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Km 2025-03-2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지리
양지 IC 바로 옆,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위치해 있다. 인근 아파트 단지와 연계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운동, 여가, 휴식을 즐길 수 있는 다목적 체육공원이다. 계류 연못, 테니스장, 놀이터, 화계, 축구장 등의 체육시설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마음껏 흙을 밟으며 놀 수 있는 모래 놀이터는 도시에 사는 어린이들에게 친환경적인 놀이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여성 축구회, 테니스클럽 등이 결성되어 시민들의 건강한 여가를 위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불어 꽃잔디가 곱게 핀 산책로를 부담 없이 거닐어 볼 수 있는, 사계절이 아름다운 체육공원이다.
17.2Km 2025-05-22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5 (이의동)
수원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수원역사박물관, 한국서예박물관 등 2개의 상설전시관과 특별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오감으로 즐기고 배우는 어린이체험실, 다채로운 교육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소장유물은 수원지역에서 발굴된 유물, 구입 및 기증받은 유물 등으로 48,000여 점을 소장하고 있다. 수원역사박물관은 수원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과거·현재·미래의 시점과 주제별로 구성하였으며,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된 전시관은 ‘수원의 자연환경’, ‘선사·역사시대의 변천사’, ‘수원로의 개설’, ‘60년대 수원 만나기’, ‘근대 수원의 문화’로 과거의 역사와 문화뿐만 아니라 현대의 발전하는 역동적인 수원의 모습을 다양하게 보여주고 있다. 한국서예박물관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최초로 건립한 서예 전문 박물관으로, 우리나라 서예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전시는 유물의 시기와 특성에 따라 각각의 전시 주제로 구성되어 있고 조선시대 사랑방이 재현되어 있다. 중요 작품으로는 영조와 정조가 쓴 어필첩 등이 있다.
17.2Km 2024-07-17
경기도 평택시 만세로 1845
031-652-0327
두껍고 맛있는 돈까스를 먹을 수 있는 곳이다. 한 조각만 먹어도 맛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대표메뉴는 돈까스다. 경기도 평택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고소하고 바삭한 수제돈까스를 제공한다.
17.2Km 2024-09-09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334
화서문은 수원 화성의 서문이다. ‘화성의 서쪽’이란 뜻이지만 서쪽에는 팔달산이 있어 서북쪽에 문을 두었다. 문밖으로 넓은 평지가 펼쳐져 있어 주변을 감시하기 위해 높다란 서북공심돈을 함께 세웠다. 조선 시대 건축에는 일정한 위계질서가 있다. 같은 성문이지만 장안문과 팔달문은 높은 격식을 갖춘 반면 창룡문과 화서문은 한 단계 격을 낮춘 형태이다. 석축의 규모도 작고, 1층 문루에 팔작지붕으로 이루어졌다. 화서문은 창건 당시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어 간결하면서도 섬세한 18세기 건축 기술을 보여준다. 옹성 안 석축에는 공사를 담당한 감독관과 우두머리 석공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서울과 개성, 강화도에서 온 석공이 참여했는데 박상길은 축성이 끝난 후 석공 가운데 가장 높은 등급의 상을 받았다. 현판은 화성 축성의 총책임자였던 채제공이 썼으나 원본이 남아 있지 않다. (출처 : 수원문화재단 홈페이지)
17.2Km 2025-07-17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한터로 536
주변이 산과 자연으로 둘러싸여 있어 나들이하기 좋은 용인 처인구의 한정식 맛집이다. 깔끔한 실내에 칸막이식 좌석이 마련되어 있어 코로나 시국에도 편안하게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식전 샐러드 반찬은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식당 옆에 식당과 연계된 커피전문점이 있어 식사 후에 할인된 가격으로 차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도 있다.
17.2Km 2025-03-24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유리
031-298-9116
덕우저수지는 1947년 축조된 발안지는 좌측 상류 3km 지점에 있는 기천지의 물이 발안지로 흘러들어 이루어진 저수지이다. 수심이 2~3m로 얕고, 수초가 적당히 분포되어 있다. 서울 근교에 있어 비교적 쉽게 갈 수 있으며 주로 배스, 잉어, 향어 등 다양한 어종을 낚을 수 있는 곳이며 발판과 낚시 환경이 좋아 초보자부터 숙련 낚시꾼까지 모두 즐길 수 있는 낚시터이다.
17.2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양대로 37
교동두부는 용인시 양지에 있는 두부 전문점이다. 몸에 좋고 맛도 좋은 두부를 매일 아침 만들어 손님상에 내놓는 것으로 유명하다. 식사 전에 제공되는 콩죽은 속을 따뜻하게 해 주며, 두부샐러드에는 싱싱한 야채와 블랙올리브의 궁합이 훌륭하다. 특히 100% 소고기로 만든 촉촉한 떡갈비와 함께 등장하는 수제두부는 그냥 먹어도 고소하고 양념장만 올려도 일품이다. 또한 모둠 세트에는 6시간 동안 참나무로 직접 훈연한 훈제오리, 두부전골이 나오며, 12가지 건강 잡곡밥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수제두부 한정식으로 제공된다. 양지체육공원 바로 옆이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
17.2Km 2025-07-31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방축4길 22-49
서천사는 경기도 평택시 장안산에 있는 한국불교해동종 사찰이다. 호국사찰로 잘 알려져 있는데, 호국사찰이란 부처의 공덕으로 나라의 안녕과 발전을 기원하고자 건립한 사찰 또는 그런 역할을 한 사찰을 말한다. 서천사는 임진왜란 당시 사명대사가 승병을 이끌고 주둔했던 곳으로 전해진다. 또한 서천사 미륵전에는 승병을 보호하던 하얀 미륵불 석조여래좌상이 500여 년 전 모습 그대로 국토를 수호하고 있다. 1352년(고려 공민왕 원년) 나옹화상이 창건하여 1623년 인조반정 시 모두 불에 탄 후에 1870년 동파비구가 미륵불을 발견하여 사찰을 다시 지었다고 한다. 그 후 1929년 중창불사가 있었다가, 1953년 화재로 소실되어 1954년 법당을 새로 지어 오늘에 이르렀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찰하면 산속에 자리한 산중 사찰을 연상하지만 서천사는 너른 평택의 들판을 바라보며 마을 가운데 자리하고 있다. 서천사 입구에는 선훈당이 자리하고 주전인 미륵전과 종무소 겸 요사채인듯한 안월당, 각령전, 산신각, 부도탑이 자리하고 있다. 미륵전에 봉안되어 있는 대표적인 불상의 석조여래좌상은 경기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고, 석가모니불상으로 돌로 만들어졌으나 몸 전체에 회칠을 발라 놓은 상태이다. 정확한 조성시기는 알 수 없지만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에 석불이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서천사는 크지 않은 아담한 사찰로 네 채의 사찰 건물들이 보기 좋게 분배되어 지어졌고, 사찰 뒤로 낮은 병풍을 드리운듯한 낮은 산이 있어 산책하듯 사찰 나들이하기 좋은 곳이다.
17.2Km 2025-07-29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월드컵로428번길 10 (연무동)
031-248-4292
반딧불이 연무시장은 수원에 있는 여러 전통시장 중에서 가장 늦게 조성된 시장이지만, 그 어느 곳보다도 활기차고 생동감 넘치는 풍경을 자랑한다. 시장 이름처럼 따뜻하고 정겨운 분위기가 느껴지는 이곳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 속 장보기는 물론, 소소한 만남과 교류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에는 청과물, 정육점, 음식점, 반찬가게, 사진관 등 다양한 업종의 점포들이 들어서 있어, 한 곳에서 필요한 생필품과 먹거리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편리함이 큰 장점이다. 소박하면서도 사람 냄새나는 골목길과 오가는 상인들의 정겨운 인사말은 이 시장만의 따뜻한 매력을 더한다. 특히 연무동, 영화동, 우만동, 이의동, 광교동 등 인근 지역에서는 유일한 전통시장으로, 주변 주민들의 생활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형마트와는 또 다른 정감과 활기를 느낄 수 있어, 장을 보지 않더라도 잠시 들러 구경하고 걷기에도 좋은 공간이다. 신선한 농산물과 다양한 먹거리, 사람 냄새나는 상점들이 어우러진 반딧불이 연무시장은 지역 경제와 공동체 문화를 함께 지켜가는 소중한 전통시장으로 사랑받고 있다.
17.2Km 2025-04-22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둔로 166 (서둔동)
1588-4929
2025년 수원연극축제는 실험적이고 다양한 공공공간연극을 통해 “일상을 떠나 일상을 바라보면서” 일탈과 함께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고, 아울러, 일상 공간이 아름다운 예술의 무대로 전환되는, 감동적인 축제 경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신록이 풍성한 5월, 거리극, 서커스 등 다채로운 공연예술의 큰 잔치 “숲속의 파티”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