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운곡서원길 337
운곡습지 탐방로를 이용하여 방문할 수 있는 운곡서원은 운곡습지 친환경 주차장에 주차를 한 후 탐방열차를 탑승하여 종점에서 내리면 된다. 운곡서원은 본래 선산김씨 사우로 중국의 주희와 김제·김주·김숙자·김종직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러다 자영산과 운곡이라는 지명이 주자가 강학하던 곳과 비슷하다 하여 당산에 세운 서원을 자손이 세거 하는 운곡으로 이건 하면서 주자의 위패까지 모시게 되었다.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유림들과 후손들에 의하여 1905년 복설 되었고, 1924년에 복원되었다. 1981년 아산호가 축조되는 바람에 운곡리가 수몰되어 버려 운곡서운은 수몰되지 않고 남았으나 자손들은 떠나고 서원만 남아 있다. 운곡서원에는 주자학을 이어 온 집이라는 의미로 ‘신안구가’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이 편액의 한자는 추사 김정희의 글씨라고 알려져 있다.
18.5Km 2024-09-1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국사봉로 308-75
국사봉은 순창군 쌍치면과 정읍시 산내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선현들이 으뜸으로 꼽는 임금과 신하가 조화하는 군신 봉조의 형상을 가져 임금의 스승의 산, 즉 국사봉, 옥좌봉으로 불린다. 임금을 상징하는 국사봉을 정점으로 좌측엔 삼태봉이 연이어져 세자를 어진 임금이 되도록 가르치는 스승인 삼정승과 육판서가 자리 잡아 앉아 나란히 늘어선 형태를 보인다. 게다가 섬진강의 상류이자 쌍치면의 젖줄인 추령천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어 풍수지리의 이상적인 조건을 모두 갖춘 곳이다. 국사봉에는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수령이 100~200년 이상인 토종 야생 산철쭉이 자생하여, 개화기엔 1.7km 구간에 걸쳐 연분홍 군락을 이룬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 관련 군민들과 단체의 주최로 매년 5월 국사봉 철쭉제가 열린다. 축제는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풍물놀이, 난타, 사물놀이 공연 등 다양한 문화공연이 펼쳐지고, 농가 먹거리 장터 역시 열려 관광객들에게 색다른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18.5Km 2025-06-1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구림면 강천로 952
예솔분재원은 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군 강천산 자락에 자리 잡고 있으며, 350평의 전시장과 400평의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소재 배양관, 작품 전시장, 명품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분재 단지 두세 개를 합한 규모이다. 이러한 규모를 바탕으로 시중 가격의 60-70% 정도에 소비자들에게 분재 작품을 공급하고 있다. 1999년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서 분재를 유통하는 시대를 열었으며, 분재 관련 기술과 관리 방법을 인터넷에 공개하였고, 최초로 전시 상태의 분재 그대로를 택배하면서 분재 유통의 새로운 방법을 선도해 왔다. 분재원이 있는 강천산은 물이 맑고 아름다워 사계절 가족 관광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25분 거리에 내장산, 10분 거리에 담양댐과 추월산, 가마골 그리고 회문산이 있다.
18.5Km 2025-01-17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3로 39-7 시골삼계탕전문점
시골 삼계탕 전문점은 전라북도 정읍시 수성동에 있는 삼계탕 전문점이다. 5월부터 8월까지는 삼계탕만 주문할 수 있고, 9월~4월 사이에는 볶음탕과 토종닭 백숙도 맛볼 수 있다. 전용 주차장은 없지만, 건물 뒤편에 공영주차장이 있어 주차 걱정 없이 방문할 수 있고 실내는 넓은 홀과 룸으로 되어 있어 단체 모임이나 회식 장소로도 적합하다. 단, 초복, 중복, 말복에는 예약이 불가능하다. 충렬사, 수성공원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하기 수월하다.
18.7Km 2024-01-17
전라남도 장성군 불태3로 138-59
넓고 쾌적한 카페로 알려진 아트리움은 전라남도 장성군 진원면에 있는 디저트 카페다. 넓은 잔디밭 위에 감각적인 건물을 세워 지역 주민들뿐 아니라 광주 지역민들도 드라이브 삼아 즐겨 찾는 곳이다. 잘 꾸며진 실내와 건물 주변의 조경이 카페의 분위기를 살려준다. 대표 메뉴는 크림라테이고 바닐라라테, 흑임자라테도 크로플과 함께 먹으면 일품이다. 다양한 스무디와 주스, 에이드와 차도 준비돼 있다. 데이트 코스로 주목받는 곳으로 젊은 커플들이 즐겨 찾는다. 유리창 너머로 보이는 바깥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주변에는 고산서원, 진원성, 청계정, 진원박씨제각, 진원리 5층석탑, 꿈엔들 농촌교육농장 등 유적지와 볼거리가 많다.
18.7Km 2024-07-17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구림면 구림로 3-2
순천향 관광농원 & 오토캠핑장은 순창군 구림면에 있는 구 월정 초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한 캠핑장으로 학교시설이었던 만큼 단체 숙박(민박)도 가능하다. 최대 500여 명까지 동시 수용이 가능해 교회 수련회, 세미나, 연수 등 단체 모임을 많이 온다. 샤워장, 화장실, 개수대 등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모두 온수가 잘 나오고 깔끔한 시설을 자랑한다. 매점에는 웬만한 물품은 다 구비하고 있어 여행 시 긴급한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넓은 잔디 운동장은 스포츠 활동이나 게임을 할 수 있고 중간중간 키 큰 나무들이 심겨 있어 넓은 그늘을 드리워 한낮의 햇빛을 막아준다. 그리고 관광농원으로 바뀐 후 닭은 방목하여 키우고 있어 자유롭게 노니는 닭을 구경할 수 있다. 또한, 캠핑장 뒤편으로 흐르는 천을 따라 산책하기도 좋다. 이곳은 식당도 함께 운영하는데 순창에서 보양식과 가정식 집밥으로 유명한 맛집이다.
18.8Km 2024-12-17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수성로 97
063-532-5011
전북 정읍시에 위치한 춘향골은 미꾸라지 전문점으로 미꾸라지 숙회, 전골, 튀김, 추어탕의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이중 추어탕은 미꾸라지를 곱게 갈아서 누구나 먹기에 편하고 춘향골의 오랜 노하우가 자리매김을 해 단골이 많은 집이다. 추어탕 주문 시 밥은 솥밥으로 준비되어 나온다. 춘향골과 잘 어울리는 소나무와 티테이블이 정원에 준비되어 있다.
18.8Km 2024-08-23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피노길 65-29
063-650-1633, 1628
조선 후기 동학 농민혁명의 최고 지도자인 전봉준 장군은 1890년 동학에 입교, 고부지부 동학교도를 이끄는 접주가가 되었다. 탐관오리의 횡포에 분노하여 농민군을 이끌고 봉기했으며, 관군을 물리치고 전라도 지역에 세력을 떨쳤다. 청일전쟁이 벌어져 외세의 개입이 심해지자 다시 한번 농민군을 이끌고 봉기했으나, 우금치 전투에서 일본 연합군에 의해 패배하고 후퇴하던 도중 체포되었다. 민요 "새야새야 파랑새야"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녹두장군 전봉준관은 이러한 동학 농민혁명의 최고 지도자인 전봉준 장군이 붙잡힌 순창군 쌍치면 피노마을에 조성되어 있다. 한 편에는 전봉준 장군이 체포되기 전 머물렀던 주막이 복원되어 있다. 또한 이곳에는 전봉준 장군의 관련 사진들과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18.8Km 2024-07-17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쌍치면 피노길 65-29
녹두장군 전봉준관은 순창 쌍치면의 [피노마을]에 있으며 전봉준 장군이 체포되었던 곳을 상징하여 피체지라고도 한다. 동학 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 장군이 외세의 개입에 반대하며 일으킨 공주 우금치전투에서 패하자 다친 몸을 이끌고 은신하던 중, 일본의 유인책에 넘어간 옛 부하의 밀고로 전봉준 장군이 체포된 곳이다. 가슴 아픈 역사가 깃든 이곳은 전봉준 장군이 체포되기 전에 머물렀던 주막의 당시 모습을 재현하고 있어, 과거를 생생히 느껴볼 수 있다. 전시관에는 전봉준 장군과 관련된 사진 및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고, 도피 생활 당시를 간접적으로 체험해 볼 수 있는 초가집 등을 구축해 놓았다. 녹두장군 전봉준관 안에는 농촌 생활 체험관이자 숙박 장소인 녹두관이 있다. 초가집 뒤편 돌담길 끝에 조성된 곳으로 33m², 43m², 66m²의 숙박 시설과 캠핑장이 있다. 가격은 저렴한 편이며 펜션 내부는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고, 취사도구가 마련되어 있어 직접 음식을 해 먹을 수도 있다.
18.8Km 2025-04-18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응용리 104-2
영산강 8경 중의 하나인 담양대나무숲 담양습지는 영산강 생태답사 1번지이며, 자연정화시설의 대표적인 곳으로 우리나라 내륙습지 1호이다. 서식하고 있는 생물종이 많기 때문에 하천습지로는 유일하게 습지 보호구역으로 지정(2004년 7월) 되었다. 영산강 본류에 형성된 우리나라 하천습지 중 최초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며, 자연형 하천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둔치에는 대규모 대나무 군락지가 분포하고, 하천습지에서는 보기 드물게 다양한 목본류 식생이 밀생하는 등 생태적으로 우수한 자연환경을 유지하고 있다. 멸종 위기인 수달, 매와 삵, 큰 기러기, 흰목물떼새, 구렁이 등 다양한 동물이 서식하고 있어 환경부에서 보호하고 있다. 생태학습지로 어린이들과 초, 중, 고에서도 방문이 많은 곳이다. 담양과 광주의 경계지점이기 때문에 광주 근교 나들이 장소이기도 하다.