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Km 2025-07-30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 1088 (송죽동)
만석공원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에 위치하고 있는 공원이다. 1998년에 조성되었으며 만석거(萬石渠)라는 저수지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정자 이외에도 분수대, 휴게시설, 운동시설 등이 다양하게 들어서 있다.또한 공원 내에 수원미술관이 있어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다.
19.1Km 2025-05-21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로 298 (정자동)
지하철 분당선 정자역 2번 출구에서 900미터에 거리에 있는 공원이다. 미금역과 정자역 사이에 있고, 탄천을 조망할 수 있다. 잠실종합운동장 부근의 한강 둔치까지 이어진 산책로와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다. 총 18,148㎡ (5,489여 평) 의 면적에 산책로와 운동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봄에는 벚꽃이, 가을에는 단풍이 아름다운 공원이다. 금곡공원에서 탄천을 건너면 바로 분당 주택공원과 정자공원으로 연결되어 있다. 분당 대부분은 성남공항 관제권에 속해 비행 승인이 없으면 드론을 날릴 수 없으나, 금곡공원은 관제권 밖이라 촬영 승인만 받으면 드론 촬영이 가능하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단, 개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허용)
19.1Km 2025-05-2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내정로174번길 42 (수내동, 파크타운서안아파트)
돌고래 시장은 성남시 분당구 내정로에 있는 전통시장이다. 분당에서는 가장 먼저 전통시장으로 인정받은 곳으로 1996년부터 개장하여 영업을 해오고 있다. 도심 아파트 사이에 있어서 반찬가게와 먹거리의 인기가 많다. 1층에는 의류, 신발, 가방, 침구 등의 점포가 있으며 지하에는 축산, 과일, 채소, 생선, 반찬가게, 떡집, 어포, 전과 식혜를 판매한다. 전통시장임에도 요즘 트렌드에 발맞춰 밀키트도 판매하고 있다.
19.1Km 2025-05-26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940 (조원동)
우리 동네 스시카야는 회전 초밥집이다. 오랜 경력의 주방장이 즉석에서 만드는 초밥을 맛볼 수 있다. 최고급 국내산 쌀만을 사용하며 매일 들어오는 광어와 노르웨이산 생연어, 싱싱한 활어를 사용한다. 내부에는 회전 레일을 놓고 둘러앉을 수 있는 바 자리와 여럿이 앉을 수 있는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19.1Km 2025-05-20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둔촌대로 320 (하대원동)
둔촌 이집 묘역은 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에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이집의 묘역으로, 부인 정화택주 영주 황 씨와의 원형 합장묘이다. 이집은 고려 후기 문신으로, 충목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해박한 지식과 고상한 지절로 이름이 높았다. 1368년 신돈의 비행을 비판한 후 화가 미칠 것을 예견해 아버지를 업고 도망하여 영천에서 은거하였다. 이후 신돈이 역모로 주살된 후 수양산 아래 현화리에 돌아왔다. 이어 판전교시사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독서와 농경으로 세월을 보냈다. 용미와 활개를 갖춘 봉분의 높이는 1.8m이고 지름은 6.6m이다. 석물로는 봉분 중앙에 혼유석, 상돌, 사각 향로석, 장명등이 있고, 상돌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 한 쌍 외에 차양석 네 개와 2단의 계체석 및 봉분 좌우측에 신구 묘표가 각 1기씩 서향하고 있다. 이중 봉분 중앙에 위치하는 장명등은 화창공과 사모 지붕에 연봉 장식이 있다.
19.1Km 2025-06-24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 1087 (송죽동)
1998년에 조성된 만석거공원은 만석거(萬石渠)라는 저수지를 중심으로 한 공원이다. 만석거 저수지는 정조 19년(1795)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황무지 위에 조성했으며 이후 쌀 1만 석이 더 생산돼 이름이 만석거라 불리게 됐다. 1936년 수원군 일형면과 의왕면이 합쳐져 일왕면으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일제강점기부터는 ‘일왕저수지’로 부르기도 했으나, 현재는 60여 년 만에 공식적으로 옛 이름을 되찾았다. 정자 이외에도 분수대, 다목적 운동장, 테니스장, 매점 등 편의시설이 있으며 누렇게 익은 벼가 황금물결을 이룬 만석거 주변의 풍경을 석거황운이라 해 수원추팔경(水原秋八景) 중에 하나로 꼽힌다. 공원 내에 수원미술관이 들어서 있으며 인근에 수원 월드컵 경기장과 수원 성곽, 한국민속촌 등이 있다.
19.1Km 2025-05-23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송원로 101 (조원동)
한누리아트홀은 2006년 개관하여 1층 349석 2층 150석 총 499석을 확보한 장안구청 안 장안구민회관에 있는 공연시설이다. 장안구민들의 문화와 행복을 이어주는 공연시설로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공연, 뮤지컬, 영화 상영 등에 이용되고 있고, 넓은 객석과 주차시설로 주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를 동반한 어른들의 공연 관람을 위해 장안구민회관에서 운영 중인 올망졸망 놀이방을 이용할 수 있어, 시민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문화 예술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안전하고 유익한 공연 관람을 위해 공연장 내에서는 음료수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1년 365일 다양한 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19.1Km 2024-06-12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
화계사는 원래 부허동이라는 곳의 보덕암이라는 암자였으나 그 후 보덕암을 중종 17년(1522)에 남쪽 화계동으로 옮겨 법당과 요사채를 짓고 화계사라는 이름으로 개명하였다. 광해군 10년인 1618년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가 다음 해에 도월스님에 의해 중건되었다. 북한산의 핵심인 삼각산의 동남쪽 칼바위 능선 끝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심과 가깝고 주택가와 인접해 있으면서도 숲과 계곡이 감싸 안아 자연에서 주는 편안함과, 고즈넉한 산사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강북구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특히, 화계사는 숭산스님에 의해 시작된 관음국제선원의 산실로서 외국인 승려들과 불자들이 이곳에서 수행하고 있는 참선수행과 국제포교의 중심사찰이기도 하다. 화계사에서는 매일 사시 예불 및 기도가 있으며 매주 일요일에는 가족 법회가 봉행 되고 있다. 화계사는 교육의 도량이기도 하다. 화계사불교대학은 2002년 인가를 시작으로 매년 700여 명의 불자들이 교육받고 있다. 기초교리 과정과 천수경, 예불, 반야심경과 의식 등을 배우는 교양과정이 각 3개월간 진행되며 2년 과정의 불교대학을 주간, 주말반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대학원과 경전반을 각 1년 과정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신도회, 청년회, 나한대학생법회, 학생회, 어린이회 등의 신행 단체와 신도회 안에 거사회, 합창단 각종 봉사단체들이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