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림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미림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미림식당

미림식당

1.1 Km    4667     2023-01-19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93길 6

서문시장 인근에 위치한 54년 된 돈가스 집이다. 유명 방송 프로그램에 소개되어 줄을 서지 않으면 먹기 힘들 정도이다. 도톰하고 큰 옛날 돈가스가 대표 메뉴이다. 이 식당은 전통방식 그대로 돈가스를 만들어 더욱 인기가 좋다. 고기를 다지는 기계가 있지만 여전히 소주병으로 고기를 다지고, 옥수수 식빵을 채에 쳐서 고운 빵가루를 내린다. 소스도 54년 전 방식으로 만든다. 소스의 기본이 되는 루는 흔히 버터로 볶지만 이집 소스에는 버터가 들어가지 않는다. 느끼하지 않고 한국 사람들 입에 잘 맞는 이유다. 소스 마지막에는 아버지가 처음 만들었던 씨소스를 넣는다.

선교사챔니스주택

1.1 Km    20542     2023-10-26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

대구 중구 동산동 3.1운동 만세 계단을 오르면 마주하는 청라언덕에 붉은색 벽돌로 지어진 서양식 2층 건물로 선교사 챔니스 등이 거주한 일제강점기에 건축된 건물이다. 이 건물은 1907년 대구읍성 철거 때 가져온 안산암 성돌로 기초를 만들고 그 위에 붉은 벽돌을 미국식으로 쌓았다. 2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집은 남북 쪽으로 약간 긴 네모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1층 서쪽 중앙에 있는 현관을 들어서면 바로 2층으로 오르는 계단홀이 있고, 계단홀을 중심으로 거실, 서재, 부엌, 식당 등을 배치하였다. 2층에는 계단실을 중심으로 좌측, 우측에 각각 침실을 두고 욕실, 벽장 등의 부속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1층 동남쪽에는 거실 등에서 이용할 수 있는 비교적 넓은 베란다를 시설하였다. 이러한 건물양식은 당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남부에서 유행한 방갈로풍으로 지금까지 당시의 모습이 잘 간직되어 있다. 본 챔니스 선교사는 1925년부터 1941년까지 약 20년간 일제에 의해 쫓겨나기 전까지 대구에 거주한 미국인 선교사로 대구 애락원(부원장)에서 한센병 환자들을 돌본 사람이다. 특히 그는 치료 이외에도 병을 극복한 후 자립할 수 있도로 농사와 가축을 기르는 방법 등을 교육하였으며 부인 헬렌 챔니스역시 영유아보건소에서 여성과 아이들을 위해 봉사하였다. 1941년 일제에 의해 추방당하기 전까지 봉사를 계속하였다. 1999년 10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개원 100주년을 맞이하여 의료박물관으로 개원하였으며 1800년대부터 1900년대에 이르는 동서양의 많은 의료기기가 소장되어 있다.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당시 우리나라에 거주했던 미국인의 건축, 주거, 생활양식을 살펴볼 수 있으며 100여 년에 걸친 대구지역의 선교의료·교육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 또 청라언덕에는 선교사스윗즈주택을 비롯한 블레어주택, 대구제일교회 등도 함께 볼 수 있으며 대구 서문시장도 바로 이웃하니 대구에서 시장 구경도 같이 할 수 있는 볼거리 가득한 장소이다.

꽃잔디식당

꽃잔디식당

10.5 Km    0     2024-02-2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구벌대로 750

꽃잔디식당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오직 아귀찜 요리 하나만 하는 집으로 대표 메뉴는 전통 아귀찜이다. 음식을 주문하면 영양돌솥밥이나 바지락칼국수 중 한 가지를 선택해 맛볼 수 있고 순살 아귀찜도 판다. 대구 지하철 2호선 다사역과 다사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달성문화센터와 다사 근린공원, 강정보 유원지, 강정보 디아크 광장이 있다.

마천산산림욕장

마천산산림욕장

10.5 Km    0     2024-04-23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이천리 산25-2

‘마천산산림욕장’은 마천산, 성산 일대 숲길을 걸으며 산림욕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숲 속 쉼터, 체력단련장, 전망대, 숲 해설판 등의 편의시설이 잘 갖춰져 있다. 그 외에도 걷다가 마주하는 마천산 산림욕장 야생화 생태원 안내판 뒤쪽으로는 20여 종의 야생화가 있어 자연 학습에도 도움이 된다. 곳곳에 있는 안내판을 읽으며 산책하는 재미가 있다. 인근 지역에 사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 찾아오는 관광객들도 많다. (사진 출처: 대구시 달성군청 공식 블로그 ‘달성에 꽃피다’)

선교사블레어주택

선교사블레어주택

1.1 Km    2988     2023-10-27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

대구 중심지 중구 청라언덕에 여러 주택들 가운데 가장 남쪽 약간 경사진 대지에 반지하실을 둔 붉은 벽돌 2층 집이다 선교사블레어, 라이스가 거주한 집으로 1910년경 건립되었다. 벽돌로 지은 지상 2층, 지하 1층의 건물이며. 연면적은 482.75㎡이다. 건물의 평면은 남북이 약간 긴 장방형이며, 1층은 서쪽 현관 홀을 통하여 응접실과 거실, 계단실을 직접 연결하고, 거실을 중심으로 침실, 부엌, 식당 등을 배치하였다. 2층은 ㅁ자형의 계단 홀을 중심으로 침실과 욕실을 두었으며, 서쪽 현관의 베란다 상부에 늘 빛을 받아들이는 선룸(Sun Room)을 설치하였다. 외관은 남쪽과 서쪽에 목조 베란다를 설치하고, 콘크리트 기초 위에 붉은 벽돌을 쌓아 벽체를 만들었다. 지붕은 박공면을 남쪽, 북쪽, 서쪽에 두고, 동쪽과 서쪽의 지붕면은 쇠드(Shed)형으로 꾸몄다. 내부 바닥은 장마루를 깔았고, 벽은 회반죽으로 마감해 벽지를 붙였으며, 천정은 널빤지를 대고 나무 반자돌림띠를 돌렸다. 선교사블레어주택은 외관상 같은 시기 미국의 방갈로(Bunglow) 풍에 가까운 주거 건물로 건축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다. 미국인들의 주거 양식과 생활양식, 한·양 절충의 건축 수법뿐만 아니라 대구의 개신교 선교사와 당시의 건축 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건물이다. 1981년 8월 동산의료원에서 인수하여 사택으로 사용하다가 1999년 10월 1일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개원 100주년을 맞이하여 교육역사박물관으로 개원하였다. 대구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박물관은 시대별 교과서를 비롯한 민속자료, 대구 3.1운동 관련 자료 및 사진 등을 관람 할 수 있다. 특히 블레어 주택이 위치한 청라언덕은 선교사스윗즈주택, 챔니스주택을 비롯하여 대구제일교회, 동무생각노래비, 한국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3세목 등 다양한 볼거리가 가득하며 대구광역시에서 제일 큰 시장 중에 하나인 서문시장도 바로 이웃에 자리하고 있다.

동산청라언덕

동산청라언덕

1.1 Km    15     2023-06-10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029

청라언덕은 20C 초 기독교 선교사들이 거주하면서 담쟁이를 많이 심은 데서 유래되었으며, 달성토성이 대구의 중심이었을 때 동쪽에 있다 하여 동산으로도 불린다. 아름다운 정원인 이곳은 챔니스 주택, 스윗즈 주택, 블레어 주택 등 옛 선교사들이 생활하였던 주택과 90계단, 대구 3.1 만세 운동길, 대구 최초의 서양 사과나무, 우리나라 최초의 가곡인 동무생각 노래비, 선교사와 그 가족들의 묘지인 은혜정원 등이 있다. 또한 청라언덕은 골목투어 2코스의 출발지이며, 드라마 촬영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신숭겸장군유적

신숭겸장군유적

10.6 Km    58401     2024-03-22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길 17

신숭겸(?∼927)은 평산 신 씨의 시조로서, 918년 배현경, 홍유, 복지겸 등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하여, 고려의 건국에 이바지한 인물이다. 고려개국의 1등 공신인 신숭겸 장군은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의 기병장수였다. 그런데 궁예가 왕위에 즉위한 지 몇 년 만에 처자식을 살해하고 백성을 혹사하는 등 폭정이 심해지자 동료 기장들과 함께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받들어 고려를 개국하였다. 고려 태조 10년(927) 신라를 침공한 후백제 견훤의 군사를 물리치기 위해 왕건과 함께 출전하였다. 왕건이 이곳 공산싸움에서 후백제군에 포위되어 위기에 빠지자, 왕건의 옷을 입고 변장하여 맞서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왕건을 그 틈을 이용하여 홀로 탈출하였다고 한다. 왕건은 장군의 죽음을 애통히 여겨 그의 시신을 거두어 지금의 춘천인 광해주에서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웠다. 그리고 신숭겸이 순절한 이곳에 순절단과 지묘사(미리사)를 세워 그의 명복을 빌게 하고, 토지를 내려 이곳을 지키게 하였다고 한다. 1607년(선조 40)에 없어진 지묘사 자리에 경상도 관찰사 유영순이 서원인 충렬사를 세워 장군을 모셨으며, 1672년(현종 13)에 표충사는 사액서원이 되었다. 1871년(고종 8)에 서원철폐령으로 표충사가 없어진 뒤에 후손들이 재사를 지어 이곳을 지켜오던 중 1993년에 표충사를 복원하였다.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유적은 지난 74년 대구광역시 기념물로 지정, 장절공의 충절을 기리는 위패(位牌)와 영정(影幀)이 모셔져 있으며, 순절단(殉節壇)과 충렬비(忠烈碑)등이 있다. [장절공] 신숭겸장군을 ‘장절공’이라고 하는데 ‘장절’은 태조 왕건이 신숭겸 장군의 죽음을 슬퍼하며 장군에게 내린 시호이다. 시호란 큰일을 한 인물이 죽은 뒤에 그 공덕을 칭송하여 국가가 내려주거나 다음 임금이 그 앞 임금에게 내려준 이름을 말한다. 장절(壯節)이란 뜻은 ‘절의가 굳세다.’, 곧 ‘마음이 아주 곧고 꿋꿋하며 의리가 있다’는 뜻이며, 여기서 ‘공(公)’은 신숭겸 장군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충절비] 신승겸 장군의 충절을 기리는 비석으로, 표충재 동편 석축 위에 있다. 1607년(선조40)에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외손 유영순이 영남 유림, 후손들과 의논하여 장절공 사우를 지을 때 같이 세웠으며, 예조판서 신흠은 글을 짓고, 여주목사 김현성을 글씨를 쓰고, 안변도호부사 김상용이 전자를 썼다. 1781년에 비각이 허물어지고 비가 넘어진 것을 관민이 힘을 모아 다음해 8월에 바로 세웠으며, 같은 해에 비각도 고쳐 세웠다. 지금있는 비각은 1979년 대구시에서 고쳤다. 용머리에 거북 받침이 인상적이다. [표충재와 동재 서재] 표충재는 뒤로 높다랗게 사당을 업고, 순절단이 내려다보이는 왕산 중턱에 있다. 표충재라는 편액이 걸려있는 중심 건물과 동재와 서재가 있다. 표충사는 일명 표충서원으로 불리면서 유림에서 지켜오다가 1871년 (고종 8)에 훼철된 뒤에는 순절단을 단소로 후손들이 향사를 받들었다. 여러해 동안 영남 족친들이 건축비를 모아서 1888년(고종 25)에 표충사 옛터에 완공했다. 표충재 현판은 충익공 신정희가 썼다. 표충재 왼쪽 문을 열고 들어가면 신숭겸 장군의 높은 절개를 추모하여 건립된 강당인 ‘상절당’이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2코스] 한실골 가는 길

[대구올레 팔공산 2코스] 한실골 가는 길

10.6 Km    23317     2023-07-26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길 17

'올레'란 제주어로 '거릿길에서 대문까지의, 집으로 통하는 아주 좁은 골목길'을 뜻한다. 제주올레와 함께 '느리게 걷는 여행'을 제안하며 대구녹색소비자연대에서는 2008년부터 '대구올레'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2코스] 한실골 가는 길은 2009년 7월 개장한 코스이다. 아파트 촌 사이에 옛 건물이 숨은 듯 자리해 있다.

바로 신숭겸장군유적지이다. 이 일대는 태조 왕건과 후백제 견훤이 목숨을 걸고 '공산전투'를 벌인 곳이다. 문화해설사의 이야기를 들으며 한바퀴 둘러봄직하다. 유적지 오른편으로 한실골 가는 길이 이어진다. 이 길의 백미는 만디(언덕)쉼터. 하늘과 땅이 닿아 만드는 풍경을 바라보며 걷는다. 그 끝에 올라서면 저멀리 팔공산의 정상이 내다보인다.

율하체육공원

율하체육공원

10.6 Km    2     2023-12-06

대구광역시 동구 금호강변로 278 (율하동)

당초 근린공원으로 추진되었지만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유치와 맞물려 체육공원으로 변경됐다.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대구광역시 동구 출신의 박주영 선수가 크게 활약하면서 새로 개장한 율하체육공원 내 축구장의 명칭을 박주영축구장으로 변경되기도 하였다. 율하체육공원의 총면적은 약 18만 7,500㎡이며, 공원 입구를 중심으로 좌측(동쪽)에 생태공원, 우측(서쪽)에 체육시설이 있다. 체육시설로는 축구장(박주영축구장) 1면, 테니스장 4면, 농구장 2면, X-GAME장, 투척경기 연습장 등이 있다. 또한 손목 강화기와 팔 스트레칭, 가슴 벌리기 등·상체 운동을 할 수 있는 기구부터 큰 물결 건너기 등 복부·하체를 강화할 수 있는 기구 등이 설치된 어르신 놀이터를 조성하여 노인 복지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다. 이 외에 야외무대와 휴게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생태공원에는 바닥 분수, 조형 연못을 비롯한 다양한 수목들이 심어져 있어 시민들의 여가 생활을 위한 공간으로 인기가 많은 곳이다. 공원에는 억새 군락지, 생태연못, 메타세쿼이아 길과 여러 테마존도 형성되어 있어 체육시설과 더불어 사계절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롯데마트_토이저러스대구율하점

롯데마트_토이저러스대구율하점

10.6 Km    0     2024-03-24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로 80 (율하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