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밀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와, 밀로 만나는 밀식여행을 떠나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다.
10.6Km 2024-05-27
부산광역시 북구 사상로583번길 20
051-301-3517
구포 축산물도매시장은 1960년대 중반 형성된 축산물 전문시장이다. 현재 210개의 점포가 성업 중이며, 2006년 재래시장으로 등록되어 운영 중이다. 시장 면적은 14,000m²이고 관련 종사자가 약 500여명에 달한다. 한우, 육우, 젖소, 수입육, 돈육, 부산물, 편육 등 축산물과 관련된 모든 품목을 취급하며, 전국으로 판매하고 배송하고 있다. 축산물 유통의 효율성과 경제 극대화를 이루기 위해 상인회를 조직하여 운영하고 있다. 시장 주변에는 미식가들이 즐겨 찾는 곰탕집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인근에는 부산의 유명한 재첩국 맛집이 모인 삼락재첩거리가 있다.
10.7Km 2025-06-18
부산광역시 북구 생태공원길 125 (화명동)
화명생태공원은 낙동강 좌안 북구 구포동 제2낙동강대교에서 금곡동 대동화명대교까지의 둔치지역으로 낙동강하구 둔치 중 면적은 가장 작다. 화명 신도시와 인접하고 있어 주민들의 접근성이 좋아 야구장, 축구장을 비롯하여 테니스장, 농구장, 인라인 스케이트장 등 체육시설(11종 38면)을 고루 갖추고 있다. 또한 최하단부에 연꽃습지, 수생식물원과 산책로, 데크는 휴식과 자연체험을 하기에 좋으며 수상레포츠타운, 야외수영장, 화명선착장 등이 갖추어져 있어 다양한 수상레저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10.7Km 2024-01-11
부산광역시 북구 낙동대로1694번나길 2
부산에 위치한 스페인 음식점이다. 메뉴는 오징어 먹물 빠에야, 트러플 오일 파스타 등이 있다. 2층에는 갤러리 프린체가 운영되고 있어 관람가능하다. 각종 단체 모임 및 문화예술행사도 진행되고 있다.
10.7Km 2024-06-17
부산광역시 강서구 둔치강변길 658-1
강서구 둔치도 무인 카페 금빛노을이다. 둔치도 마을은 도시의 모습과는 달리 정겹고 운치있는 모습이 특징적인 곳이다. 금빛노을 카페는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는 무인 카페이기 때문에 손님들이 알아서 챙겨 가고 정리까지 해야 한다. 아메리카노, 인스턴트 커피 및 각종 차 종류가 있고 식빵과 잼, 그리고 뻥튀기가 있어 적당량 가져다 먹으면 된다. 먹은 컵 설거지까지 스스로 해야 한다. 금빛노을에는 본 건물 내부 외에도 크고 작은 하우스들이 몇 개 있고, 외부에도 자리가 많아 편하다. 금빛노을은 주차장이 넓은 편이다. 걸을 때마다 정성이 느껴지는 산책로도 있다. 대저 생태공원, 맥도 생태공원이 인접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10.7Km 2025-05-28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만세길 109 (구포동)
구포만세거리는 1903년 개통돼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북구의 관문으로 사랑받았던 구포역에서 시작되는 거리다. 구포역부터 구포시장까지 가는 길로 구포장터 3·1 만세운동에 관한 다양한 벽화들을 감상할 수 있다. 구포장터 3·1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29일 구포장터에서 1,200여 명이 대규모 만세운동을 벌여 김옥겸 선생 등 42명이 옥고를 치른 부산의 대표적인 독립만세 운동이며 의거의 주축이 주로 유림, 학생이었던 타 지역과 달리, 상인, 노동자 등 서민 대중들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격적으로 거리로 나서면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곳곳에 남은 역사의 흔적들과 지금의 구포 문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구포국수체험관 및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이어진다.
10.7Km 2025-03-18
부산광역시 사상구 삼락동
051-713-5000
*하기 축제 먹거리 정보는 전년도(2024년) 정보로, 2025년도 축제 먹거리 정보는 업데이트 중에 있습니다.*
부산국제록페스티벌은 2000년 첫 개최 이래, 26년 동안 명맥을 꾸준히 지켜온 국내 최초·최장수 국제록페스티벌이다. 2025년에는 9월 26일(금)부터 9월 28일(일)까지 3일간, 삼락생태공원에서 개최되며, 다양한 국내외 아티스트가 참여할 예정이다.공원 곳곳에 조성된 무대에서 신진 아티스트부터 글로벌 최정상급 헤드라이너까지 취향에 따라 다양한 공연을 관람할 수 있으며,관람객 참여형 게임 이벤트, 푸드코트 라운지, 캠핑존 등 다양한 부대 이벤트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