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Km 2025-06-23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유원지로 279
장흥역(폐역) 부근 일영계곡에 위치한 그린랜드는 약 6만 평 부지의 대규모 휴식공간으로 가족 및 친구, 동료와 함께 머물며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그린랜드는 수도권과 접근성이 좋고, 다양한 규모의 객실이 있는 펜션과 강당, 운동장 등의 시설과 1박2일 또는 당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어, 기업 및 단체 워크숍, 체육대회, 행사 및 야유회, 연수에 최적의 장소로 손꼽히는 곳이다. 여름에는 대형 에어바운스와 워터슬라이드가 있는 수영장이 펼쳐져 평상에 백숙 한 세트 시켜 놓고 가족, 친구들과 피서를 즐기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닭백숙과 닭볶음탕, 매운탕, 숯불 돼지 세트 등이 메인 메뉴이며, 별도의 자릿값 없이 식사 주문만으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별도 예약 없이도 선착순 이용 가능해 인기가 많은 곳이다. 송추 IC에서 차량으로 약 8분 소요된다. 인근에 장흥유원지, 가나아트파크, 두리랜드, 필룩스조명박물관, 회암사지, 북한산국립공원,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 등이 있다.
12.5Km 2025-07-30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수동 310-12
가수 자이언티와 그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카페 튜토리얼은 화이트톤 인테리어의 깔끔한 내부와 널찍한 좌석으로 깔끔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매장 한편에는 소품이 전시되어 있어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카페 대표 메뉴로는 ‘구겨진 종이 케이크’가 있는데 새하얀 아이싱을 매끈하지 않게 올려 이름 그대로 구겨진 종이처럼 보인다. 여기에 초콜릿 소스가 함께 제공되어 직접 원하는 그림이나 글씨를 작성할 수 있다. 서툴러도 나만의 케이크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무척 즐겁다. 또한 매장 내에 강아지가 있어 동물을 좋아하는 분들이 방문하기에도 좋은 곳이다.
12.5Km 2025-06-20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8 (평창동)
토탈미술관은 전시회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행사를 진행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문화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없었던 1976년 동숭동 대학로에서 디자이너를 위한 토탈갤러리로 시작하여 경기도 장흥에 국내 최초의 야외조각공원 형태의 미술관을 설립하였다. 미술관 개념의 확대와 더불어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현대예술 전반을 통섭하는 전시장을 마련하였는데, 이곳은 국내외 현대미술품 전시뿐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폭넓게 수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이다. 특히 회원들을 대상으로 개설된 교육 프로그램과 미술관 음악회는 수준 높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토탈미술관은 비탈길의 경사를 등지고 전면을 향해 활짝 열린 건물과 데크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꽃들이 활짝 핀 마당의 봄에서부터 하얀 눈꽃이 나무마다 맺히는 겨울까지의 계절을 가득 담고 있다. 마당에 덩그러니 놓인 베르나르 브네의 작품은 세월과 문화를 자연스럽게 녹아내는 미술관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준다. 1층 아카이브 공간을 지나 지하로 내려가면 돌출된 바위벽을 그대로 가진 전시실과 밖을 향해 유리창이 전면으로 트인 전시실이 있다. 한층 아래에는 압도적으로 높은 층고의 전시 공간을 만나게 된다. 이처럼 전시장 또한 내부와 외부를 넘나드는 복합적이고 열린 공간으로서 예술적 에너지를 가득 담고 있고, 미술관 공간 구성 자체도 현대미술의 역동적인 힘을 반영하고 있다. 토탈미술관은 설립자인 문신규 건축가가 설계하였으며, 한국건축가협회에서 수여하는 [올해의 건축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12.5Km 2025-06-20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2길 8 (평창동)
평창동 미술관 거리는 1980년대 후반부터 미술관과 화랑이 평창동에 줄줄이 들어서면서부터 평창동 미술관 거리가 형성되었다. 한국 현대조각의 선구자인 우성 김종영 선생을 기념하는 김종영미술관, 갤러리와 카페가 함께 있는 키미(KIMI)아트 외에도 갤러리세줄, 디방, 아트 스페이스 풀, 자하미술관 등 독특하고 다양한 콘셉트의 미술관이 많다. 1992년 토탈미술관이 개관한 데 이어 이응노미술관이 문을 열었다. 도자기 전문의 셀라뮤즈박물관도 선보인 지 오래되었다. 화랑으로는 국내 최대인 가나아트센터가 98년에 평창동으로 이사를 오면서 평창동은 미술과 예술의 거리가 되었다. 북한산이 보이는 조용한 동네 일대에 박물관과 음식점, 카페 등이 모여 있어 미술을 즐기는 사람뿐 아니라 이곳의 편한 분위기를 즐기며 산책하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 동네다. 그래서 평창동 일대에 사는 미술인이 100명이 넘고 도심의 문화예술 거리인 인사동까지의 접근성도 좋아서 전시회나 그림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다.
12.5Km 2025-01-02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5다길 10
02-337-9019
삼호복집은 1978년 개업한 신촌 복요리의 대표적인 전문점이다. 복으로 만드는 다양한 요리가 준비되어 있으며, 기호에 맞게 코스와 단품 요리 중 골라 먹을 수 있다. 갖가지 야채에 얇게 저민 복어 살을 담백한 국물에 살짝 익혀 먹는 복 샤부샤부에는 40년 넘는 노하우가 담겨있다. 정갈하고 깔끔한 복요리를 맛보려 많은 이들이 방문하고 있다. 단체석도 완비되어 있어 각종 모임이나 단체 회식을 하기도 좋다.
12.5Km 2021-06-25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19길 43
02-338-5536
방송에 소개된 유명 라멘집이다.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있는 일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라멘이다.
12.5Km 2025-04-09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노들로 221 (당산동)
양화한강공원은 여의도 샛강 하구에서 강서구 가양대교까지로 한강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둔치에 넓게 조성된 잔디밭에서 바라보는 탁 트인 전망은 다른 곳에서 쉽게 보기 힘든 풍광을 자랑한다. 여의도 샛강 하구에서 가양대교까지 연결된 자전거도로가 있다. 또한, 선유교 아래 자전거도로변에는 5월부터 꽃피우는 아름다운 장미꽃이 유명하다. 장미가 만개하면 친구와 연인, 가족과 함께 사진 찍으러 온 사람들로 북적인다.
12.5Km 2025-03-14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119
시인 윤동주는 연희전문학교 문과 재학시절, 종로구 누상동에 있는 소설가 김송(金松, 1909~1988)의 집에서 문우(文友) 정병욱과 함께 하숙생활을 하면서 종종 인왕산에 올라 자연 속에서 시정(詩情)을 다듬었다고 전해진다. <별 헤는 밤>, <자화상>, <또 다른 고향> 등 시인의 대표작들이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윤동주문학관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민족 저항 시인 윤동주의 발자취와 세상을 향한 그의 시선을 기억하고자 2012년 세워졌다. 인왕산 자락에 버려져 있던 청운수도가압장과 물탱크를 의미 있게 리모델링한 곳이다. 2012년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2014년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하고, 2015년에는 현충시설로 지정되면서 공간의 가치와 더불어 그 의미도 주목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