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Km 2021-03-1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955번길 6
031-243-6417
청춘만의 비법으로 만든 깔끔하고 푸짐한 감자탕, 뼈해장국이 대표메뉴이다. 좋은 재료와 부담없는 가격으로 맛있게 믿고 먹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만든다.
3.9Km 2025-06-24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 1087 (송죽동)
1998년에 조성된 만석거공원은 만석거(萬石渠)라는 저수지를 중심으로 한 공원이다. 만석거 저수지는 정조 19년(1795)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황무지 위에 조성했으며 이후 쌀 1만 석이 더 생산돼 이름이 만석거라 불리게 됐다. 1936년 수원군 일형면과 의왕면이 합쳐져 일왕면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일제강점기부터는 ‘일왕저수지’로 부르기도 했으나, 현재는 60여 년 만에 공식적으로 옛 이름을 되찾았다. 정자 이외에도 분수대, 다목적 운동장, 테니스장,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있으며 누렇게 익은 벼가 황금물결을 이룬 만석거 주변의 풍경을 석거황운이라 해 수원추팔경(水原秋八景) 중에 하나로 꼽힌다. 공원 내에 수원미술관이 들어서 있으며 인근에 수원 월드컵 경기장과 수원 성곽, 한국민속촌 등이 있다.
3.9Km 2025-08-12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서둔동)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공익적 기능을 전 국민에게 알리고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설립되었다. 농업의 가치와 잠재력을 널리 알리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우리 농업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미래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 농업의 가치를 알리는 농업관, 한식문화를 조명하는 식문화관, 연령별 어린이의 특성을 고려한 어린이박물관, 다양한 식물이 공존하는 식물원, 층층이 펼쳐진 다랑이 논밭, 12개의 농가월령 체험공간, 미래농업을 전망하는 수직농장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가득하다.
3.9Km 2024-11-26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서둔동)
국립농업박물관 내부에 위치한 메모리는 새하얀 크림이 얹어진 동그란 와플인 와팡과 함께 커피 한 잔, 마무리는 젤라또 아이스크림으로 즐길 수 있는 카페이다. 아이와 함께 국립농업박물관을 관람하고 메모리에서 가볍게 쉬면서 연계 관람할 수 있다. 박물관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야외 정원을 관람하며 산책하기에도 좋다.
3.9Km 2024-12-05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서둔동)
031-324-9114
국립농업박물관에서는 창원시 농업기술센터와 협력하여, 100년이 넘는 창원단감의 재배역사 소개, 창원단감을 활용한 소품 만들기, 포토존 등 다채로운 볼거리로 박물관에서 창원단감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3.9Km 2024-12-12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서둔동)
031-324-9114
개관 2주년을 축하하며 2024년 국농박의 주요 순간들을 다시 만나볼 수 있는 볼거리, 즐길거리가 가득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3.9Km 2024-12-20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서둔동)
031-324-9114
일년 중 밤이 가장 긴 동짓날에 국립농업박물관에서 열리는 ‘동지팥지’ 팥티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우리 민족의 작은 설 ‘동지’의 대표 농산물 팥을 한껏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체험, 교육, 전시, 팥죽나눔, 스탬프투어, 포토존 등 '동지팥지' 팥티원들을 위한 재미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
3.9Km 2025-07-3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 1088 (송죽동)
만석공원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이다. 1998년에 조성되었으며 만석거(萬石渠)라는 저수지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정자 이외에도 분수대, 휴게시설, 운동시설 등이 다양하게 들어서 있다.또한 공원 내에 수원미술관이 있어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다.
3.9Km 2024-10-23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54
031-324-9114~5
2024년 국립농업박물관 문화제 <무르익다>가 10월 15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행사는 곡식이 무르익어 풍요로운 가을을 맞이하고, 콩이 발효되어 장이 되듯이 박물관의 전시와 행사도 무르익어 관람객을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전시, 체험,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무료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하반기 기획전 ‘기다림의 맛, 시_간’ 개막, 시민과 함께하는 전통 벼베기 체험, 기획전과 연계한 심포지엄 <장醬, 가장 맛있는 농업>, 거창의 농촌·농업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는 ‘거창데이’ 등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