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로 20 (고매동)
용인 기흥구에 위치한 콩국수 전문점이다. 크림처럼 곱게 갈았다 하여 크림스타일 콩국수라 부른다. 국산콩 (백태, 서리태)와 소량의 간수를 사용해 만들며 다른 첨가물은 전혀 넣지 않는다. 주차장이 넓고 주차 요원이 있어 주차가 편리하다. 내부에는 셀프바가 있으며, 테이블은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다.
4.8Km 2025-05-23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문로 9 (팔달로2가)
경기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수원 남문시장은 근방의 지동시장, 팔달문시장, 미나리광시장, 못골시장, 영동시장, 시민상가시장, 남문패션1번가시장, 구천동 공구시장, 남문로데오시장까지 무려 9개의 시장을 통칭해서 부르는 곳이다. 정조대왕 시절 수원화성 성안에 있는 종각 근처 종로 거리에 상설시장인 시전이 설치되었고, 팔달문 밖으로는 5일장이 열렸다. 그것이 지금의 수원 남문시장의 시작이라 볼 수 있다. (출처 : 수원시 공식 블로그)
4.8Km 2025-07-3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월드컵로 310 (우만동)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수원 월드컵경기장 축구박물관은 2002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개관하였던 월드컵기념관이 보다 다양한 축구자료의 전시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수원 월드컵경기장 축구박물관으로 재개관되었다. 1882년 한국 최초의 축구화부터 박지성 기념코너에 이르기까지 한국 축구의 역사는 물론 북한 및 세계축구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4.8Km 2025-08-26
경기도 화성시 동탄중심상가2길 21 (반송동)
경기도 화성시 동탄 반석산 근린공원 근처에 있는 광장이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광장 둘레로 맛집과 카페, 편의시설, 유흥시설이 밀집해 있는 곳이다. 소규모 공연이나 모임을 할 수 있는 야외무대가 있고 자전거 보관소가 있다. 야외무대는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다. 반석산 근린공원 주변으로도 노작공원이 있고 분위기 좋은 맛집과 카페가 많아 주변 교통은 혼잡한 편이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목줄, 배변봉투 지참)
4.8Km 2025-05-27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로84번길 10-8 (팔달로3가)
시골집 우렁이쌈밥은 수원시 팔달구 팔달공원 근처에 있는 우렁이쌈밥 전문점이다. 식당 바로 앞에 있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식사 손님은 한 시간, 오마카세 손님은 세시간 무료 주차권을 제공한다. 식당 1층은 입식 테이블이 2층은 좌식 테이블로 꾸며 놓았다. 대표메뉴는 경북 영주시 송현농장에서 생산하는 우렁이와 국내산 콩으로 직접 쑨 메주로 담근 된장을 이용한 우렁이쌈밥과 우렁제육쌈밥이다. 양이 푸짐하고 밑반찬도 맛있어 찾는 이들이 많다.
4.8Km 2025-08-25
경기도 화성시 동탄중심상가2길 11 (반송동)
키와마루아지는 화성 동탄에 있는 일본 라멘 전문점이다. 일본 고유의 육수 제조 방식과 라멘 제조 방식을 사용하여 라멘을 만들고 있다. 48시간 이상 불순물을 걷어 가며 만들어 내는 돈고츠 육수는 보기에도 뽀얀 국물이 진하고 맛있다. 이 육수 위에 숙주, 멘마, 파, 버섯, 계란, 차슈를 얹어 내며 마지막에 흑마늘 기름을 살짝 뿌리는 것은 이 집만의 특색이다. 주차는 주변에 있는 공영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4.8Km 2024-06-11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향교로 107-9
수원향교는 1291년 경기도 화성시 봉담면 와우리에 세워졌으나, 그 후 정조대왕이 부왕인 사도세자의 원칩을 양주 배봉산에서 현재의 화산으로 천장 하기 위하여 수원읍지를 팔달산 동쪽 현재 4대 문 안으로 옮길 때 현재 위치에 이전 건축하게 되었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고려, 조선시대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다. 수원향교에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명륜당, 동무, 서무, 내삼문, 외삼문, 수복청, 유림회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 송조 2현, 그리고 우리나라의 설총, 최치원, 이황, 이이, 송시열 등 18현을 합쳐 모두 25명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향교 앞에는 타고 온 말에서 내리라는 뜻을 새긴 비석인 하마비가 있고, 붉은색 나무로 세워진 홍살문이 있으며 외삼문, 동재, 서재, 명륜당, 내삼문, 동무, 서무, 대성전 등의 건물이 있다. 대부분 향교와 마찬가지로 앞에는 학문 공간, 뒤에는 제사 공간을 두는 구조로 되어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노비 등을 받아 교관이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수원 향교는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전예약시에만 개방을 하고있고, 매년 여름방학 때에는 지방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충효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4.8Km 2025-08-25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226-7 (석우동)
이화옥 스테이크는 화성시 동탄에 있는 개화기 구한말 시대의 컨셉을 재현하고 있는 스테이크 전문점이다. 다양한 스테이크 메뉴가 있는데 된장찌개와 밥을 세트 메뉴와 같이 즐길 수 있다. 동탄 보건소, 동탄우체국과 같은 블록에 있어 식당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 위치이므로 눈여겨봐야 찾을 수 있다. 컨셉에 맞춰 개화기 경성의 경양식 레스토랑처럼 은은한 조명에 고전적인 내부 공간이 오래된 느낌이면서도 세련된 분위기이다. 들어서면서 주방을 볼 수 있는데 참숯을 이용해서 스테이크를 굽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차는 건물 지하의 전용 주차 공간을 이용할 수도 있고, 주변에 공영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4.8Km 2025-01-07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776-2 (팔달로3가)
팔달문 시장은 영동시장과 함께 ‘왕이 만든 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조선 제22대 정조대왕은 전라도 해남에 터를 잡고 무역업을 하고 있던 고산 윤선도의 후손들을 수원으로 불러들였고, 그 후 전국의 상인들이 수원을 주시하기 시작하면서 형성됐다고 한다. 이렇게 수원 화성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팔달문 시장은 수원을 상업과 경제의 중심지로서 세우고자 했던 정조의 뜻에 따라 팔달문을 중심으로 지금까지도 성업 중인 전통 재래시장이다. 매향교에서부터 시작되는 통닭거리와 가구거리, 그리고 상가 안에 자리하고 있는 패션거리로 구분되며 다양한 길거리 음식들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또한, 시장 상인 방송국을 운영하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아동부터 중장년까지 다양한 의류 쇼핑을 할 수 있는 패션거리는 젊은 감각의 보세의류점이 많아 산책하듯 둘러보면서 쇼핑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